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대한민국 참모총장)] [include(틀:참모부)] {{{+1 '''[[參]][[謀]][[總]][[長]]'''}}} Chief of Staff(육군, 공군)/Chief of Naval Operations(해군) [목차] [clearfix] == 개요 == 많은 [[국가]] [[군대]]의 3군([[육군|육]]·[[해군|해]]·[[공군|공]][[장성급 장교|군]])에서 각군의 최고 선임[[장교]]이다. [[대한민국 국군]]에서는 창군 초기부터 국방체제 정립기인 1960년대까지는 [[중장]]이, 심지어 육군은 [[소장(계급)|소장]]이 총장 직위를 맡기도 했으나, 자주국방이 어느 정도 확립된 그 이후로는 [[대장(계급)|대장]]이 임명되게 됐다.[* 공군은 9대(장지량 중장) 해군은 7대(함명수 중장) 육군은 14대(장도영 중장) 이후로 대장이 계속 임명되고 있다. 다만 합참의장은 그 이전부터 계속 육군 대장이 맡고 있었다.] 사실 군 규모가 작은 나라에서는 중장이나 소장이 참모총장을 맡는 경우가 드물지 않다. 예로 [[이스라엘군]]의 경우 2013년 현재도 [[국방참모총장]]이 [[중장]]이며, 총 병력이 170명밖에 안 되는 [[앤티가 바부다군]]은 아예 장군 보직 자체가 없고 [[대령]]이 최고 계급으로 참모총장이다. [[상비군]]이 70명인 [[세인트 키츠 네비스군]]은 중령이 참모총장이다. 원래 [[참모]]는 [[지휘관]]을 보좌하는 역할에 불과했지만, 근대 [[프로이센군]]에서는 이러한 참모에게 대폭적으로 역할과 권한을 위임하여 사실상 군대 조직의 핵심 지휘부와 같은 역할이 주어졌다. [[장군참모]] 문서 참조. == 명칭 == 참모총장이라는 단어는 [[일본]]에서 처음 쓰인 것이다. 초기 [[일본 육군]]은 [[프랑스]]의 영향을 강하게 받았으나, [[프로이센]]이 [[보불전쟁]]에서 승리하고 [[독일 제국]]을 수립하는 등 승승장구하자 [[1870년대]]부터 독일의 군제를 받아들여 재편하기 시작했다. 이때 독일의 [[장군참모]](Generalstab) 제도를 수용하여, [[군령권]] 행사 조직을 조정한다. 당초에는 이런 참모들이 [[육군성]]과 [[해군성]] 산하의 참모국에서 활동했으나, [[1878년]]에 [[군정권]]과 [[군령권]]의 분리를 추진하면서 육군성(군정)과 독립된 '참모본부'(군령)를 신설한다. 이때는 참모본부의 수장(Generalstabchef)을 '참모본부장'이라고 번역했다. 그런데 [[일본군]]에서는 당시부터 육군 중심의 육·해군 통합 지휘체계를 가져가야 한다는 주장과, 해군의 독립성을 유지해야 한다는 양 [[군종]]간 대립이 극심했다. [[1886년]]에는 [[합동참모본부]] 개념의 '참모본부'가 만들어져 그 산하에 육군부와 해군부를 두기로 하였으나, 해군은 이에 계속 반발하여 [[1888년]]에는 '육군참모본부'와 '해군참모본부'가 분리되었다. 이때까지도 각 군 참모본부의 수장은 '참모본부장'이었다. 이러다 [[1889년]]에 다시 육군은 통합 지휘체계 관철을 추진하여 '육군참모본부'를 다시 '참모본부'로 개칭하고, 육군과 해군의 군령권을 총괄한다는 의미에서 그 수장을 '참모총장(参謀総長)'이라고 명명하였다. 즉, 참모총장은 원래는 '육군과 해군 참모부를 총괄하는 장'이라는 의미로 붙여진 것이다. 하지만 다시 한 번 해군은 이러한 육군 중심의 통수체계에 격렬히 반발하여, 실질적으로 참모총장은 육군의 군령권만을 행사할 수 있었다. 이후 해군은 [[1893년]]에 해군참모부를 '해군군령부'로 이름을 변경해 아예 계통이 다르다는걸 과시했다. 그러나 [[대한민국]]의 '참모총장'은 이와는 다른 과정을 거쳐 만들어진 용어이다. 원래 [[대한민국 국군]] 창군 당시에는 [[대통령]] 및 [[국방장관]]을 보좌, 대리하는 각 군 최선임자의 명칭으로 '[[총참모장]]'을 채택하였다. 이는 [[중국]](당시에는 [[중화민국]]을 말한다.)