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토론 합의, 토론주소1=TheWeakAndTastelessMonkey, 합의사항1=문서명을 짱구는 못말려(애니메이션)/극장판으로 하는 것)] [include(틀:일본의 연례 개봉 애니메이션 극장판)] [include(틀:크레용 신짱)] [include(틀:크레용 신짱 - 극장판)] [목차] == 개요 == 인기 애니메이션 시리즈 '[[짱구는 못말려(애니메이션)|짱구는 못말려]]'의 극장판 시리즈. 매년 4월의 세 번째 금요일, 골든위크 시즌에 개봉한다.[* 1993년에 개봉한 [[액션가면 대 그래그래 마왕]]은 여름방학 시즌에 개봉했으며, 2017년에 개봉한 [[습격!! 외계인 덩덩이]]까지는 세 번째 토요일에 개봉했다. [[격돌! 낙서왕국과 대강 네명의 용사]] 역시 골든위크 때 개봉될 예정이었으나 코로나19로 인해 9월 11일로 연기되었다.] 1993년 '[[액션가면 대 그래그래 마왕]]'을 시작으로 2020년 '[[격돌! 낙서왕국과 대강 네명의 용사]]'까지 총 28개의 작품이 일본에서 개봉되었다. 그리고 국내에서도 극장판의 전편 수입이 이루어지고 있다. == 상세 == TV방영시리즈는 주로 짱구와 그의 가족, 친구, 이웃들이 각종 사고를 벌이거나 아니면 사건에 얽히는 단막극 형식이지만 극장판은 평균 1시간짜리 장시간 방영물인 만큼 [[SF]], [[판타지]], [[첩보물]] 등등 TV판에서는 보기 힘들었던 장르가 대부분이며 크게 개그계와 진지계로 작품 성향도 갈라진다. 게다가 짱구 그림체에 걸맞지 않는 스펙터클한 작화, 액션씬, 배경음악. 그리고 상당히 정밀한 [[고증]]으로도 유명하다. 스토리는 대부분 일상 → [[보이 미츠 걸|수수께끼의 히로인과의 만남]][* 예외로 히로인이 아닌 다른 존재와의 만남으로 시작되거나( [[태풍을 부르는 영광의 불고기 로드]], [[부리부리 3분 대작전]], [[습격!! 외계인 덩덩이]]) 아예 히로인이 없는 극장판들도 많다.([[폭풍을 부르는 정글]], [[부리부리 3분 대작전]], [[태풍을 부르는 노래하는 엉덩이 폭탄!|]])] & [[신전기|악당들로 인해 사건에 휘말려 일상의 붕괴]][* 이는 짱구 극장판의 전통과도 같다.] → 사태 해결을 위한 모험 → 일상으로의 복귀 식으로 전개된다. [[노하라 신노스케|신짱구]]도 극장판에 가면 [[도라에몽]]의 [[노진구]]와 같이 [[극장판 보정]]으로 [[소년만화]] 주인공스러운 듬직하고 올바른 캐릭터로 변한다. 뭐 아예 사고를 안 치는 것은 아니지만 원작에 비할 바가 못 되는 수준이다. 평소에는 동네에서 벌어지는 일상 개그 만화지만 극장판에서는 악의 세력과 마주하며 총칼이나 그 이상의 병기가 날아다니다보니 원작에서는 보기 힘든 사망자가 속출하기도 한다. [[부리부리 3분 대작전|13기]], [[전설을 부르는 춤을 춰라! 아미고!|14기]], [[포효하라! 떡잎 야생왕국|17기]] 극장판을 제외한 [[폭풍을 부르는 정글|8기]]부터 [[폭풍을 부르는! 나와 우주의 프린세스|20기]] 극장판까지는 어째 '''모두 태풍이나 폭풍을 부르고 있다.'''[* 참고로, 국내판의 경우에는 [[어른제국의 역습|9기]]가 국내판 한정으로 "폭풍을 부르는~"에서 제외되었고 [[부리부리 3분 대작전|13]], [[전설을 부르는 춤을 춰라! 아미고!|14기]]는 "전설을 부르는~" 이라고 표기되었다. [[폭풍수면! 꿈꾸는 세계 대돌격|24기]]에는 폭풍은 붙었으나 원제는 폭발적인 수면을 의미하는 폭수(爆睡)로 전작들의 폭풍을 부르는(嵐を呼ぶ)과 관련이 없다.][* 이는 원작에서 신짱이 '''폭풍을 부르는 유치원생'''으로 소개되는걸 반영한 것. 한국판에서는 이 소개가 없었고 애니판 16기 오프닝에 한 번 언급되었다.] 이것도 나름의 전통. 또한 [[오카마]] 캐릭터나 [[거유]] 캐릭터도 한 명씩은 나오며[* 다만 최근 들어 [[오카마]] 캐릭터는 등장 빈도가 줄어들었다.], 극장판마다 다른 극장판의 캐릭터와 겹치는 인물도 종종 있다.[* [[흑부리 마왕의 야망|후부키마루]]&[[장엄한 전설의 전투|마타베]](사무라이), [[흑부리 마왕의 야망|링 스노우 스톰]]&[[카네아리 타미코]](미래인), [[토페마 마페트]]&[[마타 타미]](마법을 사용하는 소녀), [[돼지발굽 대작전|오이로케]]&[[스노모노 레몬|레몬]](스파이) 등.] 여담으로 실제 유명인사들이 특별출연하기도 했다. '''[[오부치 게이조]]''' 제84대 [[일본 내각총리대신]]과 [[빌 클린턴]] 미국 대통령 그리고 일본의 유명 그룹가수 '''No Plan''', '''SHAZNA''', 히나가타 아키코 등이 있다.[* 엔딩곡을 부른 가수나 그룹이 특별출연하는 경우가 잦다.] 물론 원작자 [[우스이 요시토]] 본인도 출연한 적이 많다. [[전격! 돼지발굽 대작전|6기]], [[폭발! 온천 부글부글 대작전|7기]], [[어른제국의 역습|9기]], [[태풍을 부르는 장엄한 전설의 전투|10기]], [[폭풍을 부르는 석양의 떡잎마을 방범대|12기]], [[전설을 부르는 춤을 춰라! 아미고!|14기]], [[태풍을 부르는 노래하는 엉덩이 폭탄!|15기]], [[포효하라! 떡잎 야생왕국|17기]], [[초시공! 태풍을 부르는 나의 신부|18기]], [[태풍을 부르는 나와 우주의 프린세스|20기]], [[엄청 맛있어! B급 음식 서바이벌!|21기]], [[정면승부! 로봇아빠의 역습|22기]], [[폭풍수면! 꿈꾸는 세계 대돌격|24기]], [[습격!! 외계인 덩덩이|25기]], [[아뵤! 쿵후 보이즈 ~라면 대란~|26기]], [[격돌! 낙서왕국과 대강 네명의 용사|28기]], [[수수께끼! 꽃의 하늘떡잎 학원|29기]]는 제목에 '!'가 들어간다.[* 12기와 20기는 '폭풍/태풍을 부르는' 뒤에 '!'가 들어갔으며, 14기, 15기, 21기는 맨 뒤에도 '!'가 들어가고 25기는 '!'가 두 번 들어간다. 국내판 한정으로 9기, 10기, 12기, 20기에는 '!'가 들어가지 않는다. 또한 27기는 국내판 한정으로만 뒤에 '!'가 들어간다.] 보통 '!'는 해당 극장판의 제목 앞의 짧은 단어나 문장 뒤에 들어가는 경우가 많다.[* 위의 예중 12기, 15기, 20기를 제외한 모든 예가 이에 해당한다.] [[1993년]] 액션가면VS그래그래 마왕 극장판 이후부터 폭풍을 부르는 석양의 떡잎마을 방범대까지 상영일 기준, 이듬해 [[1994년]] [[4월 25일]]부터 [[2005년]] [[4월 22일]]까지 [[VHS]] [[비디오]]를 [[반다이 비주얼]]에서 항상 발매했으나 13기 극장판 부리부리 3분 대작전 이후인 [[2006년]]부터는 VHS를 더이상 발매하지 않고 DVD로만 발매한다. TV 시리즈에서 하차한 스태프 중 일부는 극장판에는 계속 참여하기도 하는데, 대표적 예시로 연출, 콘티 파트의 [[유아사 마사아키]]와 오오츠카 마사미가 있다. 특히 오오츠카 마사미의 경우는 매번 대량의 원화 작업을 담당하고 있으며 22기에서는 하라 카츠노리와 공동 캐릭터 디자인을 맡아 극장판 오리지널 캐릭터에서 오오츠카의 스타일을 느낄 수 있다. 기존 오프닝 영상을 그대로 쓴 1기 극장판을 제외하고 오프닝 영상은 클레이 애니메이션을 이용한 게 특징이다.[* 28기 극장판에서는 엔딩에 이용되었다.] 일본의 유명 클레이 애니메이션 작가이며 관련 강의도 하고 있는 이시다 타쿠야의 작품이다. 제작 스타일은 크게 감동 추구와 병맛개그 추구로 나뉜다. 극장판 초기에는 액션가면 VS 하이그레 마왕 같은 병맛개그계가 주류였지만 어른제국의 역습이 히트한 이후 감동계도 많이 제작된다. 가끔식 호러계 극장판도[* 4기, 14기, 24기 등.] 제작된다. 과거의 극장판 추억 보정의 영향도 있어서인지 크레용 신짱이라는 타이틀을 떼고 보면 [[엄청난 태풍을 부르는 금창의 용사]]나 [[태풍을 부르는 황금 스파이 대작전]]을 제외하고는 못해도 B급 이상의 수작임에도 신 극장판들이 구 극장판 작품에 비해 많이 저평가된다. [[부리부리 3분 대작전|13기]]를 기점으로 극장판 자체의 연령대 타겟이 낮아지는 것의 이유가 큰데 성향상 비슷한 포지션인 [[폭풍을 부르는 정글|8기]]-[[엄청 맛있어! B급 음식 서바이벌!|21기]], [[어른제국의 역습|9기]]-[[정면승부! 로봇아빠의 역습|22기]]를 비교해도 확실하다. [[혼고 미츠루|혼고]]나 [[하라 케이이치|하라]] 체제에서 무토 유지 체제로 가면서 블랙 코드나 성적 개그의 탈색도 강해졌기 때문에 극장판도 영향을 받는 것. 그래도 [[정면승부! 로봇아빠의 역습|22기]] 이후에는 흥행과 평가 모두 성공적인 성적을 올리고 있다. TV판에서는 우는 일이 매우 드문 [[노하라 신노스케|신짱구]]가 울거나, 눈물을 글썽이는 장면이 꽤 나온다.[* 대표적으로 6기인 [[전격! 돼지발굽 대작전]]에서는 마지막에 한번 눈물이 흐르고, 10기인 [[태풍을 부르는 장엄한 전설의 전투]]에서는 아예 펑펑 운다.] 