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차병원그룹)] ||<-3> {{{+4 {{{#FFFFFF '''차바이오텍'''}}}}}} [br] {{{#FFFFFF ''CHA Biotech''}}} || ||<-3><:>[[파일:차바이오텍 로고.svg|width=300]] || ||<-2> {{{#FFFFFF '''정식명칭'''}}} ||<(> {{{#000000 '''주식회사 차바이오텍'''}}} || ||<-2><:> {{{#FFFFFF '''영문명칭'''}}} ||<(> Cha biotech Co.Ltd || ||<-2><:> {{{#FFFFFF '''설립일'''}}} ||<(>[[2002년]] [[11월 6일]] || ||<-2><:> {{{#FFFFFF '''업종명'''}}} ||<(> 생물학적 제제 제조업, 세포치료제사업, MSO(병원경영지원)사업 || ||<-2><:> {{{#FFFFFF '''주요계열사'''}}} ||<(> 차헬스케어, [[CMG제약]], [[차백신연구소]], 솔리더스인베스트먼트 || ||<-2><:> {{{#FFFFFF '''상장유무'''}}} ||<(> 상장기업 || ||<-2><:> {{{#FFFFFF '''기업규모'''}}} ||<(> [[중견기업]] || ||<-2><:> {{{#FFFFFF '''기술등급'''}}} ||<(> AA등급^^(2019년)^^ || ||<-2><:> {{{#FFFFFF '''상장시장'''}}} ||<(> [[코스닥]]시장([[2005년]] ~ 현재), 싱가포르증권거래소(SGX, Singapore Medical Group Limited) || ||<-2><:> {{{#FFFFFF '''종목코드'''}}} ||<(> 085660(KOSDAQ), SGX: 5OT || ||<-2><:> {{{#FFFFFF '''시가총액'''}}} ||<(>1조 50억원[* 2019년 종가 기준.] || ||<-2><:> {{{#FFFFFF '''홈페이지'''}}} ||<(> [[http://www.chabio.co.kr| 차바이오텍 홈페이지]][[http://singaporemedical.id/ | 싱가포르 메디컬 그룹 홈페이지]][[https://www.cityfertility.com.au/| 호주 시티퍼틸리티 센터 홈페이지]] || [목차] == 소개 == [[대한민국]] [[차병원그룹]]의 기업부문의 지주회사다. 차병원 기업부문의 모든 계열사를 지배하고 있으며 [[줄기세포]]치료제 사업을 영위하고 있다. == 상세 == 과거 비상장기업이었던 차바이오는 디오스텍[* [[휴대폰]] [[카메라]]에 들어가는 핵심 [[렌즈]]를 개발·생산·납품하는 기업이다.]과 [[역합병]]을 통해 [[우회상장]]해 [[2009년]] [[줄기세포]], 카메라 제조 기업이 되었다. 이후 상호를 디오스텍에서 차바이오앤디오스텍으로 변경하였다. [[젬백스앤카엘]]처럼 두 가지 분류의 사업을 하고 있는 기업이었으나, [[2014년]] 차바이오앤디오스텍(현.차바이오텍)의 광학사업부문을 인적분할하여 차디오스텍(신규법인)으로 떼어내고, 사명을 현재의 생명공학기업인 차바이오텍으로 바꾸었다. 차디오스텍은 텔루스로 사명이 바뀌었다. [[2012년]] 코스닥 상장 자회사로 (주)[[CMG제약]]을 편입했고, [[2018년]]에는 호주 유명 난임센터인 City fertility Centre를 인수했다. [[2019년]]에는 동남아시아 3개국에 60여개의 클리닉을 보유한 싱가포르 메디컬 그룹에 지분 24%를 추가적으로 확보하며 최대주주에 올랐다. 차바이오텍의 최대주주는 차광렬 차병원그룹 총괄회장. 현재 차광렬 회장이 KH그린이라는 가족회사를 통하여 차병원그룹을 지배하고있다. 기술평가 AA등급을 받아 순이익에 상관없이 상장을 유지할 수 있다. 또한 2012년부터 2017년까진 [[김한중]] 전 연세대학교 총장이 회장을 지냈다. === 제대혈 부문 === [[메디포스트]]와 같은 [[줄기세포]] 개발 및 제대혈은행을 운영하고 있다.