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창덕궁)] ---- ||<-3> [[파일:정부상징.svg|width=22]] '''[[대한민국의 사적#s-2|{{{#f39100 대한민국 사적 제122호 창덕궁}}}]]''' || ||<-3> {{{#ffd700 {{{+1 '''창덕궁 가정당'''}}}[br]{{{-1 昌德宮 嘉靖堂}}}}}} || ||<-3> {{{#!wiki style="margin: -5px -10px" [include(틀:지도,장소=대조전, 너비=100%, 높이=100%)]}}} || ||<-2> {{{#ffd700 '''위치'''}}} || [[서울특별시]] [[종로구]] [[율곡로(서울)|율곡로]] 99 ([[와룡동(종로구)|와룡동]] 2-71번지) || ||<-2> {{{#ffd700 '''건축시기'''}}} || [[1925년]] / [[1897년]] 추정[* [[덕수궁]]에서 옮겨온 것이 맞을 경우.] {{{-1 (창건)}}}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가정당.png|width=100%]]}}} || || {{{#gold ''' 가정당[*A [[https://www.cha.go.kr/newsBbz/selectNewsBbzView.do?newsItemId=155681952§ionId=ocp&pageIndex=1&mn=NS_01_02&strWhere=&strValue=&sdate=&edate=|사진 출처 - 문화재청 《궁궐의 현판과 주련-창덕궁_대조전 권역》.]]]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가정당 현판.png|width=100%]]}}} || || {{{#gold ''' 가정당 현판[*A [[https://www.cha.go.kr/newsBbz/selectNewsBbzView.do?newsItemId=155681952§ionId=ocp&pageIndex=1&mn=NS_01_02&strWhere=&strValue=&sdate=&edate=|사진 출처 - 문화재청 《궁궐의 현판과 주련-창덕궁_대조전 권역》.]]] '''}}} || [목차] == 개요 == [[창덕궁]]의 건물. [[창덕궁 대조전|대조전]] 북서쪽에 있다. 현재 비공개 구역이다. == 역사 == [[일제강점기]]인 1925년 6월 경에 지었다. 1925년 6월 27일 자 《[[조선중앙일보|시대일보]]》 기사에 따르면, "[[이왕|왕]]([[순종(대한제국)|순종]])과 왕비([[순정효황후]])가 재미있게 [[소풍]]을 즐길 목적으로 [[이왕직]]에서 건축비 수만 원을 들여 창덕궁 후원에 세웠다"고 한다.[[http://dh.aks.ac.kr/sillokwiki/index.php/%EA%B0%80%EC%A0%95%EB%8B%B9(%E5%98%89%E9%9D%96%E5%A0%82)|#]] 그리고 다음날 〈[[매일신보]]〉 기사에는 "요사이 후원 높은 곳에 새로이 가정당이란 정자를 지었다."고 적혀있다. 원래 [[덕수궁|경운궁(현재의 덕수궁)]]에 있었던 건물을 창덕궁으로 옮겼다는 의견이 있다. 실제로 《[[고종실록]]》과 순종 때 제작한 듯한 〈경운궁중건배치도〉에서 경운궁 가정당의 존재를 확인할 수 있다. 이 가정당 역시 한자 표기가 '嘉靖堂'으로, 창덕궁 가정당과 같다. 경운궁 가정당은 [[아관파천|러시아공사관에 머물다]] 경운궁으로 환궁한 고종이 경운궁 중건 공사를 할 때 지었으며 [[덕수궁 석어당|석어당]] 북쪽에 있었다고 한다.[* 완전히 새로 지은 건물은 아니고 정황상 기록과 건물의 칸수로 봤을때 [[경복궁 흥복전]] 일대의 부속건물인 다경합을 옮겨 지은걸로 추정된다.] 1904년(광무 8년)에 경운궁 대부분 건물들이 불에 탔음에도 무사했고[[http://sillok.history.go.kr/id/kza_14104014_003|#]], 고종의 장례 때도 활용되었다. 그러나 1928년에 [[경성부]]에서 발간한 《경성부도시계획조사서》에 실린 덕수궁[* 1907년 순종 즉위 후 경운궁에서 덕수궁으로 이름이 바뀌었다.] 항공사진에서는 보이지 않는다.[[http://dh.aks.ac.kr/sillokwiki/index.php/%EA%B0%80%EC%A0%95%EB%8B%B9(%E5%98%89%E9%9D%96%E5%A0%82)|#]] 이름도 같고 창덕궁 가정당에 대한 기록이 처음 나타난지 3년 후에 나온 자료에 덕수궁 가정당의 존재가 사라진 것을 볼 때, 충분히 [[덕수궁]]에서 [[창덕궁]]으로 옮겼다고 여길 수 있다. 그러나 구체적인 자료가 발견되지 않아 아직까지는 추측일 뿐이다. == 구조 == * 기본 몸체는 정면 5칸, 측면 2칸의 총 10칸이다. 가운데 3칸은 [[마루|대청]]이며 대청을 중심으로 좌, 우에 [[온돌|온돌방]]이 있다. * 남향이다. [[지붕]]은 팔작지붕, [[처마]]는 겹처마이며, 합각은 [[벽돌]]로 마감했다. 지붕 끄트머리에는 용두를 올렸다. * 1고주 5량가 형태에 [[공포(동음이의어)|공포]]가 없는 굴도리집이다. 