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오서)] 笮融[* 후한서에 따르면 성씨인 착(笮)은 측(側)과 격(格)의 반절음이라고 한다.] (? ~ 195) [목차] [clearfix] == 개요 == [[고대]] [[중국]] [[후한]] 말의 관원. == [[삼국지(정사)|정사]] == 말은 관원이지만 하는 짓은 [[산적]]이나 다를 바 없었으며, [[삼국시대(중국)|삼국시대]]에 [[불교]]를 널리 퍼트린 인물이다. 그런데 '''이 자가 삼국시대의 불교 이미지 다 망쳤다.''' 처음에 [[도겸(삼국지)|도겸]]에게 자신의 병력 수백과 함께 귀의를 하자, 이에 감복한 도겸이 그에게 [[꿀보직]]인 광릉, 하비, 팽성의 식량 수송 자리를 맡긴다. 하지만 이것이야 말로 착융이 노렸던 바였다. '''그는 곧바로 세 군의 식량을 끊고''' 그 식량으로 생긴 돈을 이용해 성대한 불교 사원인 부도사를 건립하여 위로는 금괴를 쌓고 아래로는 탑을 세우며 본전은 삼천 명을 수용할 수 있는 규모로 건립하며, 그 안에는 [[황금]]으로 [[불상]]을 만들어 비단옷을 입혀놓은 다음 불교를 포교하기 시작한다. 거기다가 [[욕불#s-1]]을 할 때면 노상에 4~5리에 걸쳐 자리를 펼치고 수만의 돈을 들여 거기에 많은 음식을 풀어놓으니 거기서 밥을 먹거나 구경거리를 즐기는 자들이 일만이나 되었다. 참고로 저 불상을 금동불상(金銅佛像)이라고 하는데 역사상 처음으로 기록된 금동불상이다. 그러다 193년에 그 유명한 [[조조]]의 [[서주 대학살]]이 시작하니 착융은 '야, 이건 위험하다' 싶어 남녀 일만 명과 말 삼천 필을 이끌고 광릉으로 도망쳤다. 그때 광릉태수 [[조욱]][* 충의하면서 정직하기로 이름 높았는데, 광릉에 있기는 아깝다는 평이 있었다.]은 인간막장 착융을 그래도 빈객으로 대접하는데, 착융은 거기서도 광릉의 재화에 눈이 멀어 조욱이 자신을 위해 주연을 벌이자 그것을 이용해 조욱을 참살하고 병사들을 풀어 재물을 약탈한 후 [[유요]]를 의지하러 떠났다. 이런 막장 행보에도 불구하고 역시 이끄는 군사가 있다보니 하비의 상으로 임명된다. 195년에 [[손책]]이 유요를 공격할 때 [[설례]]가 [[난징시|말릉 성]]을 맡고 자신이 현 남쪽을 지키고 있었는데, 손책한테 공격 당해 500명이 죽자 농성으로 들어간다. 이에 후방의 걱정이 없어진 손책은 말릉을 공격, 설례는 말릉을 버리고 도망치지만 [[우미(삼국지)|우미]], [[번능]]과 힘을 합쳐 빼앗겼던 우저를 다시 되찾는다. 손책은 분노해 우저를 다시 공격하여 포로 만 명을 사로잡는 등 대승하지만 화살을 허벅지에 맞아 수레에 실려서 우저의 본채에 들어갔는데, 그러자 이를 본 병사가 손책이 유시에 맞아 죽었다고 착융에게 알리자 착융은 또 이 말을 믿어 부장 [[우자]]를 시켜 손책을 공격한다. 그러나 손책은 그것을 이용해 적을 끌어들인 다음 복병으로 적 천여 명을 죽인 다음 착융의 성 앞으로가 병사들에게 "손랑이 마침내 어찌되었다고 하더냐!"라고 소리지르게 한다. 착융이 이에 [[우주방어]] 모드로 들어가 그가 있는 곳은 지키는데 성공하지만 그 틈에 유요의 본군이 털린다. 이렇게 유요의 군대가 초토화되자 유요는 착융에게 먼저 예장으로 가서 예장을 지키라고 하는데, 착융은 더 이상 유요에게 있다가는 얻을 것이 없다고 판단. 유요의 부하 설례와 예장태수 [[주호(후한)|주호]]를 살해하고 자신이 그 자리를 차지한다. 