의 영향인데, 중국에서는 전군을 총괄하는 참모부의 의미로 '총참모부'라는 표현을 썼고, 총참모부의 장을 '총참모장'이라고 했다. [[6.25 전쟁]] 전 기간 동안에는 이 명칭이 그대로 쓰였다. 이 명칭에 변화가 논의된 것은 그 이후 [[1954년]]이 되어서의 일이다. 이때 육·해·공군 통합 의결기구인 합동참모회의(초대의장 [[이형근]])가 만들어졌는데, 이 참모회의를 '합동참모본부'로 법제화된 상설기구화하는 가운데 논란이 불거진다. [[1954년]] 4월만 해도 이 협의체를 '합동참모본부'로 공식화하면서 그 장은 '본부부장', 기존의 육·해·공군 총참모장은 '육군부장', '해군부장', '공군부장'으로 명명하려 했다. 그러나 한국에서는 '부장'이 다소 격이 낮은 이미지를 갖고 있기 때문에, '총장'이라는 명칭을 쓰기로 의견을 모은다. 결국 '합동참모본부'의 장은 '합동참모본부 총장', 각 군의 장은 '참모총장'으로 정리가 되어, [[1954년]] 5월에 [[https://www.law.go.kr/%EB%B2%95%EB%A0%B9/%EC%97%B0%ED%95%A9%EC%B0%B8%EB%AA%A8%EB%B3%B8%EB%B6%80%EB%A0%B9/(00895,19540503)|연합참모본부령]]으로 공식화된다. 하지만 이미 [[제헌 헌법]] 당시에도 제 72조에 '국군참모총장'이라는 문구가 확인되므로 이미 이전부터 해당 명칭은 사용되고 있었다. > {{{#!wiki style="text-align:center" '''연합참모본부령''' }}} > '''제1조''' 군령에 관하여 대통령을 보필하고 국방정책 및 계획을 건의하며 육, 해, 공군의 연계협조를 도모하기 위하여 대통령직속하에 연합참모본부(以下 本部라 한다)를 둔다. > > '''제2조''' 본부에 중요한 사항을 심의하기 위하여 연합참모회의(以下 會議라 한다)를 둔다. 회의는 연합참모본부총장(以下 總長이라 한다) 및 육, 해, 공군'''참모총장'''으로써 구성한다. 총장은 장관급장교중에서 국무회의의 의결을 거쳐 대통령이 임명한다. > …… > '''제8조''' 법률이 제정될 때까지 육, 해, 공군총참모장을 각각 육, 해, 공군'''참모총장'''으로 호칭한다. 또한 최상위법인 [[대한민국 헌법]] 제89조([[국무회의]] 심의)의 16.'[[검찰총장]]·'''합동참모의장'''·'''각군참모총장'''·국립대학교총장·대사 기타 법률이 정한 [[공무원]]과 국영기업체관리자의 임명'에 해당 명칭이 그대로 기재되어 있기 때문에 합동참모의장 및 각군 참모총장의 명칭은 개헌을 하지 않는 이상 헌법에 의해 바뀔 수가 없다. 따라서 [[대한민국 국군]]의 '참모총장'은 일반적인 '참모장'의 격을 한층 높여 '참모'''총'''장'이라고 불러주는 것이다. 한편으로 전군의 [[군령권]]을 총괄하는 기구로 '총참모부'의 [[전통]]이 남아 있는 [[소련군]], [[중국 인민해방군|중국군]], [[조선인민군|북한군]], 과거 [[공산권]] 시절의 [[동유럽]] 국가의 군에서는 '총참모부의 수장'이라는 의미로 '[[총참모장]]'이라는 용어가 계속 쓰여왔다. 이외에 [[대만군]]에서는 우리나라의 합참의장에 해당하는 직책을 '참모총장'[* 정확히는 참모본부의장(參謀本部議長)의 준말로 참모총장이다.], 우리나라의 각군 참모총장에 해당하는 직책을 [[대만군/역대 참모총장 및 사령|'각군사령']]이라고 부른다. [[대만군]]에서는 [[미군]] 합참의장을 미국참모장연석회의주석(美國參謀長聯席會議主席)이라 하며 줄여서 참모총장이라고 한다. 처음 이 단어를 만든 [[일본]]에서도 참모총장이란 말을 아직 사용하고 있다. 일본 [[자위대]]의 통합막료장을 참모총장이라고도 부른다. 