[include(틀:창덕궁)] ---- ||<-3> [[파일:정부상징.svg|width=22]] '''[[대한민국의 사적#s-2|{{{#f39100 대한민국 사적 제122호 창덕궁}}}]]''' || ||<-3> {{{#ffd700 {{{+1 '''창덕궁 건무문'''}}}[br]{{{-1 昌德宮 建武門}}}}}} || ||<-3> {{{#!wiki style="margin: -5px -10px" [include(틀:지도,장소=성균관로5길, 너비=100%, 높이=100%)]}}} || ||<-2> {{{#ffd700 '''소재지'''}}} || [[서울특별시]] [[종로구]] [[율곡로(서울)|율곡로]] 99 ([[와룡동(종로구)|와룡동]] 2-71번지) || ||<-2> {{{#ffd700 '''건축시기'''}}} || 창건연대 미상 || [목차] [clearfix] == 개요 == [[창덕궁]]의 궁문이다. 북쪽 궁장에 있다. 창덕궁 후원과 바로 통하며 산등성이에 위치한 특성 상 평소에는 닫았다. == 이름 == '건무(建武)' 뜻은 '무(武)를 세운다(建)'이다. 여기서 '무(武)'는 사신(四神) 중 하나인 [[현무|현무(玄武)]]를 말한다. 현무는 북방을 나타내는 [[동물]]이다. 즉, 북쪽 문이란 뜻이다. == 역사 == 원래 [[창덕궁]]의 북문은 [[창덕궁 광지문|광지문]]이었다. 그러나 [[인조]] 이후 광지문에 대한 기록을 찾을 수 없다. 《[[승정원일기]]》의 1784년(정조 8년) 6월 22일 자 [[기사]]부터 건무문에 대한 언급이 나온다.[[http://sjw.history.go.kr/id/SJW-G08060220-03000|#]][[http://dh.aks.ac.kr/sillokwiki/index.php/광지문(창덕궁)|#]] [[창덕궁 광지문|광지문]]이 건무문으로 이름이 바뀐 것인지, 아니면 광지문 대신 건무문을 새로 지은 것인지는 확실하지 않다. == 구조 ==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건무문 동궐도.png|width=100%]]}}}|| || {{{#gold '''《동궐도》 건무문'''}}} || 다른 궁문처럼 [[문]]을 따로 세운 게 아니고, [[담|담장]]의 일부인 형태로, 평대문이다. 다만 《[[동궐도]]》에는 문이 한 칸 짜리로 따로 있어서 나중에 모습이 바뀐 듯 하다.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건무문 현판.jpg|width=100%]]}}}|| || {{{#gold '''건무문 현판'''}}} || [[현판]]을 문 안쪽에 걸었다. 바탕에 칠을 하지 않았다. 글씨는 원래 검은색이었던 듯 하나 후에 변색된 듯 하다. * 현재는 일반인의 접근이 불가능하다. 문 밖에는 [[성균관대학교]] 대운동장이 있다. == 여담 == 1884년(고종 20년) [[갑신정변]] 때 [[청나라]]의 개입으로 [[개화파]]가 수세에 몰리자, 창덕궁에 있던 [[고종(대한제국)|고종]]이 북묘[* 1883년에 지은 [[관우]]를 모신 [[사당]].]로 피신할 때 이 문으로 빠져나갔다. 이 때 정변을 주도한 [[홍영식]], 박영교 등이 고종을 호위하다 이 근처에서 살해당했다.[[http://blog.naver.com/PostView.nhn?blogId=zangzs&logNo=220767120816|#]] [[분류:창덕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