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경상남도의 버스 터미널)] [목차] == 개요 == [[경상남도]] [[창녕군]] [[창녕읍]] [[창녕대로]] 11 (교리)에 있는 버스터미널이다. 단층 건물로 구성되어 있으며 터미널 안에 대합실과 승차권 자동판매기가 설치되어 있는데 매표소는 따로 없다. 매표소 대신 안내소만 있으며 9개의 승차홈과 2개의 예비 승차홈이 있다. 터미널은 전체적으로 낙후되어 있으며 전반적으로 동서 방면 노선이 빈약한 편[* 서부경남을 주름잡는 [[부산교통]], [[대한여객]], [[영화여객]]은 아예 들어오지 않는다. 창녕 전 지역으로 가도 아예 들어오지 않는다. 단, 이방엔 [[서부정류장|대구서부]], [[현풍공영버스정류장|현풍]], 차천, 구지, 모정, 대암, 적교, 신반, 오방, 중교, 용덕, 의령행으로 [[경전고속]]이 들어오는 중이다. 아이러니하게 소위 부팸이라 불리는 이 세 업체의 대표이사인 조옥환(曺玉煥)의 본관이 [[창녕 조씨]]이며 남명 조식 선생 후손.]이다. 더구나 인근에는 식당을 거의 찾아볼 수가 없다. 여기서 인근에 있는 화왕산으로 가려면 농어촌버스 정식노선은 불편하지만[* 화왕산 주변에는 농어촌버스 정식 노선이 없으며 가장 가까운 정류장이 창녕경찰서인데 여기는 800m 정도 거리에 있다.] 2015년 7월 1일 신설된 순환버스를 타면 거의 화왕산 바로 앞까지 갈 수 있다. 다른 방법으로는 터미널 앞 택시 승강장에서 택시를 타면 된다. [[천일여객]], [[고려여객]]이 운행하는 버스는 거의 우등이며,[* 대구서부행 2회, 부산서부행 2회 만이 천일고려에서 운행하는 일반 노선이다.] [[밀성여객]]이 운행하는 버스는 모든 버스가 일반이다. 우등과 일반의 비율이 5:5다. 정말 '''50%와 50%'''다. 만약에 천일고려가 우등할증을 1회라도 늘인다면 바로 우등의 비중이 더 많아지는 셈이다. 아마 코로나19의 영향도 있고 그런듯 하다. 현재 창녕과 교류가 많은 대구서부행 마저 3회를 제외하고 모두 우등으로 바뀌면서 불만이 상당한 상황이다. == 노선 == === 수도권 === ||<-3> '''{{{#ffffff 수도권}}}''' || || '''{{{#ffffff 행선지}}}''' || '''{{{#ffffff 운행횟수}}}''' || '''{{{#ffffff 운수회사}}}''' || || '''[[서울남부터미널|{{{#ffffff 서울남부}}}]]''' || 일 3회 || [[천일여객]][br][[고려여객]] || ||<-3> {{{#!folding [ 상세정보 펼치기 · 접기 ] ||<-3> '''{{{#ffffff 부곡발 서울남부행}}}''' || || '''{{{#ffffff 경유지}}}''' || '''{{{#ffffff 소요시간}}}''' || '''{{{#ffffff 운임}}}''' || || '''[[현풍공영버스정류장|{{{#ffffff 현풍}}}]]''' ||<-2> 발권불가 || || '''[[서울남부터미널|{{{#ffffff 서울남부}}}]]''' || 4:00 || ₩ 31,700({{{#0000ff 우등}}}) || || '''{{{#ffffff 운행시각표}}}''' ||<-2>{{{#0000ff 07:30, 12:30, 18:00}}} || ||<-3>[[시외버스 서울남부-부곡]] 참고. 전회우등으로 운행하며, [[현풍공영버스정류장|현풍]]까지의 구간승차는 불가능하다. 코로나19 이전 운행횟수는 5회였으며, 코로나19로 인해 3회로 감회당한 것이다. 운행횟수가 적은 편이라 그 외 시간이나 막차가 끊기면 대구로 가야 한다. || }}} || === 영남권 === ==== 직행 ==== ||<-3> '''{{{#ffffff 영남권}}}''' || || '''{{{#ffffff 행선지}}}''' || '''{{{#ffffff 운행횟수}}}''' || '''{{{#ffffff 운수회사}}}''' || ||<#0062bc> '''{{{#ffffff 대구서부}}}''' || 일 18회 || [[천일여객]][br][[고려여객]] || ||<-3> {{{#!folding [ 상세정보 펼치기 · 접기 ] ||