통합막료감부 홈페이지에서는 [[이와사키 시게루]] 통합막료장이 [[최윤희(군인)|최윤희]] 한국군 합참의장 및 [[마틴 뎀프시]] 미군 합참의장을 만난 것을 두고 '일미한참모총장급회담공동언론발표(日米韓参謀総長級会談共同プレス発表)'라고 묘사했다. [[http://www.mod.go.jp/js/Joint-Staff/js_message.htm|출처]] 이 경우에서 볼 수 있듯이, 일본의 참모총장은 한국군의 각 군종 참모총장이 아닌, [[합참의장]]에 해당하는 의미이다. == 지위 == 대부분 [[현대]] 국가에서 참모총장이 [[제복군인]] 중 최선임자이나, [[국가]] 군대의 최고사령관은 국가원수이다. 참모총장은 그 의미 그대로 '참모들의 우두머리'일 뿐 '[[최고사령관]]'은 아니다. 참모총장은 군사 문제의 전문가가 아닌 [[국가원수]]에게 참모로서 조언하는 위치에 있는 군인이라고 할 수 있다. [[군대]]에는 [[군령권]]과 [[군정권]]이 있는데 각군의 참모총장은 최선임 제복군인은 맞으나 단지 최선임이라는 의미일뿐 최고사령관은 될 수 없다. 당장 미국도 그렇고 우리도 그렇고 참모총장에게는 [[명령]]을 내릴 수 있는 군령권이 부여되지 않는다. 군령권은 원칙적으로 [[국민]]으로부터 최상위 권한인 [[통수권]]을 부여받은 대통령에게서 직접(실질적으로 합참을 통해) 각군의 [[작전사령관]]에게 집행된다. 군정권에 대해서는 국방장관과 각 군의 참모총장은 대통령과 각 부대 사령관 들 사이에서 대리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자세한 사항은 [[문민통제]] 문서로. 대한민국에서 참모총장은 위에 서술된 바와 같이 국방장관을 보좌하는 각 군의 [[참모장]]의 역할으로 그 지위가 국군조직법에 규정되어 있다. > 제10조(각군 참모총장의 권한 등) ② 각군 참모총장은 국방부장관의 명을 받아 각각 해당 군을 지휘·감독한다. 다만, 전투를 주임무로 하는 작전부대에 대한 작전지휘·감독은 제외한다. [[문민통제]]의 원리상 국군조직법상 참모총장의 사무총괄권은 인정되지 아니하며, 각 군의 행정사무관장은 정부조직법에 따라 국방부가 행사한다. == 목록 == === [[대한민국]] === ||'''[[국군조직법]] 제10조(각군 참모총장의 권한 등)''' ① 육군에 [[대한민국 육군참모총장|육군참모총장]], 해군에 [[대한민국 해군참모총장|해군참모총장]], 공군에 [[대한민국 공군참모총장|공군참모총장]]을 둔다. ② 각군 참모총장은 국방부장관의 명을 받아 각각 해당 군을 지휘·감독한다. 다만, 전투를 주임무로 하는 작전부대에 대한 작전지휘·감독은 제외한다.|| 각 군 참모총장은 [[군정권]](軍政權)을 행사하여 자군의 군사력을 건설·유지·관리한다. 그리고 가장 강력한 권한이라 할 수 있는 인사권을 가지고 장교들의 [[진급]], 보직에 관련된 업무를 지휘·통제한다. ||'''군인사법 제19조(참모총장 등의 임명)''' ① 참모총장은 해당 군의 [[장성급 장교]] 중에서 [[대한민국 국방부장관|국방부장관]]의 추천을 받아 [[국무회의]]의 심의를 거쳐[* 참모총장 임명에는 국무회의 심의를 거쳐야 한다는 것은 헌법에도 규정된 사항이다.] 대통령이 임명하며, 해병대사령관은 해병대 장성급 장교 중에서 해군참모총장의 추천을 받아 국방부장관의 제청으로 대통령이 임명한다. ② 참모총장은 재임기간 동안 해당 군에서 복무하는 현역장교 중 최고의 서열을 가지며, 해병대사령관은 재임기간 동안 해병대에서 복무하는 현역장교 중 최고의 서열을 가진다. ③ 참모총장의 임기는 2년으로 하며, 해병대사령관의 임기는 2년으로 한다. 다만, 전시·사변시에는 한 차례 연임할 수 있다. ④ 참모총장은 그 직위에서 해임 또는 면직되거나 그 임기가 끝난 후 [[대한민국 합동참모의장|합참의장]]으로 전직(轉職)되지 아니하면 전역되며, 해병대사령관은 그 직위에서 해임 또는 면직되거나 그 임기가 끝난 후에도 진급하거나 다른 직위로 전직되지 아니하면 전역된다.