도리는 굴도리이며 소로가 온돌방 쪽 창방과 도리를 받쳐주는 형태이다. 대청 전면의 3칸짜리 툇마루를 제외하고는 나머지 벽면에 모두 머름과 [[창문|창]]을 달았으며 대청 툇마루 안쪽에는 분합문을 달았다. 일반적으로 대청과 온돌방 사이에는 장지문이 달려있는데, 가정당에는 없다. 그러니까 대청과 온돌방을 구분하는 문이 없다. * 제일 아랫 부분에는 장대석으로 [[기단]]을 2단으로 쌓았으며 기단 상부에는 전돌을 깔았다. [[계단]]은 정면 기단에 3단 짜리 3개와 좌우 기단에 각각 2단짜리 1개 씩 놓았다. * [[온돌|온돌방]] 외벽의 하단부는 장초석이 [[기둥]]을 받치고 초석 사이에 [[벽돌]]로 방화벽을 만든 형태이다. 그러니까 기단과 방바닥이 바로 붙어있지 않다. [[아궁이]]는 남쪽 기단 벽돌벽 가운데 하단에 있으며 [[굴뚝]]은 북측으로 15m 떨어진 곳에 있다.[*B 김두현 著, 《창덕궁 가정당》, 《建築士 = Korean architects 1983 no.9 = no.174》에 수록, 문화재관리국, 1983, p.65 ~ 70.] * 건물 앞에는 [[잔디]]가 깔려있으며 서남쪽으로 20m 즈음 떨어진 곳에 [[한반도]]를 본떠 만든 [[연못]]이 있다. 현재는 물이 고여있지 않다.[*B] 이외에도 건물 주변으로 군데군데 괴석과 다양한 나무를 심어 아름다운 풍광을 자아내고 있다. == 여담 == * [[1926년]] [[순종(대한제국)|순종황제]]가 병석에 누웠을 때 [[상궁]]과 [[나인]]들이 이곳을 기도처로 정하고 밤낮으로 쾌차를 기원하기도 했다. * 2011년부터 [[문화재청]]은 가정당을 소규모 회의장이나 교육장으로 쓸 수 있게 [[기업]]이나 [[단체]] 등에 개방하기로 했다. 단, [[문화재]] 보존 및 관리에 영향이 없고 [[궁궐]]의 역사성을 훼손하지 않는 범위에 한해서이다. 2011년에는 9월 ~ 10월, 2012년에는 5월 ~ 10월에 개방했으며 2013년부터 현재까지는 4월 ~ 10월에 개방한다. 사용료는 첫 1시간은 50만 원, 추가 1시간 당 25만 원이다. 창덕궁 입장료는 별개로 내야한다.[[http://news.kmib.co.kr/article/view.asp?arcid=0007041676|#]] 자세한 내용은 [[http://www.cha.go.kr/multiBbz/selectMultiBbzView.do?id=17815&no=24475&bbzId=newpublic&pageIndex=1&pageUnit=10&strWhere=title&searchWrd=%ed%95%a8%ed%99%94%eb%8b%b9&sdate=&edate=&mn=NS_01_01|이 곳]]을 참조. 2019년부터는 다자녀 부모[* 만 13세 이하 막내 포함, 자녀가 2인 이상인 부모.]의 경우 사용료가 50% 감면된다.[[https://newsis.com/view/?id=NISX20190404_0000609570&cID=10701&pID=10700|#]] * 2014년 10월에 주얼리 회사 민휘아트주얼리는 가정당에서 열린, [[The history of 后]]에서 주최한 캠페인 〈왕후의 연회〉를 통해 해외 인사들을 초청하여 궁중 장신구를 소개하는 시간을 가졌다.[[http://www.beautyhankook.com/news/articleView.html?idxno=28486|#]] * 2015년 5월 [[문화재청]]과 [[한국문화재재단]]에서는 [[궁중문화축전]] 기간 동안 〈궁궐愛서, 소중한 하루를 선물하세요〉라는 행사를 진행했다. 대한민국 국민 모두를 대상으로 ‘효(孝, 효행)’, ‘우(友, 우정)’, ‘애(愛, 사랑)’를 주제로 한 사연을 공모했으며, 이 중 '효(孝)' 사연을 채택받은 사람에게 가정당을 대여해주었다.[[https://www.cha.go.kr/newsBbz/selectNewsBbzView.do?newsItemId=155699205§ionId=b_sec_1&mn=NS_01_02|#]][* '우'는 [[덕수궁 준명당]], '애'는 [[창경궁 대온실]] 앞 정원을 대여해주었다.] * 2020년 10월 16일에 [[문화체육관광부]]와 [[한국공예디자인문화진흥원]] 한복진흥센터에서 한복 홍보대사 위촉식을 가정당에서 개최했다. 이 날 [[헬로비너스]] 출신 배우 [[권나라]]가 홍보대사로 위촉받았다. * 2021년 11월 9일부터 12일까지 [[문화재청]]에서 오전 11시마다 가정당에서 〈국립국악원과 함께하는 창덕궁 풍류〉 행사를 개최했다. 전문해설사의 해설을 들으며 [[창덕궁 대조전|대조전]] 권역을 거쳐 가정당에서 전통 궁중 무용을 관람하는 프로그램이었다. [각주] [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경복궁 함화당 · 집경당, version=20, paragraph=5, title2=창덕궁, version2=635, paragraph2=5.4.6)] [[분류:창덕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