<-3> '''{{{#ffffff 부산서부·김해·부곡발 대구서부행}}}''' || || '''{{{#ffffff 경유지}}}''' || '''{{{#ffffff 소요시간}}}''' || '''{{{#ffffff 운임}}}''' || ||<#0062bc> '''[[서부정류장|{{{#ffffff 대구서부}}}]]''' || 0:40 || ₩ 4,100[br]₩ 5,300({{{#0000ff 우등}}}) || ||<#0062bc> '''{{{#ffffff 운행시각표}}}''' ||<-2><(>07:30, {{{#0000ff 08:05, 08:30, 09:20, 10:20, 11:20, 12:20, 13:00}}}, 13:20, {{{#0000ff 14:20, 15:20, 16:20, 17:00, 17:20, 18:20, 19:20}}}, 20:20, {{{#0000ff 20:30}}} || ||<-3><(>[[시외버스 대구서부-부산서부]] 참고. 창녕시외버스터미널의 주력 노선 중 하나로 15회가 우등이고 3회가 일반으로 들어온다. 부곡발은 첫차로 운행하며, 28인승 우등이 들어온다.(서비스우등} 2019년까지 대다수가 일반이었으나 2020년 코로나19가 터지자 서서히 우등을 늘리기 시작하더니 현재는 거의 대부분이 우등이 되었다. 부산서부발 2회는 일반으로 운행한다. 부산서부발 13회, 김해발 4회, 부곡발 1회로 운행한다. 이 노선의 완행 버전으로 4회 [[밀성여객]]이 운항하나 대구서부까지 전 구간 발권은 불가능하다. 심야차량은 없으며, 막차 시간 이후에 창녕에서 대구로 가려면 어쩔 수 없이 현풍까지는 택시를 타야 한다. || }}} || ||<#0062bc> '''{{{#ffffff 부산서부}}}''' || 일 14회 || [[천일여객]][br][[고려여객]] || ||<-3> {{{#!folding [ 상세정보 펼치기 · 접기 ] ||
<-3> '''{{{#ffffff 대구서부·창녕발 부산서부행}}}''' || || '''{{{#ffffff 경유지}}}''' || '''{{{#ffffff 소요시간}}}''' || '''{{{#ffffff 운임}}}''' || ||<#0062bc> '''[[영산버스정류장|{{{#ffffff 영산}}}]]''' ||<-2> 발권불가 || ||<#0062bc> '''[[남지시외버스터미널|{{{#ffffff 남지}}}]]''' ||<-2> 발권불가 || ||<#0062bc> '''[[부산서부시외버스터미널|{{{#ffffff 부산서부}}}]]''' || 1:20 || ₩ 8,200[br]₩ 10,700({{{#0000ff 우등}}}) || ||<#0062bc> '''{{{#ffffff 운행시각표}}}''' ||<-2><(>{{{#0000ff 07:00, 07:45^^(영산경유)^^, 08:45}}}, 09:45, {{{#0000ff 10:45, 11:45, 12:45, 13:45^^(영산경유)^^, 14:45, 15:45}}}, 16:45, {{{#0000ff 17:45, 18:45^^(영산경유)^^, 19:45}}} || ||<-3><(>[[시외버스 대구서부-부산서부]] 참조. ^^(영산경유)^^로 된 시간은 영산을 경유하며, 창녕-영산,남지간 구간승차는 불가능하다. [[마산시외버스터미널|마산]]행이나 [[밀양시외버스터미널|밀양]]행 혹은 농어촌버스를 타야 하며, 실제로 예매 사이트 조회시 창녕-영산,남지는 현장발권으로 뜬다. 영산경유는 모든 시간대가 우등으로 운행한다. 