|| ||<:> 군종 ||<:> '''육군''' ||<:> '''해군''' ||<:> '''공군''' || ||<:> 기장 ||<:> [[파일:liujuncanmou_3.png|width=110]] ||<:> [[파일:haijun.png|width=110]] ||<:> [[파일:ROKAF_cheif2.png|width=110]] || ||<:> 사진 ||<:> [[파일:박안수 참모총장.jpg|width=110]] ||<:> [[파일:해군 대장 양용모.jpg|width=110]] ||<:> [[파일:공군대장 이영수.jpg|width=110]] || ||<:> 성명 ||<:> [[박안수]](朴安洙)||<:> [[양용모(군인)|양용모]](梁龍模) ||<:> [[이영수(군인)|이영수]](李英秀) || ||<:> 계급 ||<-3><:> 대장 || ||<:> 기수 ||<:> [[육군사관학교|육사]] 46기 ||<:> [[해군사관학교|해사]] 44기 ||<:> [[공군사관학교|공사]] 38기 || ||<:> 취임일 ||<:> 2023년 10월 31일 ||<:> 2023년 10월 31일 ||<:> 2023년 10월 31일 || * [[대한민국 육군참모총장]] * [[대한민국 해군참모총장]] * [[대한민국 공군참모총장]] * [[대한민국 해병대사령관]] ==== [[국직부대]] 및 [[대한민국 합동참모본부|합동참모본부]], [[한미연합군사령부]] ==== 복장과 복무기간만 육해공군, 해병대일 뿐, 참모총장 역할은 각각 국방부장관, 합참의장, 한미연합군사령관이 겸한다. 육해공군 참모총장, [[해병대사령관]]은 국직, 합참, 연합사 장병과 직접 연관이 없다. 쉽게 말해서 일반 육해공군, [[해병대]]와 다르게, '''국방부군, 합참군, 한미연합군'''이라는 별도의 군사 조직이 있다 생각하면 된다. === 미국 === [[미군]]은 육/공 Chief of Staff라는 직위가 참모총장으로 번역된다. 엄밀히 말하면 Chief of Staff라는 명칭은 예하 부대에서도 참모장 보직명에 해당하게끔 쓰고 있는 명칭이지만 '''각 군별 최선임은 각 군의 [[참모장]][* Chief of Staff '''of the US Army/Air Force'''라고 쓰는 의도를 생각해보자.]이며 국가원수가 그 위에서 군령을 내린다'''는 의미로 쓰이고 있다. 다만 해군/우주군은 육/공군과 동떨어진 Chief of Naval/Space Operations라는, 작전사령관 혹은 작전부장이라 직역될 수 있는 직책명을 쓰고 있으며, [[미합중국 해안경비대|해안경비대]]나 해병대의 경우 [[사령관]](Commandant)이라는 용어를 쓰고 [[주방위군]]의 경우는 Chief of the National Guard Bureau라는 직위명([[주방위군총감]])을 쓰기 때문에 참모총장이라는 명칭이 아주 정확한 번역은 아니다. 하지만 이들도 엄연한 [[합동참모본부]]의 일원이며 실제 권한도 육/공과 다를바 없는 존재라는 점에서[* 해안경비대의 경우는 전시에 해안경비대가 해군으로 편입된 경우에만 해당된다. 평시에는 국방부 [[해군부]]가 아니고 [[국토안보부]] 산하 [[조직]]이라 해안경비대참모총장(사령관)은 합참에 들어가지 않는다.] 육해공과 동등한 참모총장이라는 직위명으로 번역하는 것도 일리는 있다.[* 가장 주요한 이유는 역시 통일성이다. 번역에서 항목이 난립하는 것을 막기 위해. 다만 해병대는 한국에서도 어차피 해병대사령관이므로 굳이 해병총장으로 번역할 필요는 없다.] 본 위키에서는 육.해.공.우주군 참모총장 제외 미군의 참모총장급 지휘관을 [[주방위군총감]], [[미합중국 해병대|해병대사령관]], [[해안경비대사령관]]으로 번역한다. 다만 '''참모'''라는 호칭에서 알 수 있듯 [[군정권]]은 없다. 미군에서 각 군의 군정권을 가진 자는 참모총장이 아니라 각 군의 [[장관]]이다. 장관은 [[국방장관]]처럼 [[민간인]]으로 임명한다. 대한민국이 참모총장의 지휘하에 군대가 움직이는 것과는 다르게 강력한 [[문민통제]] 원칙을 지키기 위해 '''참모총장이 자신의 해당군 상관의 부하'''로 편제되어 있다. 그냥 서류상으로만이 아니라 진짜로 참모총장이 장관의 부하로 참모총장이 장관에게 불손하게 행동하면 '''정식으로 상관모독죄가 성립'''된다. 