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1764년 출생]][[분류:1845년 사망]][[분류:가터 훈장]][[분류:노예폐지론자]][[분류:영국의 백작]][[분류:영국 총리]][[분류:이튼 칼리지 출신]][[분류:케임브리지 대학교 출신/트리니티 컬리지]][[분류:노섬벌랜드주 출신 인물]][[분류:영국 휘그당 당수]] [include(틀:역대 영국 총리)]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01012e, #01013a 20%, #01013a 80%, #01012e)" '''{{{#ffc224 찰스 그레이 관련 틀}}}'''}}}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include(틀:역대 영국 외무영연방개발부장관)] ---- [Include(틀:역대 영국 휘그당 당수)] }}}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000028 0%, #01013A 20%, #01013A 80%, #000028);" '''[[영국 총리|{{{#ffc224 영국 제26대 총리}}}]][br]{{{#ffc224 {{{+1 그레이 백작}}}[br][[The Right Honourable|{{{#ffc224 Rt Hon. The Earl Grey}}}]]}}}'''}}}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000028 0%, #01013A 20%, #01013A 80%, #000028);" {{{#ffc224 '''KG PC'''}}}}}}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Grey2.jpg|width=100%]]}}}|| ||<:>'''본명'''||찰스 그레이[br]Charles Grey|| ||<|2><:>'''출생''' ||[[1764년]] [[3월 13일]] || ||[[그레이트브리튼 왕국]] 노섬벌랜드 팔로돈 || ||<|2><:>'''사망'''||[[1845년]] [[7월 17일]] (향년 81세) || ||[[그레이트브리튼 아일랜드 연합왕국]] 노섬벌랜드 호윅 || ||<|2> '''재임기간''' ||제26대 [[영국 총리|총리]] || ||[[1830년]] [[11월 22일]] ~ [[1834년]] [[7월 9일]] || || '''서명''' ||{{{#!wiki style="display: inline-table; background: #FFF; border-radius: 4px" [[파일:Charles_Grey,_2nd_Earl_Grey_Signature.svg.png|width=150]]}}} || ||<-2>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작위'''||'''2대 그레이 백작'''[* 2nd Earl Grey][br]가터 기사 (Order of the Garter) || ||<:>'''부모'''||아버지 제1대 그레이 백작 찰스 그레이[br]어머니 엘리자베스 그레이 || ||<:>'''배우자'''||메리 폰슨비 ,,(1794년 결혼),, || ||<:>'''자녀'''||헨리, 찰스, 프레더릭, 일라이자 등 || ||<:>'''학력'''||[[케임브리지 대학교]], [[케임브리지 대학교#s-2.1|트리니티 컬리지]] || ||<:>'''직업'''||정치인 || ||<:>'''정당'''||[include(틀:휘그당)] ||}}}}}}}}} || [목차] [clearfix] == 개요 == || [[파일:9A24C229-0AC5-4426-9DCA-DDBA1E952523.jpg|width=100%]] || || 젊은시절 || [[1830년]] [[11월]]부터 [[1834년]] [[7월]]까지 재임했던 [[영국]]의 [[총리]]. == 생애 == [[휘그당]] 폭스 파벌의 일원으로 정계에 들어갔다. 1806년 폭스 사후에는 휘그당의 지도자로 두각을 나타내었다. 1807년 아버지가 사망하자 그레이 백작 작위를 습작하여 2대 그레이 백작이 되었다. 1830년 휘그당이 정권교체를 달성하자 [[수상]] 지위에 올라섰다. 제1차 선거법 개정을 비롯하여 자유주의적인 개혁을 여러 차례 시도하였지만 1832년 선거법 개정으로 [[부패 선거구]]를 혁파하여 산업자본가(중산층)들의 참여권을 확대했지만 노동자 계급들을 외면한 결과[* 이때 영국 잉글랜드와 웨일스의 유권자 수는 65만명으로 확대되었다.], 내부 분열을 초래했다. [[노예해방선언|1833년 노예제 폐지법]]을 추진했으며, [[동인도 회사]]가 소유한 점령지들, 실론(현 [[스리랑카]]), [[세인트헬레나]]의 노예들을 제외한 [[대영 제국]]의 영토에서 노예의 구입과 소유를 불법화하는 데 성공했다. 그러나 1832년 당시 내부 분열을 초래한 것 때문에 비판을 받고 있었고, 결국 1834년 사임했다. 데본셔 공작부인 [[조지아나 스펜서]]와 불륜 관계였다. 두 사람 사이에서 일라이자 코트니가 있었으며 아버지 1대 그레이 백작 찰스 그레이 부부가 양육하였다.[* 일반적인 경우라면 이 일을 두고 부인이 분노할 것이 당연하겠지만, 그레이의 부인은 [[조지아나 스펜서]]와 굉장히 친밀했고, 자기 절친이 남편과의 사이에서 [[사생아]]를 만들건 말건 신경도 안 쓰고 우정을 유지했다. 그래서 남편의 사생아를 자기 딸이라고 하면서 그냥 키웠기 때문에 조지아나의 딸은 백작영애로써 잘먹고 잘 살았다. 애초에 유럽 [[상류층]] 부부들은 후계자 문제만 해결되면 서로 맞바람을 저지르는 경우가 많았다.] 대표적인 가향 홍차 중 하나인 [[얼 그레이]]가 이 사람의 이름을 따와 명명된 것이다. 자세한 내용은 해당 항목 참고. 이 사람의 손자 4대 그레이 백작 앨버트 그레이는 [[캐나다]] [[총독]](1904-1911 재임)을 지냈다. == 찰스 그레이를 모티브로 한 가상인물 == * [[흑집사]]: [[찰스 그레이(흑집사)]] 항목 참조. * 한국 [[동인 게임]] [[Tic Tac Toe]]: [[찰스 그레이(Tic Tac Toe)]] 항목 참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