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 [[싱가포르 MRT|{{{#ffffff 싱가포르 MRT}}}]] [br]{{{+2 {{{#ffffff '''Chinese Garden'''}}}}}} || ||<-6> [[파일:SMRT Trains 로고.svg|height=25px]] || ||<-2> [[파시르 리스 역|{{{#!html
파시르 리스 방면}}}]][[주롱 이스트역|주롱이스트]][br]← 1.5 km ||<-2> [[싱가포르 MRT 동서선|{{{#!html
동서선
(EW25)
}}}]] ||<-2> [[투아스 링크 역|{{{#!html
투아스 링크 방면}}}]][[레이크사이드 역|레이크사이드]][br] 1.4 km → || ||<-6> [include(틀:지도, 장소=]Chinese Garden MRT, 너비=100%, 높이=300px)] || ||<-6> '''역정보''' || ||<-2> 영어 ||<-4> Chinese Garden MRT station || ||<-2> 한자 ||<-4> 裕华园 || ||<-2> 타밀어 ||<-4> சீனத் தோட்டம் || ||<-6> '''개업일''' || ||<-2> 날짜 ||<-4> [[1988년]] [[11월 5일]] || ||<-6> '''역사 구조''' || ||<-6> 지상 2층 || ||<-6> '''승강장 구조''' || ||<-6> [[복선]] [[섬식 승강장]] || [목차] [clearfix] == 개요 == 싱가포르의 지하철역이다. [[싱가포르 MRT 동서선]]의 역이다. 이름은 근처에 있는 중국풍 공원인 중국 정원(Chinese Garden)에서 유래했고 실제로도 큰 규모의 중국 느낌 정원이 있다. 그 옆에는 일본 정원(Japanese Garden)도 있다. 그러나 애석하게 두 곳 모두 기후조건이 달라서 별로 중국/일본 분위기는 나지 않는다. 중국 정원 자체보다도 근처의 주롱 공단으로 출퇴근하는 사람들과 주롱 신도시에서 시내인 래플즈 플레이스나 오차드 로드 등으로 출퇴근하는 사람들이 만나서 출퇴근 시간엔 굉장히 혼잡해지는 역이다. 주롱 공단은 아직까지 지하철이 직접 닿지 않아 버스를 환승하고 가며 그런 연유로 환승터미널도 여럿 있다. == 역 및 승강장 구조 == [[파일:IMG_6282.jpg|width=50%]] ||<-4> [[주롱 이스트역|주롱 이스트]] ↑ || || ㅣ || {{{#ffffff B}}} || {{{#ffffff A}}} || ㅣ || ||<-4> ↓ [[레이크사이드 역|레이크사이드]] || 복선 섬식 승강장이다. [[분류:싱가포르의 철도역]][[분류:1988년 개업한 철도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