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김정은]][[분류:전용기]] [include(틀:전용기)] [include(틀:현대전/북한 항공병기)] [목차] == 개요 == [[김정은]]의 [[전용기]]. [[2015년]] [[7월 31일]] 북한발 [[뉴스]] 보도를 통해 북한에서 부르는 명칭은 '''참매 1호'''라는 사실이 공개됐다. [[참매]]는 [[북한]]의 [[국조]]이다. 김정은 이외의 사람이 탑승할 때에는 '''참매 2호'''라고 부른다. == 운용 기체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참매1호.jpg|width=100%]]}}}|| ||<#db1b15> '''{{{#fff Ilyushin Il-62M, P-882 참매 1호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Air Force Un.jpg|width=100%]]}}}|| ||<#db1b15> '''{{{#fff Ilyushin Il-62M, P-618 참매 2호 }}}'''[* 2018년 2월 9일 ~11일 [[김여정]] 부부장이 방남했을 때 [[인천국제공항]]에서 찍힌 사진이다.] || 기종은 구 [[소련]] [[일류신]] 설계국이 제작한 여객기 [[Il-62]]M이며 [[고려항공]] 소속 VIP 수송용 기체로, 해당 기체의 개발년도는 [[1974년]]으로 상당히 노후화된 기종이다. [[고려항공]]은 한때 총 5대를 보유했었으며, 그 중 2대(P-882, P-618)를 VIP기로 사용하는 것으로 보인다.[* 나머지 3대는 비운항 중인것으로 보인다.] 원래 [[김정일]]은 [[Il-62]] 기종이 아닌 [[보잉 757]]이나 [[A310]][* 동구권에서는 구 동독의 국영 항공사였던 인터플루크가 독일 재통일 직전인 1989년에 A310 3대를 도입해 베를린 - 베이징 직항에 취항한 바 있다. 다만 운항 개시 직후 독일이 통일된 관계로 1991년에 4대 모두 전용기로 개조되어 독일 공군에서 운용되다 퇴역했다.] 같은 서방 기체를 구입해 전용기로 사용하려 했으나 당연히 [[미국]]은 북한에게 자국 항공기를 팔지 않았고, [[유럽연합]] 역시 핵과 인권 문제로 제재를 가하여 항공기를 구입하지 못하고 기존의 [[Il-62]]를 사용하게 되었다. 참매 1호와 참매 2호의 구분은 김정은의 탑승 여부에 따르는 것으로 보이나 2018년 이후 참매의 도색에서도 차이가 있는 것으로 보인다. 기체 중간에 [[인공기]]가 도색된 기체(P-618)가 참매 2호, 인공기 대신 [[북한 국무위원회]]의 국무위원장 휘장이 도색된 기체(P-882)가 참매 1호인 듯.[[http://m.hani.co.kr/arti/politics/defense/844219.html|#]] 상단 사진 참고. == 역사 == [[파일:external/img.etoday.co.kr/20140511083541_447481_500_317.jpg|width=500]] [[파일:/image/421/2014/05/11/854690_article_59_20140511153706.jpg|width=500]] [[2014년]] [[5월 9일]] 열린 북한판 [[탑건]] 대회인 '조선인민군 항공 및 반항공군 비행지휘성원들의 전투비행술경기대회-2014'에 [[김정은]], [[리설주]] 부부가 참석한 것을 북한 언론이 보도하면서 처음 알려졌다. 업계의 분석으로는, [[고소공포증]]이 있어 [[모스크바]]까지도 전용 [[열차]] [[태양호]]를 이용한 [[김정일]][* 쿠데타 미수 사건으로 항공기를 기피하게 되었다고 한다. [[김일성]]도 이와 같은 이유로 항공기 이용을 꺼렸다.]과는 달리, 김정은 자신은 비행을 두려워하지 않을 정도로 건강하고 힘차다는, 권위를 과시하는 측면에서 공개한 것으로 알려졌다. [[파일:external/i2.media.daumcdn.net/20140531215704969.jpg|width=500]] [[2014년]] [[5월 31일]]에는 북한 방송을 통해 전용기 내부도 살짝 공개되었다. [[파일:external/img.bemil.chosun.com/20140820040831_2.jpg|width=500]] Il-62가 하도 구형기라 아무래도 안전 문제가 제기되어서인지, 2014년 8월에는 [[고려항공]]이 보유하고 있는 기종 중 