주로 그 극장판의 대표가 되는 물질이 뚜렷한 경우 애니메이션에서 그에 관련된 이야기를 주제를 애니메이션으로 만들어 광고한다. 은근 광고나 포스터가 영화 내용과 괴리가 심하다. 보통 영화는 포스터에 소품을 놓거나 포즈를 잡는 정도로만 그치는 데 비해 크레용 신짱 극장판은 딱 영화의 컨셉만 따는 정도라 간혹 포스터와 영화 내용의 괴리에 당황하는 이도 종종 있다.[* 영화 오리지널 등장인물의 디자인이 다르게 나오는 것은 기본이다. 그 예시가 4기 극장판의 '''토페마 마페트'''나 16기 극장판의 '''마타 타미'''. 그리고 영화에는 안 나오는 장면들이 광고에 많이 나온다.] 극장판의 감독 중 한명인 [[미즈시마 츠토무]]의 말에 의하면 [[https://blog.goo.ne.jp/mizshima1941/e/c1ca23b296285ecfced8185349e71d63|예고편을 낼 당시에는 제작진에서도 주어진 정보가 적어서 이렇게 된 거라고 한다.]][* 가령 8기는 '짱구가 서바이벌을 한다', 9기는 '어른과 아이가 싸운다', 10기는 '전국시대에 전투가 있는 것 같다', 7기는 '가족이 뿔뿔이 흩어지게 된다'(심지어 이건 극장판에 반영되지도 않았다), 6기는 '적 캐릭터가 많다', 11기는 '부리부리대마왕이 가득하다', 12기는 '서부극'... 이런 식으로 진짜 대략적인 정보만 주어진다는 듯.] [[부리부리 왕국의 보물]]부터는 가수나 연예인 같은 실존인물을 게스트로 등장시키고 있다. 단, 9기, 10기, 19기, 20기에는 나오지 않았다. 작중에서 해외에 방문하기도 하는데 대표적으로 [[전격! 돼지발굽 대작전|6기]]의 홍콩, [[나의 이사 이야기 선인장 대습격|23기]]의 멕시코, [[아뵤! 쿵후 보이즈 ~라면 대란~|26기]]의 중국, [[신혼여행 허리케인~ 사라진 아빠!|27기]]의 호주가 있다. 참고로 10주년 극장판을 제외하면 첫 극장판과 15, 20, 25주년 극장판은 전부 '''[[우주]]'''와 관련되어 있다.[* 1기 극장판 - [[액션가면 대 그래그래 마왕]](우주에서 온 침략자와의 싸움), 15주년 - [[태풍을 부르는 노래하는 엉덩이 폭탄!]](우주에서 온 폭탄), 20주년 - [[태풍을 부르는 나와 우주의 프린세스]](우주의 공주), 25주년 - [[습격!! 외계인 덩덩이]](우주에서 온 외계인과의 모험)] == [[명탐정 코난(애니메이션)/극장판|코난]]과의 라이벌 관계 == 1997년에 처음 개봉된 [[명탐정 코난]]의 극장판과는 2005년, 2019년, 2020년([[부리부리 3분 대작전|13기 극장판]], [[신혼여행 허리케인~ 사라진 아빠!|27기 극장판]]) 딱 두 번[* [[2005년]]은 명탐정 코난의 극장판 [[명탐정 코난: 수평선상의 음모|수평선상의 음모]]가 [[4월 9일]]에, 본작의 극장판 [[부리부리 3분 대작전]]이 [[4월 16일]]에 개봉하였고, [[2019년]]은 명탐정 코난의 극장판 [[명탐정 코난: 감청의 권|감청의 권]]이 [[4월 12일]]에, 본작의 극장판 [[신혼여행 허리케인~ 사라진 아빠!]]가 [[4월 19일]]에 개봉하였다.]을 제외하고는 '''항상 개봉일이 겹친다.''' 그래서 어느 한 쪽 극장판의 개봉일이 공개되면 다른 한쪽의 개봉일을 미리 알 수 있다. 역대 짱구 극장판 개봉 날짜들을 자세히 보면 그 이유를 알 수 있는데, 명탐정 코난과 개봉일이 겹치기 시작하는 1997년부터 2019년까지 개봉일이 모두 4월의 세 번째 금요일/토요일이다.[* 2017년에 개봉한 25기까지는 개봉 날짜가 4월 세 번째 토요일이었으나, 2018년에 개봉한 26기부터는 세 번째 금요일로 변경되었다. 이는 [[명탐정 코난(애니메이션)/극장판|코난 극장판 시리즈]]도 마찬가지이다.] 일본의 연휴 주간[* 연휴 기간이 추석 연휴와 비슷한 규모다.]인 [[골든 위크]][* 4월 마지막 토요일부터 시작]의 효과를 노렸기 때문이다.[* 해당 문서에도 기술되어 있다.] 한국에서도 방학이나 연휴 때에 영화가 다수 개봉되는 것과 비슷한 이치다. 그 시기를 노리고 개봉하는 영화가 적지 않음에도 불구하고 이 두 작품이 특별히 회자되는 건 극장판 내력이 장난 아니기 때문이 아닐까. 다만 흥행 성적만 놓고보면 '''코난이 압도적으로 우세'''하다. 거의 두 배 차이가 날 때도 많으며 최근에는 4배 차이가 나고 있다. 코난 팬층이 나이 먹고 누적되면서 대부분 청소년, 성인이 되었는데도 여전히 코난을 보러 극장을 찾는데 비해 짱구를 보러 극장을 찾는 이들은 대부분 어린층이라 그런 듯. 이런 이유 때문에 격차가 점점 벌어지고 있다.[* 사실 코난이 좀 특이한 경우다. 보통 애니나 만화가 20년 넘게 연재방영되면서 새로운 어린 팬층에게 팔리든지, 기존 팬층과 나이를 함께 먹으면서 그들에게 팔리는 경우가 많은데 코난은 '''새로운 어린 팬층도 들어오고 기존 팬층도 나이 먹어가면서 계속 좋아하는''' 특이한 케이스라서 흥행력은 짱구과 비교불허이다. 아무래도 코난은 사건 추리 애니라서 성인들도 재미있게 볼 수 있기 때문인듯 하다. 짱구는 그림체나 주요 인물들이 유치원생이고 유쾌한 애니이다 보니 아이들에게 더 인기있다.][* 명탐정 코난은 [[어벤져스: 인피니티 워]]와의 흥행 경쟁에서 이기기도 했다.] 흥행과 반대로 작품성이나 완성도 면에서는 신짱이 우위를 지킨다. [[문화청 미디어 예술제]] 수상 경력 등에서 확인 가능하다. 특히 2010년대 들어서 차이가 더 벌어졌는데 최근 신짱 극장판이 흥행과 평가 모두 잡고 있는데 반해 최근 코난 극장판은 완성도 면에서 많은 비판을 받고 있다. 참고로 일본 3대 애니메이션 극장판 중 나머지 하나인 [[도라에몽/극장판|도라에몽 극장판]]은 위의 두 극장판보다 1달 일찍 개봉하기 때문에 신짱과 도라에몽이 극장에서 맞붙은 적은 없다. 하지만 도라에몽도 [[명탐정 코난(애니메이션)/극장판|명탐정 코난 극장판]]처럼 워낙 넘사벽의 흥행 파워를 갖고 있기 때문에 개봉시기가 안 겹치는 게 다행일지도. --그런데 어차피 짱구와 도라에몽 모두 신에이 동화꺼라 무엇이 더 흥행하든 신에이 동화는 상관없다.-- == 한국에서 == 1996년에 세음미디어를 통해 '시네마트' 레이블로 1~2기 및 4기를 처음 들여왔는데, 특히 1기와 2기를 반대로 바꿔 소개했다. 더빙제작은 프로덕션애드원, 공급은 (주)대우 무역부문 영상사업본부가 맡았는데, 이것은 국내에서 짱구 애니판의 시작점이 되었다. 2000년에는 디지탈임팩트에서 'DMV' 레이블로 5~7기를 비디오로 발매했다가[* 해당 비디오들은 2001년 5월에 피자헛에서 짱구세트를 시킬 시 [[https://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1&oid=009&aid=0000113840|증정한 바 있다.]]] 2001년 세음의 후신인 엠브이넷이 8기를 비디오로 냈다. 지상파는 1998년 10월 23일부터 2주 간 SBS 및 7개 지역민방에서 오후 5시 35분 '금요 만화스페셜' 시간대에 1기 극장판을 반씩 나눠 방영한 바 있으며, 2001년 10월 1일부터 이틀에 걸쳐 MBC에서 추석특선으로 6기와 8기를 각각 방영했다. 이후 투니버스에서 DMV-엠브이넷 비디오판을 반복방영하다가 만 SBS의 TV판 방영중단과 투니버스의 TV판 집중 등으로 인해 폭풍을 부르는 정글 이후 한동안 극장판은 공백기였다. 그 이후 투니버스에서 방영하는 TV판이 잘 되는 것을 본 [[대원방송]]측에서 2008년 극장판에 대한 판권을 따낸다. 대원방송에서 녹음한 극장판들을 대원판이라고도 칭한다. CJ로 판권이 넘어가기 전까지 극장판에 대한 국내 개봉, TV방영, 더빙을 맡고 있다. TV 방영 관련은 대원방송 계열 채널인 애니원과 챔프에서 맡고 있으며 이미 수입된 극장판들은 재더빙까지 하여 첫 번째 작품부터 계속해서 방영해 주고 있다. 기존 캐스팅을 포함해서 게스트 성우진도 오히려 비디오판보다 대원방송판이 잘 뽑아서 나름 큰 호평을 받았다. 국내 개봉에 대한 것은 2009년 15기인 엉덩이 폭탄이 처음으로 극장에 정식 개봉되었다. 이후 2011년 태풍을 부르는 나의 신부 편이 방영된 후 매년 어린이날이나 겨울방학 시기 쯤 일본에서 이전 해에 개봉되었던 극장판을 상영하고 있다. 극장 상영 시작 전에 방영된 극장판들은 그 당시 대원 성우극회가 없어서 외부 성우가 꽤 다양하게 캐스팅 됐지만 극장상영 시작 후에는 이쪽도 [[전속 시리즈]]를 피해갈 순 없었다. 다만 [[도라에몽]]은 기존 등장인물을 제외하고 모조리 전속으로 채우는데, 이쪽은 적어도 한두 명 정도는 외부 성우를 투입하는 편. 단, 나와 우주의 프린세스는 제외.[* 물론 성우 [[현경수]]가 있긴 하나 기존에 있던 성우이기 때문에 20기는 이례적으로 개스트가 한 명도 없다.] 