실제로도 참모총장은 [[대장(계급)|대장]] 보직인데 각 군부 장관은 의전상 [[원수(계급)|원수]] 예우를 받는다. 일단 [[의전서열]]부터 각 군부 장관의 계급이 1계급 높다. * 미 육군참모총장은 [[육군부]] 소속으로 '''육군장관의 부하'''이며 제복군인으로서 육군 최선임자다. * 미 해군참모총장은 [[해군부]] 소속으로 '''해군장관의 부하'''이며 제복군인으로서 해군 최선임자다. * 미 공군참모총장은 [[공군부]] 소속으로 '''공군장관의 부하'''이며 제복군인으로서 공군 최선임자다. || 기장 || [[파일:external/5161b4f96caf989eaf937dba89fadf2aa493a024e9500d0b3df5bac6c5eb45bb.png|width=100]] ||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150px-US-ChiefOfNavalOperations-Flag.svg.png|width=100]] ||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150px-CoSUSAF.svg.png|width=100]] ||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150px-Flag_of_the_Commandant_of_the_United_States_Marine_Corps.svg.png|width=100]] || [[파일:300px-Flag_of_the_Chief_of_Space_Operations.svg.png|width=100]]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180px-Chief%2C_National_Guard_Bureau_Flag_%282008%29.jpg|width=100]] [* 과거에는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150px-Chiefngbureauflag.jpg]] 이런 기장을 썼다. 현재의 기장은 4성장군이 이 보직에 임명될 때부터 쓰이고 있다. 그것도 2008년 크레이그 매킨리 공군대장이 처음이고 2012년 프랭크 그래스 육군대장이 임명된 것이 두 번째일 정도라서 주방위군참모총장이 대장 계급으로 보임된 것은 그리 오래되지 않았다. ] ||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150px-USCG_COMDT_W.svg.png|width=100]] || || 사진 || [[파일:GEN_Randy_A._George_(2).jpg |width=100]] || [[파일:ADM_Lisa_M._Franchetti_(2).jpg |width=100]] || [[파일:Alvin VCSAF.jpg |width=100]] || [[파일:Smith Vice.jpg |width=100]] || [[파일:살츠만 우주군 참모총장.png|width=100]] || [[파일:1280px-GEN_Daniel_R._Hokanson.jpg|width=100]] || [[파일:l.fagan.jpg|width=100]] || || 직위 || [[육군참모총장]] || [[해군참모총장]] || [[공군참모총장]] || [[해병대사령관]] || 우주군참모총장 || [[주방위군총감]] || [[해안경비대사령관]] || || 이름 || [[랜디 조지]] [br] (Randy A. George) || [[리사 프란체티]] [br] (Lisa M. Franchetti) || [[데이비드 올빈]] [br] (David W. Allvin) || [[에릭 스미스(군인)|에릭 스미스]] [br] (Eric M. Smith) || [[챈스 솔츠먼]] [br] (Chance Saltzman) || [[다니엘 호칸슨]] [br] (Daniel R. Hokanson) || [[린다 파간]] [br] (Linda L. Fagan) || [[미 해군]]의 [[해군 항공대]]는 [[해군참모총장]]을 [[기수열외]](...)