(시장점유율 1,2위) === MSO(병원경영지원) 부문 === 차헬스케어를 통해 LA차병원, 싱가포르법인, 호주법인, 대만법인, 일본법인, 차움의원 등을 지배하고 있다.[[https://www.mk.co.kr/news/it/view/2019/02/107700/|차바이오그룹 smg 인수]] === 헬스케어 [[컨설팅]] 부문 === [[카타르]] 국영 비영리재단인 카타르재단(Qatar Foundation)의 자회사 MP(Msheireb Properties)와 카타르 줄랄 웰니스 리조트 내 메디컬센터 사업 타당성 검토 컨설팅 사업을 수주했다.[[https://biz.chosun.com/site/data/html_dir/2019/01/10/2019011001323.html|#]] === 세포치료제 부문 === 자체적인 줄기세포 치료제 사업과 CDMO(의약품 위탁개발·생산) 치료제 사업을 영위하고 있다. ==== 공장 ==== 현재 [[차 종합연구원]]과 [[CGB]]공장 내 cGMP시설을 확보하였으며, 국내 최대 규모 세포유전자치료제 생산시설을 보유하게 될 예정이다. ==== [[줄기세포]]치료제 사업 ==== 국내 최대의 [[줄기세포]] 파이프라인을 구축하고 있다.[[http://chabio.com/research/clinic.cha|파이프라인 현황]] 만능줄기세포유래 2종과 성체줄기세포 파이프라인 5종, 면역세포 유래 세포치료제 1종의 파이프라인을 보유하고 있다. ===== 특허 ===== [[줄기세포]]분야에 다수의 특허를 보유하고 있다.[[http://www.ceoscoredaily.com/news/article.html?no=61521|#]][[https://www.ajunews.com/view/20200210091003516|#]][[http://www.viva100.com/main/view.php?key=20200408010002910|#]] 현재 기술축적이 된 상황[[http://www.dt.co.kr/contents.html?article_no=2011072102011657754001|특허]]. 연구는 대부분 [[차의과학대학교]]와 협업을 이루어 하는 형태다.[[http://www.infostockdaily.co.kr/news/articleView.html?idxno=57302|차의과대 주관]] ===== 임상 ===== 아직 임상3상에 돌입한 줄기세포치료제(1,2상은 완료)는 없지만, 줄기세포치료제 (CordSTEM-ST)의 유의성을 입증했다. [[차의과대]] 의생명과학과, 의학전문대학원에서 임상등급의 신경줄기세포 치료성도 확인했다.[[http://medicalworldnews.co.kr/news/view.php?idx=1510935581|#]][[https://www.mk.co.kr/news/it/view/2019/10/880002/|#]] [[2006년]] 당시 차병원그룹으로 영입됐던 [[하버드대학교]] 교수 연구팀이 세계 최초로 환자의 피부세포를 도파민 신경세포로 만드는 ‘역분화 줄기세포’ 기술로 파킨슨병 환자를 임상 치료하는 데 성공했다. 그리고 동일 치료기전의 파킨슨병 파이프라인의 소유권은 현재 차병원에서 보유하고 있다고 밝혔다. 본 치료는 IIT(연구자 주도 임상)로 진행된 것이며, 상용화 시 치료제 효과 가능성이 있다고 그룹이 판단을 할 경우 차바이오텍이 해당 파이프라인을 가져와서 상업 임상을 실행하고 이후 소유권이 차바이오텍으로 이전된다고 밝혔다.[[http://www.sentv.co.kr/news/view/574122|#]] ==== CDMO 세포치료제 사업 ==== 엑소코바이오와 지방 유래 중간엽 줄기세포 은행 구축에 대한 CDMO 계약을 체결했다. CDMO 사업 추진을 위해 750억원의 대규모 자금도 성공적으로 조달했다. 750억원 중에서 500억원은 미국 내 세포유전자 치료제 CDMO사업 [[자회사]]인 마티카 바이오테크놀로지의 운영 자금과 설비 투자를 위해 사용되며 나머지 250억원은 국내 CDMO 공장인 [[CGB]]에 투입될 예정. == 연혁 == [[2010년]]에 실적을 뻥친 게 [[2011년]]에 들통나서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1&oid=001&aid=0005159178|불성실 공시법인]]에 지정되기도 했다. [[2012년]] [[11월 9일]] 스카이뉴팜(現 CMG제약)에 160억 원 규모 제3자배정 [[유상증자]]가 완료됨에 따라 스카이뉴팜을 자회사로 편입하였다.