오프닝 곡과 엔딩 곡은 번안하지 않고 일본판으로 틀어주는데 이건 [[CJ E&M]] 측의 입김이 좀 더 강한 편이라 그렇다. CJ로 판권이 넘어간 2017년작 이후에도 주제가는 편집하지 않고 원곡이 그대로 나온다. 주제가가 아닌 작중에 나오는 삽입곡도 대원미디어가 수입하던 시절에는 더빙하지 않고 일본 원본에 자막을 띄어주는 형식이었다.[* 5기에서는 흑구슬족이 노래 부르는 장면에서 다른 파트는 다 원어 그대로 내보냈는데 년도를 소개하는 부분에서만 한국판 성우들이 '''이천하고 팔년에'''를 외친다. 아무래도 챔프에서 한창 극장판을 방영하던 년도에 맞게 로컬라이징한 모양이지만 이 노래는 1970 오사카 엑스포 주제가라서 년도를 수정할 필요는 없었다.] 심지어 다른 방송사에서 노래를 모두 더빙했음에도 대원판은 등장인물들이 노래만 불렀다 하면 일본어를 그대로 내보냈었다가 20기 나와 우주의 프린세스부터는 등장인물이 부르는 삽입곡을 모두 번안하여 더빙한다. 대원방송에서 방송된 극장판의 경우엔 초창기에는 수위에 비해 시청 가능 연령대도 대개 7~12세로 상당히 낮았으며 삭제된 장면들도 없이 대사 등의 몇몇 요소만 편집된 채 영상 자체는 원본 그대로 방송하였지만[* [[전격! 돼지발굽 대작전]]에서 [[부리부리자에몽]]과 짱구가 서로 [[고간|그곳]]을 움켜쥐는 장면 같은 것도 아무렇지 않게 방송되었다. 또한 [[어른제국의 역습]]처럼 원본의 대사보다 훨씬 수위가 세게 [[초월번역]]으로 번역된 경우도 있긴 했다. 물론 심의 강화 후에는 이러한 장면들은 삭제되었다.] 방송심의가 강화된 이후부터 15세 시청가로 올라갔으며 편집 및 삭제된 장면이 상당히 늘어났다. 그 중에는 통편집된 부분이 많아서 부자연스러운 연결이 종종 있는 편이다. 석양의 카스카베 보이즈의 채찍질 이후의 장면이 대표적이다. 편집 이전판은 한동안 판도라TV 등 인터넷상에 올라와 있었으나, 세월이 흘러서 업로더들이 저작권 등을 이유로 영상을 지우면서 보기 힘들어졌다. 극장판 12기까지는 하나도 빠짐없이 화면수정 및 [[로컬라이징]]에 신경을 매우 써서 성공적 로컬라이징을 보여주어 12기에 절정기에 달했지만, 13기 이후부터는 로컬라이징에 대해 성의가 없어지기 시작했다. 정확한 원인은 불명이지만 아마 디지털 작화로 변경되면서 화면 수정할 일이 많아지다 보니 화질도 좋아지고, 그에 맞는 방송사에서 로컬라이징 담당 인력이 부족하거나 로컬라이징을 할 명칭 아이디어의 고갈로 추정된다. 특히 극장 개봉을 시작한 초창기에는 로컬라이징에 신경 안 쓴 티가 팍팍 났다. 화면 수정은 15기, 18기에서 정점을 찍었는데 이 작품은 오프닝의 타이틀 부분과 엉덩이 부위를 제외하고는 화면에 일절 손도 대지 않아 일본어가 그대로 나오고 전부 자막으로 떼웠다. 19기는 등장인물의 이름만 변경됐으며 초반 부분 짱구의 위치를 찾기 위해 컴퓨터에서 일본 지도가 확대되는 것 역시 그대로 나온다. 21기부터는 화면 수정이 많아졌으나, 인력이 많이 들 것 같다 싶으면 과감하게 원본대로 나오며 모션이 들어간 부분은 자엽스럽지 않다. 신짱의 코끼리 춤이나 부리부리 엉덩이춤도 같은 선정성 검열 면에서도 블러나 바지 색깔로 대충 가리는 식으로 투니버스에 비해 무성의한 편이다. TV 방영 되었던 기존의 극장판의 경우엔 [[전설을 부르는 춤을 춰라! 아미고!]] 방영 시에는 짱구의 코끼리 부분에 대문짝 만하게 원 안에다 "금지!"라는 글을 적어놓아 붙여놓는 걸로 수정한 적도 있다. 이외에 투니버스랑 같이 시작 전에 '''절대 따라하지 마세요!'''라는 의미를 담은 영상을 송출한 뒤 방송을 시작한다. 하지만 판권이 CJ로 넘어간 이후인 25기 극장판 외계인 덩덩이 이후부터는 화면 수정과 로컬라이징에 혈을 쏟아내기 시작했다. 대원방송판 및 극장 개봉판의 연출은 1기부터 17기까지는 [[김정규]], 18기는 [[김정령]], 19기는 [[김정령]]과 [[황태훈]], 20기는 [[황태훈]], 21기와 22기는 [[곽영재]], 23기와 24기는 [[황태훈]]. 투니버스판 극장 개봉판의 연출은 25기는 [[김진아(PD)|김진아]] 26기는 [[신길주]]. [[습격!! 외계인 덩덩이|25기]]부터 기존의 대원방송 쪽 성우진들이 아닌 TVA의 성우들로 바뀌어 예고편에 등장하였다. 이를 통해 TVA뿐만 아니라 극장판 판권도 CJ 측에서 계약을 한 게 아니냐는 추측이 있었고 포스터나 광고 등을 통해 CJ E&M에서 판권을 수입하는 게 밝혀지게 되었다. 성우진은 TVA를 맡았던 자사성우들 위주로 구성하였다. 이후 [[애니원]], [[애니박스]], [[챔프TV]] 채널에서 '''1기부터''' 신나게 재방송 중이다. CJ E&M으로 넘어간 [[습격!! 외계인 덩덩이|25기]] 또한 대원방송인 [[챔프TV]]에서 방영하였다. 판권이 넘어간 이후에도 투니버스가 먼저 방영하고 그 다음에 대원방송에서도 방영할 가능성이 크다. 1993년 ~ 2002년 극장판도 16:9 비율[* 원판 LD/VHS를 구해서 틀면 레터박스로 나온다.][* 정확히 1.92:1이다.]인데 국내에서 VHS로 나올때 좌우가 짤렸다. 국내에선 25기를 기점으로 흥행성적이 크게 뛰어올랐다. 일본에서도 22기 이후로 극장판의 성적이 전성기 시절의 20억엔 수준을 꾸준히 유지하고 있지만 국내의 흥행 성적은 아무래도 투니버스를 위시한 CJ의 공격적이고 유쾌한 마케팅 덕분인 듯하다. 국내에서 짱구 극장판 역대 최고 성적을 기록한 25기와 26기의 경우 일본에서도 암흑기보다 괜찮은 성적이긴 하지만 20억엔을 돌파하지 못하면서 23,24기보다는 떨어지는 흥행을 기록했기 때문이다. 다만, 짱구 극장판의 평가와 흥행력 모두 22기를 기점으로 눈에 띄게 상승했고 국내에서도 최근들어 연속으로 30만명을 돌파하는 등 호재가 겹치는 것을 볼 때 앞으로의 흥행력도 일본과 국내 모두 상당히 기대가 되는 상황...이었으나 2020년 코로나19의 여파로 개봉일을 미루고 미룬 28기의 흥행력이 일본에서 10억엔을 겨우 돌파한 상황이고,[* 일본의 경우 코로나 여파라고 하기엔 민망한 것이 9월 이후 박스오피스가 전세계에서 유일하게 거의 정상화되었다. 귀멸의 칼날이 역대 일본 영화 흥행기록 행진을 실시간으로 세워나가는 중이기도 하고, 물론 전통적으로 짱구가 개봉하던 골든위크에서는 한참 밀려 애매한 시기에 개봉한 탓도 분명히 있긴하다.] 뒤늦게 국내에서 개봉한 27기 역시 12만명에 그치면서 아쉬운 성적을 보였다.[* 다만 국내의 경우 올해 영화관 시장 자체가 거의 처참했기에 선방한 것이긴 하다.] 일본의 경우 빅4 애니메이션 극장판[* 도라에몽, 명탐정코난, 포켓몬스터, 짱구는 못말려]의 최근 흥행 성적은 명탐 정코난이 압도적이고 그 뒤를 도라에몽, 포켓몬스터, 짱구는 못말려가 잇는 중인데 국내의 경우 최근에는 명탐정코난, 짱구는 못말려, 포켓몬스터, 도라에몽의 순서이다. 다만 도라에몽만이 현저히 흥행에서 밀릴 뿐 일본과 같이 코난의 압도적인 독주라고 보긴 어렵다. 코난이 무려 60만명을 연속으로 돌파하면서 타 극장판에 비해 앞서가긴했으나 포켓몬스터의 경우에도 비슷한 시기 특전과 2편개봉 등을 통해 4~50만명을 찍었다. 짱구의 경우엔 국내 개봉자체도 오래되지 않았고 초반엔 20만명, 낮으면 겨우 10만명에 그치는 등 도라에몽과 엎치락 뒤치락하던 시기가 있었으나 최근에는 흥행성적이 크게올라 30만명을 돌파했다. 코난과 포켓몬스터의 흥행력이 많이 떨어지고 짱구의 흥행력이 많이 치고올라왔다. 특히 포켓몬스터의 경우 최근작이 20만명 아래로 곤두박질치면서 짱구와 코난의 흥행성적이 오히려 엇비슷한 수준이다. 최근 개봉작을 기준으로는 짱구[* 2020년 8월]가 12만명, 코난[* 2019년 8월]이 21만명, 포켓몬스터[* 2018년 7월]가 19만명을 기록했다. 다만 코난의 경우 전작은 40만명을 넘었으나 2019년 여름이 정점이였던 일본 불매 운동의 영향을 직격으로 받았고 짱구의 경우 코로나 19의 대유행 탓에 극장가가 거의 90%가까이 쪼그라든 상태였다. 네 작품이 동시에 개봉했던 가장 최근해인 2018년을 비교할 경우 코난이 41만명, 짱구가 35만명, 포켓몬스터가 19만명, 도라에몽이 18만명으로 코난,짱구 >> 포켓몬스터, 도라에몽이다. 도라에몽이 언제나 10~20만명 선에서 꾸준히 유지하는 반면, 포켓몬스터의 경우 최근들어 흥행성적이 뚝뚝 떨어져버려 도라에몽과 엇비슷한 정도까지 내려왔다. 코난은 전성기를 지나 40만명 언저리의 관객을 모으고있으며 짱구는 흥행에서 전성기를 맞이하면서 30만명 중반까지 바짝 추격한 상태이다. 다만, 2019년과 2020년을 지나면서 일본 불매에 대한 인식이 강해졌고, 코로나19의 여파까지 장기화 될 것으로 보여 이후 일본 애니메이션 극장판의 흥행이 상당이 어려워질 것으로 보인다. 특히 짱구의 경우 최근에서야 전성기를 맞이한 터라... 그래도 관람층 대부분이 어린이인 덕에 일본 불매 운동에 대한 영향은 코난에 비해 적게 받을 것으로 보인다. == 평가 == 일본에서도 손꼽히는 수작 극장판 애니 시리즈이다. 