한 경험이 있다. [[테일후크 스캔들]]과 [[제러미 마이클 보더]] 문서로. === 러시아 === [[러시아군]]은 참모총장을 [[총사령관]]이라고 한다. || [[육군참모총장|지상군 총사령관]] || [[공군참모총장|항공우주군 총사령관]] || [[해군참모총장|해군 총사령관]] || [[전략로켓군|전략로켓군 사령관]] || [[공수부대|공수군 사령관]] || [[내무군|국가근위대 총사령관]] || || [[파일:external/eng.mil.ru/salyukov_hr.jpg|width=100]] || [[파일:attachment/러시아군/bondare.jpg|width=100]] ||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Korolev_Vladimir.jpg|width=100]] || [[파일:attachment/러시아군/serkara.jpg|width=100]] || [[파일:attachment/러시아군/shama.jpg|width=100]] || [[파일:external/pbs.twimg.com/CAA6L73UYAAIcTl.png|width=100]] || || 올레그 살류코프 [br] 대장 || 빅토르 본다레프 [br] 상장 || 블라디미르 코롤료프 [br] 상장 || 세르게이 카라카예프 [br] 상장 || 블라디미르 샤마노프 [br] 상장 || 빅토르 졸로토프 [br] 대장 || === 중국 === [[인민해방군]]의 각 군의 최선임은 각각 사령원(司令員)이라 불리며 [[육군]]의 경우엔 [[총참모장]]이 겸임하였으나 2016년 1월 1일 단행된 군 개혁으로 육군사령원이 별도로 임명되었으며 전략지원부대가 창설되었다. 전원 계급은 상장이며 해외군 대장에 상응한다. 중국은 [[준장]]이 없다. 이쪽도 미군처럼 각 군 사령원보다는 실질적인 전투력을 지휘하는 [[전구사령관|전구사령원]]이 실세이다. [include(틀:중국 인민해방군 군종별 최선임)] === 영국 === [[영국군]]은 [[육군]] 및 [[공군]]은 참모총장이며 [[해군]]은 First Sea Lord[* 고정된 번역명이 없어서 그런지 제1해군경, 제 1 군사위원 등으로 번역된다. 다만 [[언론]]에서는 독자들의 편의 때문인지 그냥 영국 해군참모총장이라고 부른다. First Sea Lord and Chief of Naval Staff라고 부르기 때문에 틀린 말도 아니다.]이라고 한다. 공군과 육군 참모총장도 각각 Chief of Air Staff, Chief of General Staff로 Chief of Staff of ~ 형식인 미국과 다르게 표기한다. || [[육군참모총장]] || [[해군참모총장]] || [[공군참모총장]] || [[통합군사령관|합동군사령관]] || || [[https://en.wikipedia.org/wiki/Chief_of_the_General_Staff_(United_Kingdom)|육군참모총장]] || [[https://en.wikipedia.org/wiki/First_Sea_Lord|해군참모총장]] || [[https://en.wikipedia.org/wiki/Chief_of_the_Air_Staff_(United_Kingdom)|공군참모총장]] || [[https://en.wikipedia.org/wiki/Joint_Forces_Command|합동군사령관]] || || [[https://en.wikipedia.org/wiki/Mark_Carleton-Smith|마크 칼튼 스미스]] 대장 [br] (General Sir Mark Carleton-Smith) || [[https://en.wikipedia.org/wiki/Tony_Radakin|토니 라다킨]] 대장 [br] (Admiral Sir Anthony David Radakin) || [[https://en.wikipedia.org/wiki/Michael_Wigston|마이크 