[[http://dart.fss.or.kr/dsaf001/main.do?rcpNo=20121109900422|최대주주 변경]] [[2013년]] [[12월 17일]] 이스라엘의 Pluristem社로부터 PLX세포(태반줄기세포) 사용에 대한 한국 독점 라이센싱 계약을 전략적으로 체결하였으며 대가로 제3자배정 유상증자를 단행하였다.[[http://dart.fss.or.kr/dsaf001/main.do?rcpNo=20131217000300|유상증자 결정]] [[2014년]] [[3월 17일]] 차바이오앤디오스텍은 정기 주주총회 소집결의에서 광학사업부문을 인적분할하기로 결정하였으며, [[3월 31일]] 열린 정기 주주총회에서 광학사업부문을 분할 계획서[[http://dart.fss.or.kr/dsaf001/main.do?rcpNo=20140331900954| 주주총회 결과]]가 통과됨과 동시에 상호명을 차바이오텍으로 변경하였다. [[2015년]] 3분기 분기보고서 기준 손자회사이며 해외현지법인인 CHA Health Systems의 실적이 좋아짐에 따라 흑자 전환에 성공하였다. 이후 [[12월 31일]] 차병원에서 차디오스텍 지분 4,273,322을 약 200억 원 다빈치조합으로 넘기는 계약을 체결하였다.[[http://dart.fss.or.kr/dsaf001/main.do?rcpNo=20151231900264|최대주주 변경]] 이후 정기 주주총회에서 차디오스텍의 이사진의 교체가 단행되어 차바이오텍과의 연관성은 끊어지게 되었다. [[2018년]] [[2월]], 호주 City Fertility Centre를 싱가포르메디컬그룹과 합작법인을 만들어 인수하였다. 3월 장중 최고가 42800원까지 올라갔으나, 관리종목에 편입되어 주가가 폭락했다. 그 다음 날 최대주주의 CB 전환과 보호예수 조치를 발표하여 주가를 회복하였다. [[2019년]] [[2월 21일]] 자회사 차헬스케어를 통하여 동남아시아 3개국에 40여개의 클리닉을 보유한 싱가포르 메디컬그룹에 지분24%를 추가적으로 확보하며 최대주주에 오른다. 이로써 차바이오텍은 해외 7개 국에 50개의 클리닉과 2400여명 인력을 보유한 헬스케어 그룹이 되었다. (한국은 기업소속이 아닌 성광의료재단). [[2019년]] [[3월]] 기술보증기금으로부터 기술성평가 AA등급을 받아 기술특례상장기업이 되어 관리종목에서 해제되었다. 최장 [[2026년]]까지 순이익에 상관없이 상장을 보장받을 수 있다.[[https://www.mk.co.kr/news/stock/view/2019/03/156755/|#]] [* 현재까지 기술보증기금에서 실시한 [[제약]],[[바이오]] 기업 대상 기술평가 결과 AAA 등급을 받은 사례가 없는 만큼, 차바이오텍이 받은 AA등급은 사실상의 최고 기술 등급을 의미한다.] [[2019년]] [[4월]] [[차의과학대학교]] 산학협력단과 함께 인간 다능성 줄기세포 단일세포의 계대배양 방법 및 이를 이용한 형질전환 인간 다능성 줄기세포 제조 방법에 대한 국내특허를 취득했다.[[http://www.yakup.com/news/index.html?mode=view&cat=12&nid=229689|기사]] [[2019년]] [[6월]] 일본 글로벌 제약회사 아스텔라스의 자회사인 아스텔라스 재생의학센터(AIRM)와 4675만 달러(약 542억원) 규모의 합작법인 지분 및 기술 양도 계약을 체결했다. 