순진하고 순수한 아이들의 발상력을 토대로 하며 그 상상력을 기반으로 이야기를 꾸려 나간다. 이야기도 전체적으로 밝고 순진해서[* 물론 아닌 것도 몇 개 있다. 특히 [[전설을 부르는 춤을 춰라! 아미고!|14기]]는 공포로 유명하다.] 누구나 큰 거부감 없이 볼 수 있다. 다만 특유의 섹드립이나 블랙 코미디 요소가 없는건 아니다. 메이저 작품치고는 이례적으로 SF, 무협, 액션, 어드벤처, 시간여행 등 정해진 장르 없이 다양한 장르에 도전하고 있다. 스토리 라인도 클리셰에 구애 받지 않는다. 특히 작품별로 쓰이는 소재를 판타지적인 상상력으로 치장하는 게 특기이다. 예를 들어 [[흑부리 마왕의 야망]]은 고전 무협풍에 SF [[거대로봇물]]을 섞어서 신짱스런 코믹함을 살려냈다. 그러다 보니 작품들이 하나같이 다채롭고 신선하다는 평이 많다. 소재들도 굉장히 신선할 때가 많고. 가족 만화인만큼 감동도 있는 편이다. 초기에는 그런 경향이 별로 없었으나 '''[[어른제국의 역습]]'''을 기점으로 가족주의적인 스토리텔링이 늘어나고 감동 위주의 전개도 많이 보이게 되었다. 보통 타 시리즈는 감동으로 노선을 변경하면 [[신파]]극이 되는데 신짱은 대체로 괜찮다는 평. [[명탐정 코난(애니메이션)/극장판|옆 동네]]와 마찬가지로 시기에 따라 평가가 나뉜다. 하지만 코난처럼 "몇 기부터 몇 기까진 전성기다" 등으로 명확하게 갈리지는 않는다. 아무래도 코난과는 다르게 작품마다 소재와 장르가 다르다보니 호불호가 좀 갈리는게 원인. 물론 [[어른제국의 역습|장르와 소재의 호불호를 씹을 정도의 완성도로 대부분이 인정하는 작품]]도 있기는 하다. === 1~13기 === 1~13기를 짱구는 못말려 극장판 전성기이자 연출이 가장 뛰어난 시기로 분류하는 경우가 많다. 이 13 작품의 공통점은 모두 [[하라 케이이치]]가 참여했다는 것. 작품에 따라서 감독이기도 하고 콘티만 그려주는 경우도 있으나 공통적으로 볼 만한 장면은 있으며 그러한 장면은 대부분 하라 케이이치가 작업했다. 초창기 작품([[액션가면 대 그래그래 마왕|1]][[부리부리 왕국의 보물|~]][[흑부리 마왕의 야망|3기]])은 여러모로 뒤의 작품들과는 분위기나 컨셉에서 차별된다.[* 애초에 [[노하라 히마와리]]가 태어나기 전인 1996년 전에 만들어진 작품들인데 원작도 히마와리 출산 전과 후는 캐릭터 컨셉이 많이 차이가 난다.] 캐릭터성도 이후와는 많이 달라서 신규 팬층이 보기엔 좀 낯설 수도. [[노하라 히마와리]]는 아예 태어나지도 않았고.[* [[노하라 히마와리]]는 5기 [[암흑 마왕 대추적]]부터 등장한다.] 하지만 작품들의 완성도는 높은 편이며 이후에 나온 작품들처럼 감동이나 그런 것보다는 신짱스러운 코믹함에 주력한 작품들이었다. 세 작품 모두 원작의 에피소드를[* 1기는 크레용 신짱 6권, 2기는 8권, 3기는 11권에 나온 내용을 바탕으로 한다. 다만 3기의 [[피에르 조커|최종보스]]는 원작에 나오지 않은 오리지널 캐릭터.] 기반으로 하고 있다. [[격돌! 낙서왕국과 대강 네명의 용사]] 이전에는 원작에서 설정과 스토리를 차용한 극장판은 이 세 작품뿐이었다. 초중기(4~15기)는 제작진들의 기획력과 역량, 작품들의 개성과 주제의식에서 높은 평가를 받은 시기이며, 시간이 흘러도 끊임없이 기억되고 회자되는 작품들이 많다. '''상상력 넘치는 미친 소재들'''[* [[암흑 마왕 대추적|도시 추격전]], [[전격! 돼지발굽 대작전|사이버 테러]], [[폭풍을 부르는 정글|무인도 왕국]], [[어른제국의 역습|향수병]], [[장엄한 전설의 전투|전국시대]], '''[[태풍을 부르는 영광의 불고기 로드|불고기]]''', [[폭풍을 부르는 석양의 떡잎마을 방범대|영화 속 세계]], '''[[부리부리 3분 대작전|컵라면]]''', [[태풍을 부르는 노래하는 엉덩이 폭탄!|기저귀]] 등]과 가볍고 부담없는 스토리텔링, 일상 개그만화다운 웃긴 연출 속에 의외로 철학적인 주제와 깨알 감동까지 있다며 호평을 많이 받는다. 중간중간 나오는 [[노하라 히로시]]의 명대사도 일품. 액션도 신짱답게 웃기고 재미 있게 넘어가며 매력적이고 유쾌한 등장인물들까지 딱히 손색이 없다. 4기 [[헨더랜드의 대모험]]은 짱구는 못말려 극장판에서 처음으로 호러 연출을 넣으면서도 개그와 액션도 좋은 비율로 맞춘 수작이며, 5기 [[암흑 마왕 대추적]]은 개그 노선 작품이에도 훌륭한 서사와 캐릭터 활용으로[* 특히 조력자인 [[타마유라 브라더스]]와 악당 [[헥슨]]은 현재도 컬트적인 인기를 끌고 있다.] 수작으로 평가받았고, 6기 [[전격! 돼지발굽 대작전]]에서는 완성도 높은 액션물임에도 개그 장면과 감동적인 장면을 알맞게 넣은 숨은 명작이다. 7기는 잠시 주춤했지만 8기는 짱구는 못말려 극장판 황금기의 문을 연 작품으로 평가받는다. '''9기 [[어른제국의 역습]]'''은 가히 독보적인 명작. 평단의 눈물을 훔치며 '''애들 보여주려고 들어간 어른들이 울더라''' 라며 최고의 호평을 받았고 [[일본 미디어 예술 100선]]에 선정되는 기염을 토한다.[* 그리고 [[스튜디오 지브리]] 출신 잡지 선정 애니메이션 최고의 명장면 1위에 히로시의 회상 장면이 선정되었다. 고연령 애니 위주의 얘기만 할 때도 이상하게 아동 애니 출신인 어른제국만은 빼놓지 않는다.] 수익은 모든 짱구 극장판 중 9위라고 한다. 그리고 10기 '''[[장엄한 전설의 전투]]''' 역시 [[어른제국의 역습]]과 시리즈 역대 최고를 다투는 작품이다. 역시 [[일본 미디어 예술 100선]] 애니메이션 부문 31위에 랭크되고, [[문화청 미디어 예술제]] 대상을 받은 명작이다. 내용의 무거움과 진지함 면에서 역대 크레용 신짱 극장판 중 독보적인 No.1 수준이며, 기존의 [[극장판]]들과 확연히 차이가 나는 [[새드엔딩|결말]]도 화제가 됐다. 이러한 특징 때문인지 크레용 신짱 극장판 중 유일하게 (리메이크 버전으로서) 실사화되는 영광을 누리기도 했다. 이 두 작품의 완성도가 워낙 높아서 그렇지, 타 작품들도 개성은 뚜렷하다. 11기 [[태풍을 부르는 영광의 불고기 로드]]는 타시리즈와 비교불허의 개그씬--그리고 게이씬--을 남발하며 단순히 웃음만을 기준으로 생각했을 때는 역대 최고 명작으로 불리기도 한다. 재미있게도 [[명탐정 코난 극장판]]과의 역대급 매치업이 형성되었던 시기이기도 하다. 우선 어른제국의 역습은 '''[[천국으로의 카운트다운]]과 같은 년도 같은 날에 개봉했다.'''[* 이 해는 지브리 극장판 중 최고의 명작인 [[센과 치히로의 행방불명]]도 개봉 했던 해이기에, [[2001년]] 당시에는 극장가의 분위기가 말이 아니었다고 한다. 센과 치히로의 행방불명은 디지털 작화로 제작되었지만 코난과 어른제국의 역습은 셀작화로 제작했다. 짱구 극장판은 2003년에 디지털 작화로 변경하고, 2005년부로 HD로 완전히 전환하였다.] 그리고 1년후인 [[2002년]], 두 시리즈는 '''[[태풍을 부르는 장엄한 전설의 전투]]와 [[베이커가의 망령]]'''으로 다시 한번 맞붙게 된다. 작품들의 이름들을 하나하나 보면 알겠지만, 모두 해당 시리즈에서 최고의 명작으로 평가받는 작품들이다. 공교롭게도 어른제국의 주제가 20세기를 살아간 사람들에 대한 헌정이었다면, 1년 후 개봉한 베이커가의 망령은 21세기를 어떻게 살아야 하는지 직접 제시하는 작품이다. === 14~20기 === 하지만, [[전설을 부르는 춤을 춰라! 아미고!|14기]]부터 짱구는 못말려의 퀄리티의 금이 가기 시작하였다. 물론 해당 작품은 지금까지도 독보적으로 공포스러운 분위기를 가장 잘 나타낸 작품으로 뽑히고[* 크레용 신짱 극장판들 중에서 공포스러운 분위기를 풍기는 극장판은 [[핸더랜드의 대모험]], [[나의 이사 이야기 선인장 대습격]], [[폭풍수면! 꿈꾸는 세계 대돌격]] 등 몇 개 더 있지만 모두 이 극장판을 따라갈 정도의 공포 연출을 보여주지 않았다.] 대놓고 공포물로 간 만큼 분위기만큼은 역대급이었다. 하지만, 후반부에는 초반의 전개를 날려먹은 개연성 0의 막장 전개로 해당 작품을 역대 최악이라 치부하는 사람들도 많이 있다. 이후 [[태풍을 부르는 노래하는 엉덩이 폭탄]]은 14기에서 지적받았던 일관적이지 않은 주제 의식과 내용 전개에 대한 피드백을 받고 9기의 주제 중 하나였던 가족애를 되살려 '''감동'''과 '''가족애'''를 테마로 하여 15주년에 걸맞는 흥행을 이뤄냈다. 이렇게 다시금 되살린 열풍을 이어가면 좋았겠지만... 16기 [[엄청난 태풍을 부르는 금창의 용사]]부터 완성도가 급속도로 추락하더니[* 14기는 하다 못해 초반이라도 흥미로웠으나 16기는 그런 것도 없이 처음부터 끝까지 지루하다는 평가가 많았다. 게다가 전작인 15기 [[태풍을 부르는 노래하는 엉덩이 폭탄!]]이 많은 감동과 다채로운 액션으로 극장가를 휩쓴 바로 직후라서 급락의 체감이 엄청났다고.] 20기 [[태풍을 부르는 나와 우주의 프린세스]]까지 그야말로 '''암흑기'''를 걷는다. 