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대한항공 항공우주사업부의 항공기)] [include(틀:국산 프로펠러기)] [[파일:external/img.bemil.chosun.com/20140419002319.jpg]] 사진설명. [목차] == 제원 및 성능 == ||||<#D9E5FF> '''제원''' || ||<#D9E5FF> 승무원 ||2명 || ||<#D9E5FF> 탑승인원 ||0명 || ||<#D9E5FF> 길이 ||6.0 m || ||<#D9E5FF> 익폭 ||13.2 m || ||<#D9E5FF> 기고 ||2.9 m || ||<#D9E5FF> 익면적 ||15.50 m² || ||<#D9E5FF> 자중 ||235 kg || ||<#D9E5FF> 적재중량 ||371 kg || ||<#D9E5FF> 최대이륙중량 ||460 kg || ||<#D9E5FF> 엔진 ||2× 라이코밍(Lycoming)사 O-235-?, 125 hp || ||||<#D9E5FF> '''성능''' || ||<#D9E5FF> 최대속도 ||280 km/h || ||<#D9E5FF> 순항(실속)속도 ||120 km/h(95 ㎞/h) || ||<#D9E5FF> 상승고도 ||150 m (1989년 4월 7일 3차(?) 시험[br] 비행 고도 당시 강풍이 부는 날씨라서) || ||<#D9E5FF> 항속시간 ||3.0 hr || ||<#D9E5FF> 항속거리 ||최대연료 탑재시 1,000 km || ||<#D9E5FF> 행동반경 ||250 km || ||<#D9E5FF> 익하중 ||71.5 kg/m² || ||<#D9E5FF> 추력중량비 ||0.?? || == 개요 == [[대한항공]] 항공기술연구소에서 개발한 비행기로 [[조종]][[훈련]], [[레저]][[스포츠]] 등등 [[다목적]]용으로 사용할 수 있는 [[경비행기|경항공기]]이다. == 설명 == 대한항공은 이에 앞서 창공 1인승 [[경비행기|경항공기]]들인 창공-1호[* 무게: 125kg(추정?), 1981년 초부터 1984년 중순(84년 8월 29일 첫 비행)까지 외국 비행기 로버트슨 B1-RD 설계도로 [[모방]] 및 [[개조]], [[개량]] 제작하였으며 [[국산화]]율은 30% 였고 주요 부품들은 [[캐나다]]제였다고 한다.(추정?)], 창공-2호[* 무게: 115kg, 1985년 초부터 1986년 중순(86년 10월 24일 첫 비행)까지 외국 초경량 비행기 설계도로 [[모방]] 및 개조 개량 제작하였으며 [[엔진]]을 제외한 창공 시리즈로는 최초로 국내 [[기술]]로 만든 국산[[복합소재]]로 제작되었다.]등을 개발한 바 있다. [[항공기술연구소]]가 자체[[기술진]]에 의해 1986년 말부터 1987년 8월 말까지 설계 제작한 창공-3호는 엔진을 제외한 동체에서 주요 부품까지 국내 기술로 만든 국산[[복합소재]]로 제작되었으며 이 비행기는 [[날개]]를 접을 수 있는 데다 [[조립]] [[분해]]가 쉽게 설계되었고 2대의 분리된 동체에 같은 성능의 [[조종석]]과 [[계기판]]을 갖추고 있다. 창공-3호(KLA-3)(시제기 총 3대(?))는 1987년 9월 초(?)(1차(3개월간?) 시험비행추정), 1988년 중순(?)(2차(3개월간?) 시험비행추정) 1989년 4월 7일(3차(3개월간) 시험비행추정)까지 총 3번(?)까지 시험 비행했으며 1989년 말 실험 및 제작이 중단되고 [[창공-91]](1988년부터 개발)로만 집중 개발한다. 그리고 [[창공-91]]과 함께 영국 90 ~ 91년판 [[제인연감]]의 세계 항공기 한국편에 실리게 되었다. [각주] [[분류:항공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