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다른 뜻1, other1=의정부시의 서점, rd1=숭문당, other2=옛 이름이 숭문당이었던 창덕궁 전각, rd2=창덕궁 희정당)] ---- [include(틀:창경궁)] [include(틀:조선 왕궁의 편전)] ---- ||<-3> [[파일:정부상징.svg|width=22]] '''[[대한민국의 사적#s-2|{{{#f39100 대한민국 사적 제123호 창경궁}}}]]''' || ||<-3> {{{#ffd700 {{{+1 '''창경궁 숭문당'''}}}[br]{{{-1 昌慶宮 崇文堂}}}}}} || ||<-3> {{{#!wiki style="margin: -5px -10px" [include(틀:지도,장소=창경궁 숭문당, 너비=100%, 높이=100%)]}}} || ||<-2> {{{#ffd700 '''소재지'''}}} || [[서울특별시]] [[종로구]] [[창경궁로]] 185 ([[와룡동(종로구)|와룡동]]) || ||<-2> {{{#ffd700 '''건축시기'''}}} || [[1616년]] {{{-1 (창건)}}} [br][[1833년]] {{{-1 (재건)}}}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창경궁 숭문당.jpg|width=1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창경궁_숭문당.jpg|width=1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external/dunggu.com/changgyeonggung18.jpg|width=100%]]}}} || || {{{#gold ''' 숭문당[* [[http://www.heritage.go.kr/heritage/heritage_pop/detailImgPop.jsp?gung_number=3&file_name=img_changgyeong_story_bg_07_00.jpg|첫 번째 사진 출처 - 문화재청 국가문화유산포털.]][br][[http://www.heritage.go.kr/heri/cul/imgHeritage.do?ccimId=6415625&ccbaKdcd=13&ccbaAsno=01230000&ccbaCtcd=11|두 번째 사진 출처 - 문화재청 국가문화유산포털.]]] '''}}} || [목차] [clearfix] == 개요 == [[창경궁]]의 편전이다. 편전은 평상시 [[임금]]이 [[신하]]들과 함께 나랏일을 보고 [[경연]]을 하던 곳이다. 공식적인 편전은 [[창경궁 문정전|문정전]]이나 일상적으로는 숭문당을 더 많이 활용했다. 기능적으로 [[창덕궁 희정당]], [[경희궁 흥정당]]과 유사하다. == 이름 == '숭문(崇文)' 뜻은 '학문(文)을 숭상(崇)한다'이다. 참고로 [[창덕궁 희정당]]의 원래 이름 역시 숭문당이었다. [[현판]] [[글씨]]는 [[영조]]가 직접 썼다. == 역사 == [[성종(조선)|성종]] 시기 [[창경궁]] 창건 때는 없었고, [[임진왜란]] 이후 1616년([[광해군]] 8년)에 [[창경궁]]을 복구할 때 처음 지었다. 이후 [[창덕궁 희정당]]처럼 [[왕]]이 좀 더 편한 [[분위기]]에서 [[정치|국정]]을 돌보고 [[경연]]을 하는 [[공간]]으로 기능했다. 그러나 창경궁 자체가 공식적인 국사보다는 [[왕실]] 구성원들의 [[거주]], [[행사]]에 초점을 둔 궁이라[* 애당초 [[창경궁]]은 원래 [[대비]]들을 모시기 위해 지은 [[궁]]이었다.] 숭문당을 자주 활용하진 않았다. [[조선시대|조선 후기]] 들어 공식 편전 [[창경궁 문정전|문정전]]을 혼전으로 활용할 때, 숭문당을 곡하는 곳으로 많이 사용했다.[[http://sillok.history.go.kr/id/kqa_10008023_003|#]][[http://sillok.history.go.kr/id/ksa_12712009_001|#]] 1830년([[순조]] 30년) [[화재]]로 불탄 후 1833년(순조 33년)에 재건하여 오늘에 이른다. == 구조 == * [[창경궁]]의 [[정전]], [[편전]] 구역이 다른 [[궁궐]]에 비해 작은 편이라 [[창경궁 명정전|명정전]](정전), [[창경궁 문정전|문정전]](공식 편전), 숭문당(일상 편전)이 다 가깝게 붙어있다. 