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글로스터셔주 출신 인물]][[분류:영국의 기사]][[분류:영국의 물리학자]][[분류:영국의 발명가]][[분류:영국의 교수]][[분류:이학 교수]][[분류:왕립학회 회원]][[분류:킹스 칼리지 런던 재직]][[분류:1802년 출생]][[분류:1875년 사망]] [include(틀:대영제국 훈장(기사작위 수훈자들-남자))] ---- ||<-2>
{{{+1 {{{#fff '''찰스 휘트스톤'''}}}}}} {{{#white '''경'''}}}[br]{{{#cd9f51 [[기사작위|{{{#cd9f51 '''Sir'''}}}]] '''Charles Wheatstone'''}}} || ||<-2> {{{#!wiki style="margin: -3px -1px -2px" {{{-2 [[왕립학회|{{{#fff '''FRS'''}}}]][* Fellow of the Royal Society[br]왕립학회 회원.] '''FRSE'''[* [[https://en.wikipedia.org/wiki/Fellowship_of_the_Royal_Society_of_Edinburgh|{{{#000,#fff Fellowship of the Royal Society of Edinburgh}}}]][br]에든버러 왕립학회 회원.] '''DCL'''[* [[https://en.wikipedia.org/wiki/Doctor_of_Civil_Law|{{{#000,#fff Doctor of Civil Law}}}]]] '''LLD'''[* [[https://en.wikipedia.org/wiki/Legum_Doctor|{{{#000,#fff Legum Doctor}}}]]]}}} }}}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478px-Charles_Wheatstone_later_years.jpg|width=100%]]}}} || || '''국적''' ||[include(틀:국기, 국명=영국)] || ||<|2> '''출생''' ||1802년 2월 6일 || ||[[영국]], [[잉글랜드]], 글로스터셔, 반우드 || ||<|2> '''사망''' ||1875년 10월 19일 (향년 73세)|| ||[[프랑스]], [[파리(프랑스)|파리]] || || '''직업''' ||물리학자, 발명가, 전기 공학자, 교수 || || '''연구분야''' ||물리학 || || '''업적''' ||[[휘트스톤 브릿지]] 개량 및 발전 휘트스톤-플레이페어 암호 발명 휘트스톤 ABC 전신기 발명 쿡-휘트스톤 전신기 발명 칼라이더폰[* 발음체의 진동성질을 광선으로 나타내는 기계] 발명 전위차계 개량 및 발전 입체경 발명 분광학 발전에 기여 || ||<-2><#fff,#1f2023> '''정보 더 보기'''[br]{{{#!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학력''' ||[[무학#s-2.2|무학]][* 일생동안 어떠한 고등교육기관에서도 수학한 적이 없다. [[악기]]상이었던 아버지의 가정교육과 십대 시절 삼촌의 악기 공장에서 견습생 생활을 했다. 평생 실전에서 독학으로 수많은 업적을 이뤄내 당대 지식인들에게 인정과 존경을 받았던 입지전적인 인물.] || || '''소속''' ||[[킹스 칼리지 런던]] 물리학과[* [[킹스 칼리지 런던]] 초대 물리학과장 (Chair of Experimental Physics)[br][[https://www.kcl.ac.uk/physics/about/history|참고 1]]] {{{-2 (교수 • 학과장) (1834년 – 1875년)}}} || || '''수훈''' ||[[기사작위]] {{{-1 (Knight Bachelor)}}} {{{-2 (1868년)}}} || ||<|6> '''수상''' ||로열 메달[* 왕립학회가 매년 [[영국]] 연방에서 "자연에 대한 지식의 발전에 가장 중요한 공헌을 한" 두 사람과 "응용 과학 분야에서 뛰어난 공헌을 한" 한 사람에게 주는 상] {{{-2 (1840년, 1843년)}}} || ||스웨덴 왕립과학 아카데미 회원 {{{-2 (1859년)}}} || ||앨버트 메달 {{{-2 (1867년)}}} || ||프랑스 과학 아카데미 회원 {{{-2 (1873년)}}} || ||영국 토목기술협회 명예회원 {{{-2 (1875년)}}} || ||코플리 메달[* 과학 업적에 대해 수여되는 가장 오래된 상] {{{-2 (1868년)}}} || }}}}}}}}} || || '''▼ 인물 소개 영상''' ||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9gSB6k3BW7s, height=277)]}}} || [목차] [clearfix] == 개요 == >[[찰스 휘트스톤]] ''':''' >[[https://www.kcl.ac.uk/charles-wheatstone-the-father-of-3d-and-virtual-reality-technology-2|{{{#black,#white The Father of 3D and Virtual Reality Technology.}}}]] >[[https://interestingengineering.com/culture/sir-charles-wheatstone-father-of-the-wheatstone-bridge-and-british-electric-telegraph|{{{#black,#white The Father of the Wheatstone Bridge and British Electric Telegraph.}}}]] >[[https://www.facebook.com/watch/?v=5584616081570554|{{{#black,#white Gloucester’s Unsung Genius.}}}]] [[영국]] [[빅토리아 시대]]를 대표하는 전기 공학자이자 물리학자 겸 발명가. 광학, 전자기학 분야에서 엄청난 업적을 남겼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