그나마 중간 작품인 18기 [[초시공! 태풍을 부르는 나의 신부]]가 평가가 좋고 흥행도 준수한 편이여서 계속 이어지는 암흑기 사이에서 나름 선전한 편이다. 여태까지의 짱구는 못말려 극장판은 소재가 다소 진부하더라도 빵 터트리는 개그나 매끄러운 전개, 감동과 주제의식 등 각 작품마다 확실한 고유의 강점을 하나씩은 가지고 있었는데, 이 시기의 극장판들은 하나같이 재미도 없고 완성도 자체가 개판인 지뢰작들 뿐이라 팬들마저 '''시간이 아깝다'''며 보기를 꺼릴 정도다.[* 크레용 신짱의 팬심을 자극하는 최소한의 요소는 바로 개그와 귀여움인데, 그마저도 제대로 충족시키지 못해 팬들이 등을 돌린 것이다.] 15기에서 가족애와 감동을 내세운 게 호평을 받은 걸 의식한 건지 이후에도 18기를 제외하고는 감동과 가족애 코드를 넣었지만, 개연성이 너무 엉망이라 [[억지 감동]]에 가까웠다.[* 16기는 후반부가 7기랑 비슷하게 흘러갔고, 17기는 셋 중에 평가는 비교적 나은편이지만, 모성애를 부각시키는 묘사가 조잡했고, 19기는 짱구가족이 겉돌았던 건 둘째치고 전개가 워낙 엉망이였다.] 이 일곱 작품들 중에선 [[태풍을 부르는 노래하는 엉덩이 폭탄!|15기]]와 [[초시공! 태풍을 부르는 나의 신부|18기]]는 사람들 사이에서 명작이라는 평가도 꽤나 받고, [[전설을 부르는 춤을 춰라! 아미고!|14기]]는 용두사미 전개가 아쉬웠지만 초중반부 공포 연출이 호평을 받았으며, [[태풍을 부르는 나와 우주의 프린세스|20기]]는 당시 흥행에는 실패했지만 의외로 깊이 있는 주제의식과 상징성, 독특한 전개로 유일하게 재평가의 여지가 있는 작품이다. 단점이 없는 건 아니지만 다른 작품들의 처참한 완성도에 비하면 아주 사소한 부분들이고[* 아무래도 초반 전개가 너무 지루하다는 점이 가장 큰 단점으로 꼽힌다.] 작품성 자체는 상당한 수준이라 억울하게 한 데 묶인 감이 있다. 하지만 나머지 셋은 정말 말 그대로 재앙. 팬들은 거의 [[존재의 부정|없는 것으로 취급]]할 정도다.[* 참고로 이 평이 안좋은 극장판들은 공통적으로 캐릭터를 제대로 활용하지 못했다는 공통점이 있었다. 원래 신짱은 극장판에서는 엉뚱한 행동을 하긴 해도, 기상천외한 행동으로 극을 이끄는 모습을 보였지만, 16기,17기,19기는 신짱을 단순히 민폐 캐릭터로 전락시키고 극 중 상황에 끌려다니기만 할 뿐더러, 주변인들도 신짱한테 면박을 주거나 사태파악을 못하는 경우가 많았다. 20기에 경우 이러한 상황이 더 심했지만 이쪽은 지구의 이변으로 사람들의 성격이 변했다는 설정이 있어서 어느정도 커버되었다.] 18기가 개봉할 즈음에 [[우스이 요시토|원작자]]의 갑작스런 타계로 TV애니 쪽도 갈피를 못 잡고 혼란스러운 시기였는데 그게 극장판에도 영향을 끼친 듯하다. === 21기~ === 21기 [[엄청 맛있어! B급 음식 서바이벌!]]부터 조금씩 예전 분위기를 타기 시작했다. 스케일이 작아졌지만 이전 같은 되도않는 억지 감동을 버리고 신짱스럽게 가볍고 웃긴 스토리로 돌아와서 거부감이 많이 사라졌다. 소재도 전성기 시절처럼 신선하진 않지만 짱구는 못말려에선 거의 처음으로 선보인 요리물[* 일본뿐만 아니라 세계적으로도 '''요리''' 장르는 애니메이션에서 판에 박은 소재이다. 하지만 신짱 극장판에선 아직 메인 소재가 요리었던 적은 의외로 없었다.~~[[불고기|그냥 음식]]이었던 적은 있었지~~]이었기에 괜찮다는 평이 많았다. 그리고 22기 [[정면승부! 로봇아빠의 역습]]로 마침내 '''화려하게 부활'''에 성공했다. 자체평가도 매우 높아졌으며 흥행도 예전만큼 높아져서 평단과 흥행 모두를 잡으며 선방했다. 특히 [[노하라 히로시]]의 (9기 이후로) 완전히 자리잡은 '''좋은 아버지''' 이미지를 로봇이라는 소재와 잘 버무렸다며 다시금 호평을 받았으며 [[문화청 미디어 예술제]] 우수상을 수상했다. 이후 [[나의 이사 이야기 선인장 대습격|23]], [[폭풍수면! 꿈꾸는 세계 대돌격|24]], [[신혼여행 허리케인~ 사라진 아빠!|27기]]를 거치며 완전히 부활해 예전의 분위기를 찾아가고 있다. 재미도 있고 감동도 있고 소재들도 신선하다는 평을 듣는다. 다만 중간에 나온 [[습격!! 외계인 덩덩이|25기]]와 [[아뵤! 쿵후 보이즈 ~라면 대란~|26기]]는 스토리가 허술하고 재미가 없다는 비판이 존재한다.[* 특히 26기는 국내에서도 상당히 호불호가 갈리 편이다.] 그래서인지 호불호가 꽤 갈리지만 확실히 암흑기 때보단 낫다는 평. 무엇보다 흥행력에서 전성기를 맞이하고 있다. 코난처럼 특이한 케이스를 제외하면 애니메이션 극장판은 대부분 1~2기의 흥행성적이 가장 높은 편인데, 짱구 역시 20년 이상 1,2기가 역대 흥행성적 1,2위를 차지하고 있었다. 게다가 어느정도 흥행성적이라도 유지하면 모를까 16기 이후로 수입이 추락했으며 20주년 기념작이라고 꽤나 힘을 줬던 20기가 7기와 맞먹는 최악의 수입을 기록한 탓에 짱구 극장판의 존폐까지도 거론될 정도였다. 다행히 21기에서 어느정도 흥행력을 회복했고 22기부터는 1~2기에 맞먹는 흥행력을 거의 매년 뽑아내는 중이다. 그리고 [[나의 이사 이야기 선인장 대습격|23기]]가 20여년만에 20억엔을 돌파해 1기를 뛰어넘고 역대 흥행 성적 '''1위'''를 찍으면서 흥행력에 있어서 전성기를 누리기 시작했다. 이후 27기까지 모두 시리즈 최고 수준의 성적을 이어가면서 짱구 극장판 흥행 탑텐 안에 22~27기의 작품은 모두 포함되어 있다. 최근 국내에서도 개봉한 [[신혼여행 허리케인~ 사라진 아빠!|27기]]의 경우 짱구 가족 특유의 유쾌한 가족애를 보여주며 매우 감동적인 전개로 호평을 받고 있다. 평가와 함께 흥행도 20억엔을 돌파하며 전성기를 이어가는 중이다. 항상 개봉일이 겹쳐왔던 코난의 경우 매년 팬덤이 성장하며 흥행력은 하늘은 모르고 치솟고 있으나 평가면에서는 전성기를 보낸 이후 암흑기에서 도무지 빠져나올 기미가 안보인다. 게다가 가장 최근 작의 경우 역대 최악이라는 평을 받으며 짱구 시리즈와 많이 다른 행보를 이어가고 있다. == 역대 극장판 일람 == 몇몇만 국내 개봉 및 방영된 [[도라에몽/극장판|도라에몽 극장판]]이나 [[명탐정 코난(애니메이션)/극장판|명탐정 코난 극장판]]과는 다르게 모두 국내 개봉 및 방영되었다.[* 도라에몽 극장판은 1981년~1994년 극장판은 개봉 및 방영이 안 되었고, 명탐정 코난 극장판은 17기 극장판이 방영 혹은 개봉되지 않았다.] 일본에서의 개봉일은 1기와 28기를 제외하고 전부 4월에 개봉되었다. * '''1. [[액션가면 대 그래그래 마왕]]''' 캐치프레이즈: - 감독: [[혼고 미츠루]] 개봉일: 1993년 7월 24일 주제가: 카지타니 미유키(Mew)[* [[미소녀 전사 세일러 문 SuperS|세일러문 SuperS]] 2기 엔딩 '나답게 살거에요'의 그 Meu이다.] - 나는 영원한 어린이(僕は永遠のお子様) 흥행수입: 22.2억 엔 (2위) * '''2. [[부리부리 왕국의 보물]]''' 캐치프레이즈: '''오옷, 내가 두 명 있다!(おおっ、オラが二人いる!)''' 감독: 혼고 미츠루 개봉일: 1994년 4월 23일 주제가: 키시 쿄코 - 약속 See You!(約束See You!) 흥행수입: 20.6억 엔 (5위) * '''3. [[흑부리 마왕의 야망]]''' 캐치프레이즈: '''신짱, 세 번 대변신!(しんちゃん、3回だいへんしん!)''' 감독: 혼고 미츠루 개봉일: 1995년 4월 15일 주제가: 스키모토 사치코 - 구해줘해구(たすけてケスタ) 흥행수입: 14.2억 엔 (11위) * '''4. [[핸더랜드의 대모험]]''' 캐치프레이즈: '''나, 이 승부에서 반드시 이길거야!!(オラ、この勝負には絶対勝つぞ!!)''' 감독: 혼고 미츠루 개봉일: 1996년 4월 13일 주제가: 히나가타 아키코 - SIX COLORS BOY 흥행수입: 12억 엔 (공동 20위) * '''5. [[암흑 마왕 대추적]]'''[* [[노하라 히마와리|짱아]]가 처음으로 출연한 극장판이다.] 캐치프레이즈: '''우리에게 내일은 없다!?(オラたちに明日はない!?)''' 감독: [[하라 케이이치]] 개봉일: 1997년 4월 19일 주제가: 자이츠 카즈오 - 해바라기의 집(ひまわりの家)[* 여기서 해바라기는 히마와리(짱아)를 뜻하기도 한다.] 흥행수입: 11.3억 엔 (23위) * '''6. [[전격! 돼지발굽 대작전]]''' 캐치프레이즈: '''이 바보, 무섭다(このおバカ、恐るべし)''' 감독: 하라 케이이치 개봉일: 1998년 4월 18일 주제가: SHAZNA - PURENESS 흥행수입: 10.6억 엔 (공동 24위) * '''7. [[폭발! 온천 부글부글 대작전]]''' 캐치프레이즈: '''벗으면 무적.(脱いだら無敵。)''' 