유요가 공격하자 한 번은 이겼지만 결국 다시 공격할 때 패해 산 속으로 쫓겨났다가 착융은 거기서 백성들에게 살해당한다. 그 후 유요도 얼마 지나지 않아 마음에 병이 들어 사망하니 정사에 따르면 진정한 걸어다니는 [[사망플래그]]. == [[삼국지연의|연의]] == 그의 이 막장 행보는 하나도 나타나지 않고 그냥 평범한 유요의 무장 D 정도로 등장하며 [[장영]]이 우저를 지키다 패배하자 그를 죽이려는 유요를 말리려는 상식적인(!?) 사람으로 등장하는데, 여기서 웃긴 것은 정사와는 반대로 말릉을 공격하는 사이 우저의 빈틈을 노려 공격한 것이 착융과 유요로, 손책이 다쳤다는 말에 설레발치며 공격하는 것은 설례로 되어 있다. 마지막에 유요와 함께 우저를 되찾으나 손책이 소패왕 포스를 내뿜으며, 번능과 우미를 죽이자 유요와 함께 달아나 [[원술]]에게 의지하러 가는 것이 그들의 등장의 끝. == 미디어 믹스 == === [[코에이]] [[삼국지 시리즈]] === || [[파일:external/kongming.net/560-Zha-Rong.jpg]] || || 삼국지 11 || || [[파일:external/san.nobuwiki.org/0315.jpg|width=400]] || || 삼국지 12, 13, 14 || [[삼국지 3]]에서 처음으로 등장하여 [[유요(삼국지 시리즈)|유요]]의 무장으로 등장한다. 초창기 시리즈에서는 문관에 가까운 능력치였으나, 뒤로 갈수록 무관형 능력치로 바뀌고 있다. 물론 능력치는 좋지 않다. [[삼국지 4]]에서는 '''책융'''으로 등장한다. [[삼국지 6]]에서는 정치력이 71로 높게 책정되어 있다. 71이면 [[유장(삼국지 시리즈)|유장]]군의 [[비시]]보다 높은 수준. 6 이후 무관급 스탯으로 변경되었다. [[삼국지 9]]에서의 능력치는 통솔력 65/무력 71/지력 38/정치력 11에 분전, 조영을 가지고 있다. 서주와 양주에서 활약했건만 수군계 병법도 없는 쓰레기. [[삼국지 10]]에서의 능력치는 통솔력 62/무력 68/지력 40/정치력 26/매력 4에 특기는 상업, 화시, 반목. 지력이 40이고 정치력이 26인 이상 상업, 반목은 있으나마나 한 특기다. [[삼국지 11]]에서의 능력치는 통솔력 60/무력 69/지력 38/정치력 21/매력 14에 특기는 [[강탈]]이다. 능력치와 특기 모두 멀쩡한 구석이 없지만 병종 적성이 극병 A/병기 A로 삼류 무장 중에서는 대단히 우수한 편이라 도겸 군이든 유요 군이든 의외로 제법 쓸 일이 있다. [[삼국지 12]]의 일러스트는 정사를 반영해 돈에 미친 사람이 되었는데 자세히 보면 왼손으로는 보물을, 오른손으로는 도검을 든 상태에서 음흉하게 웃고 있다. 소설에서보다 사서에서 나타나는 모습이 훨씬 특징적(나쁜 쪽이지만)이므로 정사를 적극 반영한 듯. 전법은 창공격강화라는 전법을 들고 나왔으나 지력이 낮아서 의미가 없고, 돈에 미친 사람 치고는 수집 특기 조차도 없다. 있어도 지력이 바닥이라 쓸모는 없었겠지만. [[삼국지 13]]에서의 능력치는 삼국지 12와 동일하다. 특기는 훈련 1, 연전 4. 전수특기는 연전으로 전법은 궁공약화다. 의외로 연전 레벨이 4씩이나 책정되어 있다. 음성은 일러스트와 맞는 난폭. [[삼국지 14]]에서의 능력치는 통솔 61, 무력 68, 지력 40, 정치 21, 매력 14로 전작에 비해 통솔력이 1, 지력이 2 상승한 대신 무력이 1 하락했다. 개성은 조달, 징세, 적도, 탐욕, PK에서는 강탈 개성이 추가되었고 주의는 아도, 정책은 침략황폐 Lv 2, 진형은 어린, 전법은 업화, 강습, 친애무장과 혐오무장은 모두 없다. 