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태극무공훈장)] ||||
<#003458> {{{#white {{{+1 '''찰스 브래드퍼드 스미스'''}}}[br]'''Charles Bradford Smith'''}}} || ||||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1000121827.jpg|width=100%]]}}} || ||<#003458><|2> {{{#white '''출생'''}}} ||<(> [[1916년]] [[5월 7일]] || ||<(> [[미국]] [[뉴저지주]] 램버트빌 || ||<#003458><|2> {{{#white '''사망'''}}} ||<(> [[2004년]] [[5월 27일]] (향년 88세) || ||<(> [[미국]] [[애리조나주]] 스코츠데일 || ||<#003458> {{{#white '''복무'''}}} ||<(> [[미합중국 육군]] || ||<#003458> {{{#white '''최종 계급'''}}} ||<(> 미국 육군 준장 || ||<#003458> {{{#white '''복무 기간'''}}} ||<(> 1939~1965 || ||<#003458> {{{#white '''학력'''}}} ||<(> [[미국육군사관학교]] || [목차] [clearfix] == 개요 == 미국의 군인. == 생애 == 1916년 5월 7일 미국 뉴저지주 렘버트빌에서 출생했다. 1939년 뉴욕의 미국 육군사관학교를 졸업하고 소위로 임관해 하와이의 오아후 지역 미국 제25보병사단 제35연대 스코필드 배럭스에 배치되어 첫 근무를 시작했고, 35연대의 한 중대를 지휘했다. 1941년 12월 7일 일본의 [[진주만 공습]] 당시 일본군이 진주만과 오아후의 다른 섬을 공격하자 스미스는 본부의 부대와 함께 섬의 수비 위치로 가서 방어하였으며 또한 바다에 빠진 조종사를 구출한 공로로 훈장을 수상했다. 1942년 말, 제25보병사단 소속으로 [[과달카날 전역]]에서 일본군과 싸웠다. 1944년에 미국으로 돌아와 캔자스주의 포트 리븐워스지휘부에 근무하며 미국 육군지휘참모대학교에 다녔다. 그리고 조지아주 포트 베닝에서 교관으로 근무하고, 그 후 워싱턴 DC에 있는 국방부에 배치되어 3년 반 동안 근무했다. 1949년 일본 구마모토에 있는 제24보병사단 21보병연대 1대대장에 부임했다. 1950년 6월 30일 한반도에 미국 지상군 투입이 결정되자, 특수임무부대장으로 임명되어 1대대의 B중대와 C중대를 중심으로 406명으로 편성된 부대를 이끌고 이다츠게 비행장을 출발해 7월 1일 08시 45분 부산에 도착하였으며, 이날 20시에 기차로 부산에서 출발하여 7월 2일 08시에 대전에 도착한 후, 그날 밤 경기도 오산 북방 죽미령을 점령하고 진지공사를 실시해 대대지휘소를 평택에 설치하였다. 7월 4일 사단포병 제52포병대대장 [[밀러 O. 페리]]중령이 A포대를 인솔해 와 합류함으로써 보병과 포병을 통합한 하나의 특수임무부대가 되었다. 7시 비가오는 날씨속에서 수원방향에 T-34 35대, 북한군 4사단을 확인하고 적절한 포격요청과 사격통제를 바탕으로 북한군에게 화력을 퍼부었으나 선두에 있는 2대만 피해입고 후속 전차들은 계속 전진했고 피해가 커졌다. 설상가상으로 탄약마저 떨어지자 퇴각을 결정했다. C중대만 성공적으로 퇴각하고 B중대는 철수명령을 듣지 못했고 B중대의 대부분의 인원들은 전사했다. 이후 포병대와 합류했지만 오산은 점령당했고 안성을 거쳐 천안으로 퇴각했다. 비록 패배했지만 적은 병력과 부족한 장비에도 용감히 싸운 공로로 [[수훈십자장]]을 수여받았다. 이후 계속 제24보병사단 제21보병연대 1대대장으로 활동한 스미스는 1950년 10월 17일 황해도 해주에서 전공을 세워 [[은성훈장]]을 받았다. 1950년 11월 1일 신의주 남쪽 30km 지점까지 북진했다가 중공군의 기습적인 개입으로 후퇴한 뒤 11월 10일 전출 명령을 받고 미국으로 돌아갔다. 버지니아주의 포트 먼로, 포트 맥아더, 캘리포니아주 그리고 펜실베이니아주의 칼라일에 있는 육군 대학과 부대에서 근무했다. 이탈리아 나폴리에서 3년 동안 나토 남부 사령부에서 근무했다. 그 후 조지아주의 포트 베닝에서 제3보병사단 제15보병연대를 지휘했다. 독일 뷔르츠부르크에 부임했고 3년간 선임 참모를 지냈다. 버지니아주 노퍽에 있는 육군 해군 대학의 조교로 근무했다. 그 후 메릴랜드주 포트 미드에서 제2군 참모장이 되었다. 준장으로 진급해 콜로라도주 포트 카슨에서 제5사단 부사단장으로 근무했다. 1965년에 준장으로 퇴역했다. 퇴역 후 2번 내한해 추도식에 참가했으며 1975년 [[태극무공훈장]]을 수여받았다. 애리조나주 스코츠데일에 거주하며 모토로라에서 이사로 근무하기도했다. 2004년 심장마비로 사망했다. [[분류:제2차 세계 대전/군인]][[분류:6.25 전쟁/군인]][[분류:미국의 군인]][[분류:1916년 출생]][[분류:2004년 사망]][[분류:헌터든 카운티 출신 인물]][[분류:미국육군사관학교 출신]][[분류:태극무공훈장]][[분류:심장마비로 죽은 인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