감독: 하라 케이이치 개봉일: 1999년 4월 17일 주제가: 노하라 일가&온천 두근두근 '99 - 좋은 물이구나(いい湯だな) 흥행수입: 9.4억 엔 (28위) * '''8. [[폭풍을 부르는 정글]]''' 캐치프레이즈: '''야생의 바보가 눈을 뜬다!(野生のおバカが目をさます!)''' 감독: 하라 케이이치 개봉일: 2000년 4월 22일 주제가: 코바야시 사치코 - 안녕 고마워(さよならありがとう)[* 이 노래는 우스이 사망 당시, 팬들이 만들어 낸 추모영상의 노래가 되었다.] 흥행수입: 10.6억 엔 (공동 24위) * '''9. [[어른제국의 역습]]''' 캐치프레이즈: '''미래는 내가 지킨다(未来はオラが守るゾ)''' 감독: 하라 케이이치 개봉일: 2001년 4월 21일 주제가: 코바야시 사치코 - 건강하세요(元気でいてね) 흥행수입: 14.5억 엔 (10위) * '''10. [[태풍을 부르는 장엄한 전설의 전투]]''' 캐치프레이즈: '''역사를 바꾸는 바보 등장!(歴史を変えるおバカ参上!)''' 감독: 하라 케이이치 개봉일: 2002년 4월 20일 주제가: 댄스☆맨 - 이중 판타지 ~체육을 쉬는 여자아이편~(二中のファンタジー〜体育を休む女の子編〜) 흥행수입: 13억 엔 (공동 14위) * '''11. [[태풍을 부르는 영광의 불고기 로드]]''' 캐치프레이즈: '''달려라 신노스케! 노하라 일가가 지명수배?(走れしんのすけ!のはら一家が指名手配?)''' 감독: [[미즈시마 츠토무]] 개봉일: 2003년 4월 19일 주제가: 노하라가 올스타즈 - 이런 때야말로 야키니쿠가 있다(こんな時こそ焼肉がある) 흥행수입: 13.5억 엔 (13위) * '''12. [[폭풍을 부르는 석양의 떡잎마을 방범대]]''' 캐치프레이즈: '''신짱, 컴백!(しんちゃん、カムバ~ック!)''' 감독: 미즈시마 츠토무 개봉일: 2004년 4월 17일 주제가: NO PLAN - 동그라미 주자(○(マル)あげよう) 흥행수입: 12.8억 엔 (17위) * '''13. [[부리부리 3분 대작전]]''' 캐치프레이즈: '''내 미래가 없어져 버린다고?! 긴급출동 3분 GO!(オラのミライがなくなっちゃう?!緊急出動3分GO! )''' 감독: 무토 유지 개봉일: 2005년 4월 16일 주제가: AI - Crayon Beats 흥행수입: 13억 엔 (공동 14위) * '''14. [[전설을 부르는 춤을 춰라! 아미고!]]''' 캐치프레이즈: '''춤추는 바보에 보는 바보 "세계 삼바화 계획" 진행중(踊るおバカに見るおバカ“世界サンバ化計画”進行中)''' 감독: 무토 유지 개봉일: 2006년 4월 15일 주제가: 코다 쿠미 - GO WAY!! 흥행수입: 13.8억 엔 (12위) * '''15. [[태풍을 부르는 노래하는 엉덩이 폭탄!]]''' 캐치프레이즈: '''시로 폭발 10초 전!(シロが爆発10秒前!)''' 감독: 무토 유지 개봉일: 2007년 4월 21일 주제가: SEAMO - Cry Baby 흥행수입: 15.5억 엔 (9위) * '''16. [[엄청난 태풍을 부르는 금창의 용사]]''' 캐치프레이즈: '''선택받은 "바보"의 전설과 모험이 시작된다!(選ばれし“おバカ”の伝説と冒険が始まる!)''' 감독: 혼고 미츠루 개봉일: 2008년 4월 19일 주제가: DJ OZMA - 인기인으로 가자!(人気者で行こう!) 흥행수입: 12.3억 엔 (19위) * '''17. [[포효하라! 떡잎 야생왕국]]''' 캐치프레이즈: '''풀어라, 바보 본능(解き放て、おバカ本能)''' 감독: 시기노 아키라 개봉일: 2009년 4월 18일 주제가: 제로 - 개구쟁이의 길(やんちゃ道) 흥행수입: 10억 엔 (26위) * '''18. [[초시공! 태풍을 부르는 나의 신부]]''' 캐치프레이즈: '''나, 결혼합니다.(オラ、ケッコンします。), 미래도 사랑도 그 손으로 잡아라!(未来も愛もその手でつかめ!)''' 감독: 시기노 아키라 개봉일: 2010년 4월 17일 주제가: mihimaru GT - 축하해(オメデトウ) 흥행수입: 12.5억 엔 (18위) * '''19. [[태풍을 부르는 황금 스파이 대작전]]''' 캐치프레이즈: '''아빠, 엄마. 사실은 나, 스파이입니다.(父ちゃん母ちゃん 実はオラ、スパイです。)''' 감독: 마스이 소이치 개봉일: 2011년 4월 16일 주제가: [[칸쟈니∞]] - 옐로우 팬지 스트리트(イエローパンジーストリート) 흥행수입: 12억 엔 (공동 20위) * '''20. [[태풍을 부르는 나와 우주의 프린세스]]''' 캐치프레이즈: '''안녕, 히마와리(さよなら、ひまわり), 바보, 때로는 오빠. 우주도 흔들 5살의 결단!!(おバカ、ときどき、兄 宇宙も揺るがす、5才の決断!!)''' 감독: 마스이 소이치 개봉일: 2012년 4월 14일 주제가: 이동복도주행대7 - 소년이여 거짓말을 하라!(少年よ 嘘をつけ!) 흥행수입: 9.8억 엔 (27위) * '''21. [[엄청 맛있어! B급 음식 서바이벌!]]''' 캐치프레이즈: '''불타라! 야키소바!! 타올라라! 우정!!(燃えよ!焼きそば!! 焦がせ!友情!!)''' 감독: 하시모토 마사카즈 개봉일: 2013년 4월 20일 주제가: [[SEKAI NO OWARI]] - [[RPG(SEKAI NO OWARI)|RPG]] 흥행수입: 13억 엔 (공동 14위) * '''22. [[정면승부! 로봇아빠의 역습]]''' 캐치프레이즈: '''로봇, 그래도 아빠.(ロボ、でも父ちゃん。), 아버지 파워, 펼쳐라!(親父力、全開!)''' 감독: 타카하시 와타루 개봉일: 2014년 4월 19일 주제가: [[캬리 파뮤파뮤]] - 패밀리 파티(ファミリーパーティー) 흥행수입: 18.3억 엔 (7위) * '''23. [[나의 이사 이야기 선인장 대습격]]''' 캐치프레이즈: '''고마워 카스카베. 안녕 카스카베.(ありがとうカスカベ。さようならカスカベ。)''' 감독: 하시모토 마사카즈 개봉일: 2015년 4월 18일 주제가: [[유즈(가수)|유즈]](ゆず) - OLA!! 흥행수입: '''22.9'''억 엔 (1위)[* 6월 3일 흥행 2위였던 [[부리부리 왕국의 보물|2기 극장판]] 기록을 넘었으며, 6월 28일을 기점으로 22년간 흥행 1위였던 [[액션가면 대 그래그래 마왕|1기 극장판]] 기록도 넘어서며 '''역대 1위'''에 등극했다.] * '''24. [[폭풍수면! 꿈꾸는 세계 대돌격]]''' 캐치프레이즈: '''눈을 떠라, 신노스케(目覚めよ、しんのすけ。), 이 남자, 자고 있어도 최강(この男、寝てても最強。)''' 감독: 타카하시 와타루 개봉일: 2016년 4월 16일 주제가: [[케츠메이시]](ケツメイシ) - 친구야 앞으로도 계속...(友よ〜この先もずっと…) 흥행수입: 21.1억 엔 (3위) * '''25. [[습격!! 외계인 덩덩이]]''' 캐치프레이즈: '''그날 밤 두 사람은 만났다.(その夜ふたりはシリあった。), 시리가 있다면 최강!(シリあったら最強! )''' 감독: 하시모토 마사카즈 개봉일: 2017년 4월 15일 주제가: [[타카하시 유우]](高橋 優) - 로드 무비(ロードムービー) 흥행수입: 16.2억 엔 (8위) * '''26. [[아뵤! 쿵후 보이즈 ~라면 대란~]]''' 캐치프레이즈: '''액션 곱배기, 우정 약간 진하게(アクション大盛り友情濃いめ。)''' 감독: 타카하시 와타루 개봉일: 2018년 4월 13일 주제가: 모모이로클로버Z(ももいろクローバーZ) - 웃어봐! ~샤오이 샤오~(笑一笑 ~シャオイーシャオ!~) 흥행수입: 18.4억 엔 (6위) * '''27. [[신혼여행 허리케인~ 사라진 아빠!]]''' 캐치프레이즈: '''전설의 비경, 위기100발!!(伝説の秘境、危機100発!!), 노하라 일가, 사랑의 시련.(野原一家、愛の試練。)''' 감독: 하시모토 마사카즈 개봉일: 2019년 4월 19일 주제가: 아이묭(あいみょん) - 봄날(ハルノヒ) 흥행수입: 20.8억 엔 (4위) * '''28. [[격돌! 낙서왕국과 대강 네명의 용사]]''' 캐치프레이즈: '''세계를 구하라, 크레용으로.(世界を救え、クレヨンで。)''' 감독: 쿄고쿠 타카히코 개봉일: 2020년 9월 11일 주제가: 레키시(レキシ) - 희화 사랑해(キガアイシテル) 흥행수입: 11.8억 엔 (22위) * '''29. [[수수께끼! 꽃의 하늘떡잎 학원]]''' 캐치프레이즈: '''청춘이란 땀과 눈물과 미스터리!?(青春は、汗と涙とミステリー!?)''' 감독: 타카하시 와타루 개봉일: 2021년 4월 23일 주제가: 마카로니연필(マカロニえんぴつ) - 낙서(はしりがき) 흥행수입: * 그 외 [[폭발! 온천 부글부글 대작전#s-5|크레신 파라다이스! 메이드 인 사이타마]] [[가면라이더 덴오+신오]] == [[일본]] [[문화청 미디어 예술제]] 수상 작품 == * [[어른제국의 역습]](2001) - 심사위원 추천상, [[일본 미디어 예술 100선]] 19위 * [[태풍을 부르는 장엄한 전설의 전투]](2002) - '''대상''', 일본 미디어 예술 100선 31위 * [[정면승부! 