명정전 뒤편으로 나있는 4칸의 [[복도]]를 거쳐 [[창경궁 빈양문|빈양문]]을 지나면 바로 숭문당이 나오며 문정전과도 [[담]]과 [[문]]의 구분 없이 바로 뚫려있다.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동궐도 문정전.png|width=100%]]}}} || || {{{#gold ''' 《동궐도》의 숭문당 영역. 제일 좌측에 있는 건물이 숭문당이다. '''}}} || 그러나 《[[동궐도]]》를 보면 [[조선시대]] 당시에는 다른 건물 영역과 분리하는 [[담]]과 [[문]]이 있었다. 하지만 [[일본 제국|일제]] 때 헐려 지금은 없는 것이다. 그래도 예전에 있던 담과 문도 굉장히 작고 낮은 크기였기에 붙어있다는 표현이 틀린 건 아니다. * [[창경궁]] 중심축을 따라 동향했다. 정면 4칸, 측면 4칸으로 정면(동쪽 면) 기준 앞면과 뒷면(서쪽 면), 남쪽 측면 가장자리의 바닥은 [[마루|툇마루]]이다. 정면부 [[기단]]을 뒤로 물리고 대신 앞쪽의 1열을 [[암석|돌]] [[기둥]]으로 세워 [[누각|누]] 처럼 보이게 했는데 이는 [[17세기]] 건축을 대표하는 [[양식]] 중 하나로 꼽힌다. 뒷 부분은 평범하게(?) [[기단]]을 쌓고 [[초석|주춧돌]]을 받쳤다. * [[지붕]]은 팔작지붕, [[처마]]는 홑처마에 [[공포]]는 초익공 양식이다. 용마루와 내림마루, 추녀마루는 [[기와]]로 마감하고 [[용두]]와 취두를 올렸으나 [[잡상]]은 놓지 않았다. 기둥은 네모나고 [[단청]]은 긋기단청을 하여 소박한 느낌을 주었다. * 정면의 바깥 면엔 [[창문]]과, [[문]], [[벽]]을 두지 않아 외부와 통해있다. 그리고 기둥 사이마다 [[난간]]을 설치했으며, 정면과 남쪽 측면이 만나는 툇마루 앞에 [[사다리]]를 놓아 통행할 수 있게 했다. [[마루|툇마루]] 안쪽에 벽과 문, 창을 설치했다. 각 칸의 바깥 면마다 중방을 놓았는데 정면 기준 왼쪽에서 3번째 칸을 제외한 나머지 칸은 중방 위가 벽이다. * 왼쪽에서 1번째 칸은 중방 아래를 띠살문으로 두었고, 2, 4번째 칸은 문선을 세운 뒤 창을 놓았으며 3번째 칸은 중방 위에 교창을, 아래를 띠살문으로 두었다. 남쪽 측면과 뒷면(서쪽 면)의 외부 역시 교창과 문인데, 문 창살의 경우 남쪽 측면의 동쪽 1칸만 띠살문이고 나머지는 전부 ‘정(井)’자 살이다. 뒷면의 2번째 칸(뒷면에서 봤을 때 기준)의 툇마루는 밖으로 통하게 만들어 출입이 가능하다. 북쪽 측면의 중방 아래는 문이나 위는 교창이 아닌 [[나무]] [[판]]이며, 남쪽 측면과 마찬가지로 동쪽 1칸만 띠살이고 나머지는 ‘정(井)’자 살이다. * 실내는 [[마루|툇마루]]를 제외한 남쪽과 북쪽에 각각 [[온돌|온돌방]] 2칸 씩 총 4칸이 있으며 온돌방 사이에 [[대청]]을 두었다. 이렇게 대청을 중심으로 양 옆에 온돌을 둔 [[구조]]는 숭문당과 마찬가지로 일상 편전이었던 [[창덕궁 희정당]], [[경희궁 흥정당]]과 비슷하다. * [[대청]]에 '일감재자(日監在玆)'란 게판이 걸려있다. 사진을 보려면 [[http://cafe.daum.net/moongch/_album/1031?q=%EC%B0%BD%EA%B2%BD%EA%B6%81+%EC%88%AD%EB%AC%B8%EB%8B%B9+%EC%9D%BC%EA%B0%90%EC%9E%AC%EC%9E%90&re=1|여기]]로. 《[[시경|시경(詩經)]]》에 나오는 말이다. 직역하면 '날(日)마다 보는 것(監)이 여기에(玆) 있다(在)'로, '하늘이 내려다보고 있으니 공경하는 마음을 잃지 말라'는 뜻이다. 제멋대로 행동하고 [[사치]]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걸었다고 한다.[[http://sillok.history.go.kr/id/kua_13404005_003|#]] 숭문당 현판과 마찬가지로 [[영조]]가 직접 썼다. == 여담 == * [[영조]]가 이 곳을 특히 자주 이용했다. 친히 [[성균관]] [[학생]]들을 접견하여 [[시험]]하기도 하고 때로는 [[잔치]]를 베풀어 그들을 격려하기도 했다. * [[경기도]] [[의정부시]] [[호국로(경기도)|호국로]]에 있는 [[서점]] [[숭문당]]이 여기서 이름을 따왔다. [[분류:창경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