전작과 달리 어투가 교활남으로 설정되었다. 잡무관이지만 지력이 낮은 주제에 업화가 있지만 없는 수준에 가깝고 공격용 전법이 수상전용 말고는 없고 착융보다 좋은 장수들이 많기 때문에 쓸일이 없다. === [[삼국전투기]] === 곡아 전투 편에서 처음 등장. [[설례]]와 함께 프로레슬러 [[리전 오브 둠]]으로 등장한다. 삼국전투기 초기에는 정사보다는 연의 쪽에 훨씬 가까웠던 만큼 그냥 유요의 부하 D 정도의 비중으로 등장한다. 유요의 부하들 중에서는 손책군으로 전향한 태사자를 제외하면 가장 명줄이 질겨서 같이 말릉을 수비하던 설례를 포함한 유요군의 부장들이 하나 둘 전멸하는 와중에도 살아남았다. 그러나 유요군의 연이은 패퇴로 인해 착융은 유요를 얕잡아보게 되고, 유요를 배반하고 그 자리를 차지하려다 역으로 유요에게 조져지는 것으로 묘사된다. 이후 등장이 없는 것으로 볼 때 그대로 사망한 것으로 추정된다. === [[요괴소년 호야]] === [[홍련]]이 중국 삼국시대에서 생긴 요괴로 나왔는데, 행적이 묘하게 비슷해 보인다. 이름도 비슷하게 착영[* 물론 한자음은 다르다.]으로 나온다. === [[소설 제갈공명]] === [[진순신]]의 [[소설 제갈공명]]에서는[* 한국어 역에서는 작융으로 [[번역]]되어 있다.] 나름 비중있게 등장한다. [[제갈량]]이 숙부와 함께 예장에 머무르던 시절에 조우했다고 설정한 것. 물론 인간에 대한 묘사는 정사에서 언급한 그대로이다. 거기에 제갈량에 의해 불교 숭배가 일종의 정치적 목적인 것이 간파되어 내부에서 배신당한다. 다만, 내부의 배신을 유도하기 위해 일부러 포로로 잡힌 제갈량과 살벌한 대면을 하는 장면에서는 나름 후덜덜한 악당 포스를 보여주기도 한다. 진순신은 소설의 내용 전개를 멈추면서까지 1면을 할애하여 이 장면에 대한 역사적 기록을 상술하는데, 그 내용은 다음과 같다. ||「헌제춘추」: '주호가 남창에 입성하다. 건안 2년 정월 서성의 백성들이 반란을 일으켜 (제갈)현을 죽이고 그 목을 (유)요에게 보냈다.'|| 헌제춘추는 이미 망실된 책이거니와 진순신은 이 대목에서 제갈현이 착융과 혼동된 것이 아니냐는 견해를 밝힌다. 이외에도 ||「삼국지 촉서 제갈양전 」: '(제갈)현은 (제갈)양과 양의 동생인 (제갈)균을 데리고 관으로 갔다. 그때 한나라 조정은 주호를 뽑아 현을 대체시켰다. 현은 원래 형주목인 유표와 인연이 있었기 때문에 유표에게 의지했다. 현이 죽자 양은 농무(隴畝)에서 밭을 갈았다.' 「삼국지 오서 유요전」: '착융이 먼저 예장에 이르러 태수인 주호를 죽이고 입성하여 자리잡았다. (유)요는 군대를 동원하여 (착)융을 쳤고 융은 패하여 산으로 달아났으나 백성들이 그를 잡아 죽였다. 요도 결국은 병으로 죽었다. 42세였다.|| 덧붙여 진순신은 자신의 소설 「비본 삼국지」에서는 「헌제춘추」의 설을 취하였음을 밝히면서도, 「헌제춘추」이후 시대의 역사서인 「속후한서(續後漢書)」와 「[[자치통감]](資治通鑑)」등에서 「헌제춘추」의 '제갈현 예장 사망설'을 취하지 않았음이 오히려 일 리 있음을 밝혔다. 아무튼 착융이 세세하고 비중있게 등장하는 책은 진순신의 이 소설 뿐이다. == 관련 항목 == * [[삼국지/인물]] * [[불교]] [각주] [[분류:후한의 인물]][[분류:불교계 인물]][[분류:195년 사망]][[분류:살해된 인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