로봇아빠의 역습]](2014) - 우수상 일본 애니 극장판 중 손에 꼽히는 퀄리티를 보유하고 있는 극장판답게 권위 있는 상인 문화청 미디어 예술제에서의 상을 세 개나 수상했다. 이 시상식은 만화나 애니메이션에 있어 철저히 예술성만을 평가하는 시상식으로 유명하다. == 흥행 순위 == * 일본 || 순위 || 기수 || 작품명 || 흥행 || || 1위 || 23기 || [[나의 이사 이야기 선인장 대습격]] || 22.9억 엔 || || 2위 || 1기 || [[액션가면 대 그래그래 마왕]] || 22.2억 엔 || || 3위 || 24기 || [[폭풍수면! 꿈꾸는 세계 대돌격]] || 21.1억 엔 || || 4위 || 27기 || [[신혼여행 허리케인~ 사라진 아빠!]] || 20.8억 엔 || || 5위 || 2기 || [[부리부리 왕국의 보물]] || 20.6억 엔 || || 6위 || 26기 || [[아뵤! 쿵후 보이즈 ~라면 대란~]] || 18.4억 엔 || || 7위 || 22기 || [[정면승부! 로봇아빠의 역습]] || 18.3억 엔 || || 8위 || 25기 || [[습격!! 외계인 덩덩이]] || 16.2억 엔 || || 9위 || 15기 || [[태풍을 부르는 노래하는 엉덩이 폭탄!]] || 15.5억 엔 || || 10위 || 9기 || [[어른제국의 역습]] || 14.5억 엔 || || 11위 || 3기 || [[흑부리 마왕의 야망]] || 14.2억 엔 || || 12위 || 14기 || [[전설을 부르는 춤을 춰라! 아미고!]] || 13.8억 엔 || || 13위 || 11기 || [[태풍을 부르는 영광의 불고기 로드]] || 13.5억 엔 || || 공동 14위 || 10기, 13기, 21기 || [[태풍을 부르는 장엄한 전설의 전투]], [[부리부리 3분 대작전]], [[엄청 맛있어! B급 음식 서바이벌!]] || 13억 엔 || || 17위 || 12기 || [[폭풍을 부르는 석양의 떡잎마을 방범대]] || 12.8억 엔 || || 18위 || 18기 || [[초시공! 태풍을 부르는 나의 신부]] || 12.5억 엔 || || 19위 || 16기 || [[엄청난 태풍을 부르는 금창의 용사]] || 12.3억 엔 || || 공동 20위 || 4기, 19기 || [[핸더랜드의 대모험]], [[태풍을 부르는 황금 스파이 대작전]] || 12억 엔 || || 22위 || 28기 || [[격돌! 낙서왕국과 대강 네명의 용사]] || 11.8억 엔 || || 23위 || 5기 || [[암흑 마왕 대추적]] || 11.3억 엔 || || 공동 24위 || 6기, 8기 || [[전격! 돼지발굽 대작전]], [[폭풍을 부르는 정글]] || 10.6억 엔 || || 26위 || 17기 || [[포효하라! 떡잎 야생왕국]] || 10억 엔 || || 27위 || 20기 || [[태풍을 부르는 나와 우주의 프린세스]] || 9.8억 엔 || || 28위 || 7기 || [[폭발! 온천 부글부글 대작전]] || 9.4억 엔 || * 한국[* 한국에서는 15기를 제외한 1~17기가 개봉되지 않았다.] || 순위 || 기수 || 작품명 || 총 관람객수 || || 1위 || 26기 || [[아뵤! 쿵후 보이즈 ~라면 대란~]] || 353,012명 || || 2위 || 18기 || [[초시공! 태풍을 부르는 나의 신부]] || 351,742명 || || 3위 || 25기 || [[습격!! 외계인 덩덩이]] || 332,708명 || || 4위 || 19기 || [[태풍을 부르는 황금 스파이 대작전]] || 272,062명 || || 5위 || 20기 || [[태풍을 부르는 나와 우주의 프린세스]] || 217,320명 || || 6위 || 23기 || [[나의 이사 이야기 선인장 대습격]] || 202,538명 || || 7위 || 22기 || [[정면승부! 로봇아빠의 역습]] || 150,226명 || || 8위 || 15기 || [[태풍을 부르는 노래하는 엉덩이 폭탄!]] || 146,748명 || || 9위 || 27기 || [[신혼여행 허리케인~ 사라진 아빠!]] || 123,329명 || || 10위 || 24기 || [[폭풍수면! 꿈꾸는 세계 대돌격]] || 119,201명 || || 11위 || 21기 || [[엄청 맛있어! B급 음식 서바이벌!]] || 84,306명 || == 등장인물 출연 횟수 == 극장판에서는 대부분 '''노하라 일가'''와 '''[[카스카베 방위대]]'''가 메인 주인공 팀으로 등장해서 활약하는 경우들이 많다.[* [[카스카베 방위대]]는 [[전격! 돼지발굽 대작전|6기 극장판]]부터 비중이 늘기 시작하여 [[폭풍을 부르는 석양의 떡잎마을 방범대|12기 극장판]]에서 주연이 되었다.] 그 외 인물들은 대부분 단역으로 등장하기 때문에 푸쉬를 받지 못하여 제대로 된 활약이 없다. 예외적으로 신노스케가 좋아하는 캐릭터인 [[액션가면]], [[칸탐로봇]], [[부리부리자에몽]]은 가끔 주연으로서 활약하는데, 극장판이 일상을 다루는 애니메이션과 달리 판타지를 다루는 경우가 많아서인 것으로 추정된다. 아주 오래 전부터 조연 캐릭터들의 비중이 낮아서 사실상 [[불문율]]로 굳어버렸는데, 이는 극장판 내에서 조연 캐릭터의 활약 자체를 틀어막았다는 비판을 받기도 한다. 같은 장편 애니인 [[명탐정 코난]]의 극장판의 경우 고정 출연하는 캐릭터 자체가 상당히 많고 비중 역시 짱구 극장판의 조연들과는 비교도 안될 정도로 높은 편인지라 더욱 비교된다. 특히 원작 및 애니메이션에서 극장판에 매력적인 소재로 쓰일만한 조역도 은근히 있는 편인데 이를 활용하지 않는다는 원작과 비슷한 아우성도 존재한다.[* 대표적으로 [[마타즈레장]]의 쿄스케와 큐지('''강력계 [[형사]]'''), [[코야마 무사에]](사진작가), [[스오토메 아이]](부자, '''카스카베 방위대의 동년배'''), 신노스케의 조부모들(시골지역 거주), [[오오하라 시쥬로]](인기 작가) 등이 있다. 특히 아이의 경우 카스카베 방위대와 친하고 나이가 같아 위화감이 적을 수도 있어 아쉬워하는 경우가 은근히 많지만 작중에서의 부자 설정을 감안하면 [[도라에몽/극장판|도라에몽 극장판]]의 [[박영민(도라에몽)|영민이]]처럼 극장판에서 [[데우스 엑스 마키나]]가 될까봐 활용하지 않는 것으로 추정된다.] 그래도 26기에서 조연 다수가 카메오로 출연하여 제작진이 이들을 잊지는 않았다는 사실을 보여준다. 카스카베 방위대도 5기까지는 카메오였다가 6기부터 주연을 맡은 것을 보면 언젠가는 일부 인기가 많은 조연도 출연빈도가 늘어날 가능성도 있다.[* 극장판이 20년을 넘어가며 중복되는 소재도 은근히 있는 편이다. 특히 '''가족애'''는 호평을 받고 있지만 노하라가의 가족애가 메인 테마로 등장한 작품이 9기, 15기, 20기, 22기, 27기로 많이 써먹었으며 [[노하라 히로시]]의 그늘을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 이 밖에도 자주 등장하는 소재로는 시간여행, 다른 세계로의 이동, 우주 또는 외계인, 어른의 상실 등이 있는데, 모두 최소 3회는 써먹은 소재이다. 그러니 언젠가는 애니메이션으로 꾸준히 조연들을 등장시켜 인지도를 쌓고 조연들이 사건에 연루되는 에피소드로 확장해야 단조로운 느낌을 피할 수 있을 것이다. 애초에 [[카스카베 방위대]]가 주역으로 발탁되었기에 극장판 소재도 풍부해진 것이다.][* 28기의 소재로 등장한 원작 만화에서 [[오오하라 나나코]]의 그림이 4개의 그림 중 하나여서 드디어 조연이 메인으로 등장하는 건지 아예 다른 인물로 바뀌어 전통을 따를지의 귀추가 주목된다.] || 이름 || 등장횟수 || 등장 극장판 횟수 || || [[타카쿠라 분타]] || 22회 || 1기, 3기 ~ 11기, 13기, 14기, 16기, 17기, 20기 ~ 26기, 28기 || || [[요시나가 미도리]] || 21회 || 1기 ~ 9기, 11기, 13기, 14기, 16기, 17기, 20기, 22기 ~ 26기, 28기 || || [[마츠자카 우메]] || 20회 || 1기, 3기 ~ 9기, 11기, 13기, 14기, 16기, 17기, 20기, 22기 ~ 26기, 28기[*25기 25기는 엔딩컷에만 나왔다.] || || [[카자마 미네코]] || 13회 || 7기 ~ 9기, 13기, 14기, 17기, 21기 ~ 26기, 28기[*25기 25기는 엔딩컷에만 나왔다.] || || [[아게오 마스미]] || 12회 || 7기 ~ 9기, 11기, 13기, 14기, 16기, 17기, 20기, 23기, 26기, 28기 || || [[키타모토(크레용 신짱)|키타모토]] || 12회 || 2기, 8기, 9기, 11기, 13기, 14기, 17기, 22기, 23기, 25기, 26기, 28기 || || [[사쿠라다 모에코]] || 12회 || 7기 ~ 9기, 13기, 14기, 20기 ~ 23기, 25기, 26기, 28기[*21기,25기 