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미국의 화학자]][[분류:노르웨이계 미국인]][[분류:일본계 미국인]][[분류:부산광역시 출신 인물]][[분류:노벨화학상 수상자]][[분류:1904년 출생]][[분류:1989년 사망]][[분류:데이턴 대학교 출신]][[분류:MIT 대학원 출신]] [include(틀:노벨화학상 역대 국가별 수상자)] ||<-3>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CEDCF401-7965-451C-86CB-E12600185BE4.jpg|width=100%]]}}} || ||<-2> '''본명''' ||'''찰스 존 피더슨''' [br](Charles John Pedersen) || ||<-2><|2> '''출생''' ||[[1904년]] [[10월 3일]] || ||[include(틀:국기, 국명=대한제국)] [[동래부]][br](現 [[부산광역시]]) || ||<-2><|2> '''사망''' ||[[1989년]] [[10월 26일]] (향년 85세) || ||[[미국]] [[뉴저지 주]] 살렘 || ||<-2> '''국적''' ||[include(틀:국기, 국명=미국)] || ||<-2> '''학력''' ||데이턴 대학교 {{{-2 ([[화학공학]] / [[학사|B.S.]])}}}[br][[매사추세츠 공과대학교]] {{{-2 ([[유기화학]] / [[석사|M.S.]])}}} || ||<-2> '''직업''' ||유기화학자 || [목차] [clearfix] == 개요 == [[미국]]의 유기화학자이다. [[1987년]]에 [[크라운 에테르]]의 발견 공로로 [[노벨화학상]]을 수상하였다. == 생애 == [[1904년]] [[부산]]에서 [[노르웨이인]] 아버지 브레데 피더슨과 [[일본인]] 어머니 야스이 타키노 사이에서 태어났다.[* [[https://www.nobelprize.org/prizes/chemistry/1987/pedersen/biographical/|노벨위원회 공식 홈페이지 찰스 피더슨 바이오그래피]]] 미국인 소유의 운산 광산 근처에서 자랐으며 영어를 구어로 사용하며 자랐다. 8살 때 일본으로 건너가 초등과 중등 교육을 받으면서 처음으로 화학 과목을 수강하였다. 18세까지 일본에서 지내다가 대학에 들어갈 나이가 되자 아버지의 권유로 [[1922년]]에 미국 [[오하이오 주]] 데이튼 대학교에 진학 후 [[화학공학]] [[학사]]를 취득하였고, 이후 [[매사추세츠 공과대학교]]에서 [[유기화학]] [[석사]]를 취득하였다. 찰스 피더슨은 그동안 "아버지가 부쳐준 돈으로 석사 과정까지 다녔다."며, "이제는 내가 직접 돈을 벌어야겠다."라고 생각해 [[듀폰]]이라는 화학회사의 연구원으로 취직한다. == 공적 == 찰스 피더슨이 듀폰의 잭슨 연구소 재직 시절인 [[1967년]], 그는 크라운 에테르라는 유기화합물을 발견하였고 그 공로로 발견 20년 후인 [[1987년]]에 [[노벨화학상]]을 도널드 크램, [[장 마리 렌]][* 이들은 찰스 피더슨이 크라운 에테르를 발견한 후 이에 기반하여 후속 연구를 한 학자들이다.]과 함께 공동 수상하였다. == [[노벨상]] 수상 관련 == 전술하였듯, 석사 학위를 취득 후 연구소에 들어가 일을 하였기 때문에 [[박사]]학위가 없는 최초의 노벨 과학상 수상자이기도 하였다. 또한 그가 [[부산]]에서 출생하였기 때문에 국내에선 [[김대중]] 전 대통령과 함께 둘뿐인 [[한반도]] 출생의 [[노벨상]] 수상자로 알려지기도 했다. 실제로 노벨상은 현재 국적이 아니라 출생지를 기록한다. 당연히 그가 어릴 적에 [[경술국치]]로 말미암아 [[대한제국]]이 멸망한 탓에 한국에 대한 추억 역시 전무할 테고 오랫동안 한국을 일본의 영토로 인식했을 가능성도 높은 편이다. 그래서인지 한국을 떠난 후 단 한 번도 한국으로 돌아오거나 언급한 적이 없었다. 그는 8살에 일본으로 이사를 가기 전까지 [[미국]] 소유였던 운산광산촌에서 유년 시절을 보냈다. 당시 운산광산촌은 한국인 노역자들을 제외하면 거의 외국인들만 살았다. 그래서 이 시절에는 주로 영어를 사용하며 지냈다고 한다. 따라서 그는 한국어, 한국 문화를 배우거나 한국인과 접촉할 일은 없었을 것이다. == 여담 == * 찰스 피더슨의 아버지 브레데 피더슨은 해양 기술자 출신으로 극동에 파견되어 한국의 운산 광산에서 기계공으로 일하던 와중에, 가족과 같이 한국에 온 야스이 타키노와 만나 결혼했다. 그녀는 무역업을 하던 가족이 콩과 누에 무역을 위해 한국으로 이주할 때 같이 온 것. * 찰스 피더슨의 누나와 찰스 피더슨이 태어나기 전에 병으로 사망한 형이 하나 있다고 한다. * 어렸을 때는 어머니가 일본 이름으로 불렀으며, 일본 이름은 '야스이 요시오(安井 良男)'였다고 한다. * 찰스 피더슨의 누나는 미국의 석유 회사인 스탠더드 오일의 [[인천]] 사무소에서 일했고[* 연도로 보아 일제 시대였던 것으로 보인다.] [[1964년]]에 사망했다고 한다. * 찰스 피더슨은 노벨상 수상 소감에서 "상업성이 없는 연구를 9년 동안 할 수 있게 해 준 듀폰社의 경영진에게 감사드린다."고 하였다. * [[듀폰]]은 찰스 피더슨의 업적을 기려 우수한 과학자에게 수여하는 '피더슨 상'을 설립하기도 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