중간에 [[남지IC]]를 통해 고속도로를 잠깐 빠져나온다. 원래 이 노선은 대구서부 출발과 창녕 출발이 1:1로 운행했으나 코로나19로 인해 대부분 대구서부 출발로 연장되었으며 1회만 창녕 출발로 운행중이다. 2019년까지 대다수가 일반이었으나 2020년 코로나19로 인해 대부분 우등이 되었다. 막차가 다소 이른 편이라 막차 시간 이후에 부산을 가려면 [[마산시외버스터미널|마산]]으로 가야 한다. || }}} || ||<#0062bc> '''{{{#ffffff 김해}}}''' || 일 4회 || [[천일여객]][br][[고려여객]] || ||<-3> {{{#!folding [ 상세정보 펼치기 · 접기 ] ||
<-3> '''{{{#ffffff 대구서부발 김해행}}}''' || || '''{{{#ffffff 경유지}}}''' || '''{{{#ffffff 소요시간}}}''' || '''{{{#ffffff 운임}}}''' || ||<#0062bc> '''[[영산버스정류장|{{{#ffffff 영산}}}]]''' ||<-2> 발권불가 || ||<#0062bc> '''[[부곡버스터미널|{{{#ffffff 부곡}}}]]''' ||<-2> 발권불가 || ||<#0062bc> '''[[김해여객터미널|{{{#ffffff 김해}}}]]''' || 1:30 || ₩ 11,100({{{#0000ff 우등}}}) || ||<#0062bc> '''{{{#ffffff 운행시각표}}}''' ||<-2><(>{{{#0000ff 09:15, 13:15, 16:15, 19:15}}} || ||<-3><(>전회 영산과 부곡을 거쳐서 운행하며, 창녕-영산,부곡간 구간승차는 불가능하다. 원래 대구서부발 김해행 중 1회가 창녕을 거쳐서 운행하고 나머지는 모두 영산까지 무정차로 가다가 2018년 6월 21일에 대구서부발 김해행 전회가 창녕을 거치게 되어 창녕-김해간 운행횟수가 대폭 늘어났다. 원래 이 노선은 전회일반이었다. 그러다가 2021년 7월 2회에 한해 우등을 투입하더니 2022년 7월에 전회우등으로 전환되었다. 부곡에서 김해까지 고속도로를 안타고 [[79번 국도]]-[[25번 국도]]-[[14번 국도]]를 통해 김해까지 간다. 국도경유로 인해 요금이 비싼 편이며 운행횟수도 적어 그 외 시간에는 [[마산시외버스터미널|마산]]이나 [[부산서부시외버스터미널|부산서부]]에서 갈아타야 한다. || }}} || ||<#0062bc> '''{{{#ffffff 마산(직통)}}}''' || 일 9회 || [[밀성여객]] || ||<-3> {{{#!folding [ 상세정보 펼치기 · 접기 ] ||
<-3> '''{{{#ffffff 창녕발 마산행}}}''' || || '''{{{#ffffff 경유지}}}''' || '''{{{#ffffff 소요시간}}}''' || '''{{{#ffffff 운임}}}''' || ||<#0062bc> '''[[남지시외버스터미널|{{{#ffffff 남지}}}]]''' || 0:20 || ₩ 1,900 || ||<#0062bc> '''[[마산시외버스터미널|{{{#ffffff 마산}}}]]''' || 0:40 || ₩ 4,600 || ||<#0062bc> '''{{{#ffffff 운행시각표}}}''' ||<-2><(>07:50, 08:50, 10:00, 11:10, 11:50, 13:50, 14:30, 15:50, 17:30|| ||<-3><(>창녕발 직행 노선 중 유일하게 우등이 투입되지 않는다. 창녕-남지간 구간승차가 가능하기 때문에 창녕-남지간 급행버스 역할도 맡으며, 요금도 2000원 이하로 저렴한 편이다. 하지만 첫차가 늦으며 막차가 이르고 배차가 적이 그 외 시간에는 국도경유 완행을 타야 한다. 참고로 국도경유는 20분 정도 더 걸린다. 