차바이오텍과 AIRM의 합작회사 SCRMI(Stem Cell & Regenerative Medicine International)의 보유 지분과 특정 다능성 줄기세포 분화 관련 기술을 지분을 AIRM에 양도하는 조건이다. [[https://www.paxnetnews.com/articles/49984|기사]] [[2019년]] [[10월]] 체세포 복제 배아[[줄기세포]] 제조 및 보관방법에 대한 국내 특허를 획득했다. NT세포의 보관방법 및 뱅킹 시스템으로 이름 붙은 이 특허는 차바이오텍과 [[차의과학대]] 의생명과학과 연구진이 공동 개발했다.[[https://www.hankyung.com/it/article/2019101695241|기사]] 그리고 탯줄 유래 중간엽 줄기세포 치료제 `CordSTEM-ST`에 대한 임상 1/2a상 결과 염증반응 억제를 통한 뇌졸중 치료 효과와 이를 확인할 수 있는 바이오마커의 실마리를 찾았다고 세계신경과학회(World Congress of Neurology)에서 [[차의과대]] 교수가 밝혔다.[[https://www.mk.co.kr/news/it/view/2019/10/880002/|기사]] [[2020년]] [[4월]] 차바이오텍은 피부에 최적화된 줄기세포 배양액을 제조하는 방법에 대한 국내특허를 획득했다.[[http://www.viva100.com/main/view.php?key=20200408010002910|#]] 그리고 NK세포가 주성분인 면역세포치료제 ‘CBT101’의 국내 임상 1상을 신청했다.[[https://www.hankyung.com/it/article/202004273965i|#]] [[2020년]] [[5월]] '체세포 핵 치환(Somatic Cell Nuclear Transfer/SCNT)' 기술을 적용해 본인 외에 타인에게도 투여할 수 있는 배아줄기세포를 제조·보관하는 기술의 [[일본]] 특허를 [[차의과대학]] 협력으로 받았다.[[https://www.hankyung.com/it/article/202005213369i|#]] [[2020년]] [[6월]] 2006년 당시 차병원그룹으로 영입됐던 [[하버드대학교]] 교수 연구팀이 세계 최초로 환자의 피부세포를 도파민 신경세포로 만드는 ‘역분화 줄기세포’ 기술로 파킨슨병 환자를 임상 치료하는 데 성공했다. 이에 대해 차병원은 직접적인 연관은 없지만 동일 치료기전의 파킨슨병 파이프라인의 소유권은 현재 차병원(차바이오텍)에서 보유하고 있다고 밝혔다.[[http://www.sentv.co.kr/news/view/574122|#]] 그리고 차바이오텍은 글로벌 CDMO(Contract Development and Manufacturing Organization, 의약품 위탁개발·생산) 사업을 본격화하기 위해 [[전환사채]](CB) 250억원과 신주 인수권부 사채(BW) 500억원을 발행해 총 750억원의 자금 조달을 결정했다.[[https://biz.chosun.com/site/data/html_dir/2020/06/17/2020061703488.html?utm_source=naver&utm_medium=original&utm_campaign=biz|#]] [[2020년]] [[9월]] 미국 식품의약국(FDA)으로부터 15일 면역세포치료제 후보물질(CBT101)에 대한 신경교종(Glioma) 희귀의약품 지정(ODD)을 승인받았다고 밝혔다.[[http://www.wowtv.co.kr/NewsCenter/News/Read?articleId=A202009160120&t=NN|#]] [[2021년]] [[3월]] 차바이오텍이 개발한 NK면역세포치료제가 재발성 교모세포종 환자의 평균 생존기간을 늘리는 것으로 확인됐다.[[https://www.hankyung.com/life/article/2021031552611|#]] [[2022년]] 차바이오텍은 14일 탯줄 조직에서 줄기세포를 분리하는 방법과 세포를 활용해 개발한 치료제의 활용 범위에 대한 유럽 특허(발명의 명칭 향상된 탯줄 유래 부착형 줄기세포, 그의 제조방법 및 용도·출원번호 16835478.5)를 획득했다. [[https://m.medigatenews.com/news/2539911628|#]] == 관련 문서 == * [[줄기 세포]] * [[제대혈]] [각주] [[분류:차병원그룹]]