윅스턴]] 대장 [br] (Air Chief Marshal Sir Michael Wigston) || [[https://en.wikipedia.org/wiki/Patrick_Sanders_(British_Army_officer)|패트릭 샌더스]] 육군대장 [br] (General Sir Patrick Nicholas Yardley Monrad Sanders) || === 영연방 및 타군 === [[호주군]], [[뉴질랜드군]], [[캐나다군]], [[프랑스군]], [[이탈리아군]], [[독일 연방군]], [[네덜란드군]], [[벨기에군]] 문서로. === 대만 === [[대만군]]에선 참모총장을 사령(司令)이라고 하지만 사령관을 [[지휘관]](指揮官)이라고 한다. || [[군종]] || [[대만 육군]] || [[대만 해군]] || [[대만 공군]] || || 기장 ||<:>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150px-ROC_Commanding_General_of_Army_Flag.svg.png]] ||<:>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150px-ROC_Commanding_General_of_Navy_Flag.svg.png]] ||<:>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150px-ROC_Commanding_General_of_Air_Force_Flag.svg.png]] || || 사진 ||<(> [[파일:0f60d96a-c482-4e3c-b825-5147080d468e.jpg|width=200]] ||<(> [[파일:202305021437_335336.png|width=200]] ||<(> [[파일:202205041545_459220.jpg.png|width=200]] || || 계급||<-3> [[대장(계급)|상장]](대장) || || 이름 || [[중수밍]] || [[탕화(군인)|탕화]] || [[류런위안]] || || 한자 || 鍾樹明 || 唐華 || 劉任遠 || || 임관 || 1986년 || 1986년 || 1985년 || || 출신 || [[대만 군관학교|육군관교]] || [[대만 군관학교|해군관교]] || [[대만 군관학교|공군관교]] || === 일본 === [[일본]] [[자위대]]에서는 참모총장 대신 [[막료장]](幕僚長)이라는 명칭을 사용한다. [[막료]]는 [[참모]]란 뜻이다. 사단급 부대에도 막료장이 있기 때문에 육상, 해상, 항공으로 구분해야 한다. ~~가끔 줄여서 막장이라고도 한다. 육막장, 해막장, 공막장~~ || [[군종]] || [[육상자위대]] || [[해상자위대]] || [[항공자위대]] || || 기장 ||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150px-Flag_of_Chief_of_Staff_of_the_Ground_Self-Defense_Force_%28JGSDF%29.jpg]] ||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150px-Flag_of_Chief_of_Staff%2C_Maritime_Self_Defense_Force.svg.png]] ||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150px-Flag_of_Chief_of_Staff_of_the_Air_Self_Defense_Force_%28Japan%29.gif]] || || 계급||<-3> [[대장(계급)|막료장]][* 공식계급은 각각 3성 장성(장군 및 제독)인 육장, 해장, 공장이나 실제로는 4성장성(장군 및 제독)이다.] || || 사진 || [[파일:20230331_01.jpg|width=200]] || [[파일:sakai.jpg|width=200]] || [[파일:message1.jpg|width=200]] || || 