직통을 타면 창녕-남지도 [[중부내륙고속도로]]로 간다. [[5번 국도]] 경유 완행은 아래 완행 문단 참고. || }}} || ==== 완행 ==== ===== 현풍,대구 ===== ||<:> {{{#ffffff '''정류장'''}}} ||<:> {{{#ffffff '''소요시간'''}}} ||<:> {{{#ffffff '''운임'''}}} || ||<:>왕산 || || ₩ 1,600 || ||<:>모전 || || ₩ 1,600 || ||<:>모지 || || ₩ 1,600 || ||<:>무솔 || || ₩ 1,600 || ||<:>십이리 || || ₩ 1,600 || ||<:>성산 || || ₩ 1,700 || ||<:>대견 || || ₩ 1,800 || ||<:>한정 || || ₩ 2,100 || ||<:>차천 || || ₩ 2,400 || ||<:>[[현풍공영버스정류장|현풍]] || || ₩ 2,900 || ||<:>[[서부정류장|대구(완행)]] ||<-2> 발권불가(무정차 노선 이용) || * 운행횟수 : 1일 4회 * 첫차 : 07:00 * 막차 : 18:00 * 시간표 : 07:00, 11:30, 15:00, 18:00 * 운행회사 : [[밀성여객]] * 대구서부까지 발권을 하려면 [[현풍공영버스정류장|현풍]]에서의 5분 대기시간 동안 나눠 끊어야 한다. ===== 마산(완행) ===== ||<:> {{{#ffffff '''정류장'''}}} ||<:> {{{#ffffff '''소요시간'''}}} ||<:> {{{#ffffff '''운임'''}}} || ||<:>계성 || || ₩ 1,600 || ||<:>명리 || || ₩ 1,600 || ||<:>영산 || || ₩ 1,600 || ||<:>도천 || || ₩ 1,800 || ||<:>송진 || || ₩ 1,900 || ||<:>[[남지시외버스터미널|남지]] || || ₩ 1,900 || ||<:>[[마산시외버스터미널|마산]] || || ₩ 4,800 || * 운행횟수 : 1일 11회 * 첫차 : 06:20 * 막차 : 21:00 * 운행회사 : [[밀성여객]] * 대구완행과 달리 마산까지 전 구간 발권이 가능하다. ===== 밀양 ===== ||<:> {{{#ffffff '''정류장'''}}} ||<:> {{{#ffffff '''소요시간'''}}} ||<:> {{{#ffffff '''운임'''}}} || ||<:>계성 || || ₩ 1,600 || ||<:>명리 || || ₩ 1,600 || ||<:>영산 || || ₩ 1,600 || ||<:>부곡 || || ₩ 2,600 || ||<:>인교 || || ₩ 3,300 || ||<:>무안 || || ₩ 4,000 || ||<:>신법 || || ₩ 4,100 || ||<:>지정 || || ₩ 4,300 || ||<:>마흘 || || ₩ 4,900 || ||<:>[[밀양시외버스터미널|밀양]] || || ₩ 5,900 || * 운행횟수 : 1일 5회 * 첫차 : 09:10 * 막차 : 19:20 * 시간 : 09:10, 11:20, 14:20, 17:00, 19:20 * 운행회사 : [[밀성여객]] [[시외버스 밀양-창녕]] 문서 참조. === 과거에 운행하던 노선 === [[풍각정류장|풍각]], 각남, 화양, 칠성리, [[청도공용버스터미널|청도]], 무등, 투우장, 남성현, 중앙병원, [[경산시외버스정류장|경산]], [[남부정류장|대구남부]]:언제 폐선되었는지는 모르겠지만 2010년대 중반으로 추정된다. [[우포늪]], 유어, 이방, 적교, 청덕, 초계, [[합천버스정류장|합천]] : 아주 오래전에는 있었다고 한다. 현재 창녕에서 합천으로 가려면 옆에 영신버스터미널에서 적교행 버스를 타서 적교에서 합천행 버스로 갈아타야 한다. [[분류:경상남도의 버스 터미널]][[분류:창녕군의 교통]][[분류:창녕대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