21기, 25기는 엔딩컷에만 나왔다.] || || [[카와구치(크레용 신짱)|카와구치]] || 11회 || 5기, 9기, 11기, 13기, 14기, 16기, 20기 ~ 22기, 24기, 26기[*5기 5기는 엔딩컷에만 나왔다.] || || [[하토가야 요시링&하토가야 밋치]] || 11회 || 7기 ~ 9기, 11기, 14기, 20기, 21기, 23기, 24기, 26기, 28기 || || [[마사오 엄마|마사오의 엄마]] || 10회 || 7기 ~ 9기, 14기, 21기 ~ 23기, 25기, 26기, 28기[*21기,25기 21기, 25기는 엔딩컷에만 나왔다.] || || [[오오하라 나나코]] || 9회 || 7기 ~ 9기, 11기, 23기 ~ 26기, 28기 || || [[크레용 신짱/등장인물#s-6|후타바 상사 부장]] || 8회 || 5기, 9기, 11기, 13기, 16기, 17기, 23기, 26기[*5기 5기는 엔딩컷에만 나왔다.] || || [[사이타마 붉은 전갈대]] || 8회 || 7기 ~ 9기, 17기, 20기, 23기, 26기, 28기 || || [[카와무라 야스오]] || 7회 || 4기, 8기, 21기, 23기, 24기, 26기, 28기[*8기,21기 8기와 21기는 유치원 운동장에서 노는 모습으로만 짧게 등장했다.] || || [[타카쿠라 부인]] || 6회 || 1기, 9기, 13기, 20기, 23기, 26기 || || [[히토시 & 테루노부|히토시]] || 6회 || 4기, 21기, 23기, 24기, 26기, 28기[*21기 21기는 유치원 운동장에서 노는 모습으로만 짧게 등장했다.] || || [[히토시 & 테루노부|테루노부]] || 5회 || 4기, 21기, 24기, 26기, 28기[*21기 21기는 유치원 운동장에서 노는 모습으로만 짧게 등장했다.] || || [[노하라 긴노스케]] || 4회 || 8기, 9기, 11기, 20기 || || [[쿠사카 유미]] || 4회 || 5기, 13기, 22기, 26기[*5기 5기는 엔딩컷에만 나왔다.] || || [[카스카베 서점|카스카베 서점 점장&직원]] || 4회 || 7기 ~ 9기, 26기 || || [[스오토메 아이]] || 4회 || 8기, 14기, 23기, 26기 || || [[쿠로이소]] || 4회 || 8기, 14기, 23기, 26기 || || [[칸다도리 시노부]] || 4회 || 7기, 23기, 26기, 28기 || || [[욘로]] || 3회 || 14기, 23기, 26기[*14기 14기는 사진속으로만 나왔다.] || || [[쿠츠조코 아츠코 & 쿠츠조코 아츠미]] || 3회 || 21기, 23기, 26기 || || [[크레용 신짱/등장인물#s-7.2|오니가와라 치쿠조]] || 3회 || 25기, 26기, 28기[*25기 25기는 엔딩컷에만 나왔다.] || || [[크레용 신짱/등장인물#s-7.2|오니가와라 칸나]] || 3회 || 25기, 26기, 28기[*25기 25기는 엔딩컷에만 나왔다.] || || [[노하라 츠루]] || 2회 || 9기, 20기 || || [[코야마 무사에]] || 2회 || 23기, 26기 || || [[크레용 신짱/등장인물#s-7.2|야네우라 코지]] || 2회 || 25기, 26기[*25기 25기는 엔딩컷에만 나왔다.] || || [[우리마 쿠리요]] || 2회 || 26기, 28기 || || [[혼다 케이코]] || 1회 || 23기 || || [[크레용 신짱/등장인물#s-5.2|혼다 히토시]] || 1회 || 23기 || || [[로베르토 맥과이어]] || 1회 || 26기 || || [[이시자카 준이치]] || 1회 || 26기 || || [[오오야 누시요]] || 1회 || 26기 || || [[야쿠즈쿠리 유우]] || 1회 || 26기 || || [[크레용 신짱/등장인물#s-7.1|니가리야 쿄스케 & 오다 큐지]] || 1회 || 26기 || || [[무사시노 켄타]] || 1회 || 26기 || || [[오오하라 시쥬로]] || 1회 || 26기 || || [[크레용 신짱/등장인물#s-5.1|스즈키 켄스케]] || 1회 || 26기 || 노하라 일가와 [[카스카베 방위대]]는 개근했으므로 제외[* 히마와리는 5기부터 등장(극장판 4기까지는 히마와리가 태어나기 전 시즌 시점), 그리고 마사오는 2기 [[부리부리 왕국의 보물]]에서는 조그맣게 등장하고 대사도 없다.][* [[폭풍을 부르는 석양의 떡잎마을 방범대|12기]], [[태풍을 부르는 노래하는 엉덩이 폭탄!|15기]], [[초시공! 태풍을 부르는 나의 신부|18기]], [[태풍을 부르는 황금 스파이 대작전|19기]], [[신혼여행 허리케인~ 사라진 아빠!|27기]]는 노하라 일가와 [[카스카베 방위대]]만 출연하였다. ][* [[아뵤! 쿵후 보이즈 ~라면 대란~|26기]]에 등장한 대부분의 등장인물은 마지막 춤추는 장면에서만 등장했다.[[파일:26기_등장인물.png]]] == 국내에서 방영 & 개봉된 극장판 목록 == * 극장판 짱구는 못말려 1기 [[액션가면 대 그래그래 마왕]] * 극장판 짱구는 못말려 2기 [[부리부리 왕국의 보물]] * 극장판 짱구는 못말려 3기 [[흑부리 마왕의 야망]] * 극장판 짱구는 못말려 4기 [[핸더랜드의 대모험]] * 극장판 짱구는 못말려 5기 [[암흑 마왕 대추적]] * 극장판 짱구는 못말려 6기 [[전격! 돼지발굽 대작전]] * 극장판 짱구는 못말려 7기 [[폭발! 온천 부글부글 대작전]] * 극장판 짱구는 못말려 8기 [[폭풍을 부르는 정글]] * 극장판 짱구는 못말려 9기 [[어른제국의 역습]] * 극장판 짱구는 못말려 10기 [[태풍을 부르는 장엄한 전설의 전투]] * 극장판 짱구는 못말려 11기 [[태풍을 부르는 영광의 불고기 로드]] * 극장판 짱구는 못말려 12기 [[폭풍을 부르는 석양의 떡잎마을 방범대]] * 극장판 짱구는 못말려 13기 [[부리부리 3분 대작전]] * 극장판 짱구는 못말려 14기 [[전설을 부르는 춤을 춰라! 아미고!]] * 극장판 짱구는 못말려 15기 [[태풍을 부르는 노래하는 엉덩이 폭탄!]] * 극장판 짱구는 못말려 16기 [[엄청난 태풍을 부르는 금창의 용사]] * 극장판 짱구는 못말려 17기 [[포효하라! 떡잎 야생왕국]] * 극장판 짱구는 못말려 18기 [[초시공! 태풍을 부르는 나의 신부]] * 극장판 짱구는 못말려 19기 [[태풍을 부르는 황금 스파이 대작전]] * 극장판 짱구는 못말려 20기 [[태풍을 부르는 나와 우주의 프린세스]] * 극장판 짱구는 못말려 21기 [[엄청 맛있어! B급 음식 서바이벌!]] * 극장판 짱구는 못말려 22기 [[정면승부! 로봇아빠의 역습]] * 극장판 짱구는 못말려 23기 [[나의 이사 이야기 선인장 대습격]] * 극장판 짱구는 못말려 24기 [[폭풍수면! 꿈꾸는 세계 대돌격]] * 극장판 짱구는 못말려 25기 [[습격!! 외계인 덩덩이]] * 극장판 짱구는 못말려 26기 [[아뵤! 쿵후 보이즈 ~라면 대란~]] * 극장판 짱구는 못말려 27기 [[신혼여행 허리케인~ 사라진 아빠!]] == 제작자 == === 감독 === * [[혼고 미츠루]] - 1~4기, 16기의 감독을 맡았었으며, TVA의 초대 감독이었다. * [[하라 케이이치]] - 5~10기의 감독을 맡았었으며, TVA의 두번째 감독이었다. * [[미즈시마 츠토무]] - 11~12기의 감독을 맡았다. * 무토 유지 - 13~15기의 감독을 맡았었으며 현재 TVA의 감독이다. * 시기노 아키라 - 17~18기의 감독을 맡았다. * 마스이 소이치 - 19~20기의 감독을 맡았다. * [[하시모토 마사카즈]] - 21기, 23기, 25기, 27기의 감독을 맡았다. * 타카하시 와타루 - 22기, 24기, 26기, 29기의 감독을 맡았다. * 쿄고쿠 타카히코 - 28기의 감독을 맡았다. === 애니메이터 === * '''[[유아사 마사아키]]''' * '''[[스에요시 유이치로]]''' * 오오츠카 마사미 * [[마츠시타 히로미]] * [[안도 마사히로(1967)|안도 마사히로]] * [[키가미 요시지]] * [[세키구치 카나미]] * [[미하라 미치오]] * [[후지모리 마사야]] * [[카네코 시즈에]] * [[이타오카 니시키]] == 역대 극장판 주제곡 == 역대 극장판 오프닝곡 및 엔딩곡은 [[짱구는 못말려(애니메이션)/극장판/주제곡]] 문서 참고. == 둘러보기 틀 == [include(틀:짱구는 못말려 극장판의 히로인)] [include(틀:짱구는 못말려 극장판의 조력자)] [include(틀:짱구는 못말려 극장판의 중간보스)] [include(틀:짱구는 못말려 극장판의 최종보스)] [[분류:크레용 신짱]][[분류:짱구는 못말려]][[분류:일본 애니메이션/ㅈ]][[분류:애니메이션 영화]][[분류:신에이 동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