가장 새 기종인 [[An-148]]을 타고다니는 모습도 북한 방송에 나왔다. An-148의 경우, 북한 고위 당국자 뿐만 아니라 주북 외국 대사들이 외교 친선 관련 행사에 참여할 때 국내선 항공편으로 이용하기도 한다. [[파일:/image/081/2014/10/04/SSI_20141004161701_V_99_20141004194608.jpg|width=500]] [[2014년]] [[10월 4일]] [[2014 인천 아시안 게임|인천 아시안 게임]] 폐막식 참석을 명분으로 [[대한민국]]에 온 북한 특사단([[황병서]], [[최룡해]], [[김양건]])이 이 Il-62 기체를 이용하여 [[인천국제공항]]에 착륙하였다. 북한 영토도 헌법상 우리 영토로 치기 때문에 터미널 배정은 대한민국 국적사에 준한다. [[대한항공]] 소속 [[A380]], [[보잉 747]] 등의 대형 여객기 속에서 위화감이 드는 장면. [[파일:screen18-02-09-08-19-37.jpg|width=500]] [[2018년]] [[2월 9일]] [[2018 평창 동계올림픽|평창 동계올림픽]] 개막식 참석을 위해 대한민국에 온 북한 고위급 대표단([[김영남]], '''[[김여정]]''', [[최휘]], [[리선권]])이 이 기체를 통해 [[인천국제공항]]에 착륙해 제1터미널에 주기했다. 이번에도 화물 터미널에 주기되어 있는 [[아시아나항공]]와 [[페덱스 익스프레스]]의 [[보잉 777]], [[보잉 747]] 등의 대형 화물기들 사이에서 위화감이 드는 장면. 남쪽으로 올 때 임시로 사용한 편명은 '''PRK-[[6.15 남북공동선언|615]]''', 다시 북한으로 갈 때 사용한 임시 편명은 '''PRK-616'''이다. 현지시찰에도 전용기를 [[http://m.news.naver.com/read.nhn?mode=LSD&sid1=100&sid2=268&oid=001&aid=0007414722|이용했다]]. [[2018년]] [[5월 8일]]에 [[김정은]]이 참매 1호를 타고 [[다롄]]으로 날아가 [[시진핑]]을 회동한 것이 언론에 의해 보도되었다. 그리고 그해 [[6월 19일]]부터 [[6월 20일]] 1박 2일의 3차 방중 때도 이용되었다. == 여담 == 외국 언론에서는 '[[에어 포스 원|에어 포스]] [[김정은|'''은''']]'으로 [[http://m.news.naver.com/read.nhn?oid=032&aid=0002572717&sid1=100&mode=LSD|부른다]]. '원'을 '김정은'의 '은'으로 바꾼 패러디명. == 기체 역량 == [[Il-62]]의 최대 항속거리(약 9200km)를 고려할 때, 이론상 [[대한민국]], [[중국]], [[일본]] 등 주변국 및 [[동남아시아]] 국가들은 물론이고 [[이란]], [[시리아]] 등 [[서아시아]] 국가들에도 운항이 가능하다. [[미국]]의 경우 [[하와이]]나 [[알래스카]]까지는 가능하나 미국 본토는 무리이다. [[평양]] 기준으로 [[워싱턴 주]], [[오리건]] 등 [[태평양]] 연안 지역까지는 아슬아슬하게 닿지만 항속 거리의 여유가 부족해서 직항이 곤란하다. [[유럽]] 지역의 경우 [[모스크바]] 등 '[[유럽 러시아]]'나 [[폴란드]], [[벨라루스]] 등 [[동유럽]] 국가까지는 가능하지만 [[독일]], [[스위스]], [[이탈리아]] 등의 중~[[서유럽]] 국가들은 역시 항속거리 문제 때문에 직항이 곤란하다. [[남아메리카]] 지역은 직항이 전혀 불가능하며, [[아프리카]]의 경우 [[이집트]], [[에리트리아]], [[에티오피아]] 등이 닿지만 위의 미국 본토와 같은 문제가 있다. 그리고 항공기의 노후화 문제까지 생각하면 직항이 가능한 지역은 이보다 더 줄어들 수 있다. [[싱가포르]]에서 열린 [[2018년 북미정상회담]]에 참석하기 위해 북한 사절단이 탄 기체가 2018년 [[6월 10일]] [[평양국제비행장|평양]]발 [[싱가포르 창이 공항|싱가포르]] 노선을 성공적으로 운항하면서 동남아까지 운항이 가능한 것으로 보인다. 하지만 정작 김정은 본인은 [[중국국제항공]] 소속 [[보잉 747-400]] 여객기를 통해 싱가포르로 이동했다. == 관련 문서 == * [[에어 포스 원]] * [[대한민국 대통령 전용기]] * [[일본정부전용기]] * [[태양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