이름 || [[모리시타 야스노리]] || [[사카이 료]] || [[우치쿠라 히로아키]] || || 한자 || 森下泰臣 || 酒井良 || 内倉浩昭 || || 임관 || 1988년 || 1987년 || 1986년 || || 출신 || [[방위대학교|방대]] 32([[육군사관학교|육사]] 44) || [[방위대학교|방대]] 31([[해군사관학교|해사]] 41) || [[방위대학교|방대]] 30([[공군사관학교|공사]] 34) || === 북한 === ||<-6> [[파일:로동신문김정은.jpg|width=250]] || ||<-6> [[최고사령관|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무력 최고사령관]][* 최고사령관 직책과 더불어 [[조선로동당]] 내 군부 통제기관인 중앙군사위원회 위원장 직도 겸한다. [[2020년]] [[10월 10일]] 열병식 때 직함을 총사령관([[국무위원회]] 위원장이 겸직)으로 사용하기도 했다.] || ||<-6> 공화국 원수[* 북한은 국가지도자가 직접 군사 계급을 가지고 있는 현역 제복군인이다. [[제1세계]]국가로 따지자면 대통령이 합참의장을 겸임하는 셈이다. 과거 공산권 국가에서는 으레 있는 일이었지만 현재까지도 이러한 형태를 유지하는 것은 북한이 유일하며 현재는 아프리카 독재국가에서 이러한 형태가 꽤 있다.] [[김정은]] || || [[파일:북한리명수.jpg|width=120]] || [[파일:북한 박정천.jpg|width=120]] || [[파일:오일정.jpg|width=120]] || [[파일:북한 권영진.jpg|width=120]] || [[파일:림광일_2021.jpg|width=120]] || [[파일:/image/023/2016/05/10/2016051001169_0_99_20160510140404.jpg|width=120]] || || 최고사령부 제1부사령관 || 당 중앙군사위 부위원장 || 당 군정지도부 부장 || [[정치장교|총정치국장]] || [[총참모장]] || [[국방상(북한)|국방상]] || || 차수 [[리명수]] || [[박정천]] || 상장 [[오일정]] || 차수 [[권영진(북한)|권영진]] || 대장 [[림광일]] || 대장 [[리영길]] || || [[파일:북한김성길.jpg|width=120]] || [[파일:북한김충일.jpg|width=120]] || [[파일:북김정길.jpg|width=120]] || [[파일:북한김영복.jpg|width=120]] || [[파일:장정남.jpg|width=120]] || [[파일:1513746240885278.jpg|width=120]] || || [[조선인민군 해군|해군사령관]] || [[조선인민군 항공 및 반항공군|항공 및 반항공군사령관]] || [[조선인민군 전략군|전략군사령관]] || [[조선인민군 특수작전군|특수작전군사령관]] || [[사회안전성|사회안전상]] || [[국가보위성|국가보위상]] || || 중장 [[김성길(북한)|김성길]] || 중장 [[김충일(북한)|김충일]] || 상장 [[김정길(북한)|김정길]] || 상장 [[김영복(북한)|김영복]] || 상장 [[장정남]] || 상장 [[정경택]] || 북한군에선 각군 사령관[* 군정권과 군령권을 둘 다 행사한다.]이라고 하며 육군사령관은 [[총참모장]]이 겸임하고 그 외 군은 사령관이 별도로 있다. == 등장 매체 == * [[용자왕 가오가이가]] - [[휴마 게키]][* GGG의 작전참모총장을 맡고 있지만 작중에는 참모라는 약칭으로 자주 불린다.] * [[육상방위대 마오]] - 오니가와라 리쿠시로(육군), 아달베르트 폰 마루야마(해군), 쓰키시마 소라지로(공군) * [[원피스(만화)|원피스]] - [[사보]] * [[참모총장이 되어보기로 했다]] [각주] [[분류:참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