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 개요 == 벌([[罰]])을 뜻하는 일본어 お[ruby(仕置,ruby=しお)]き(오시오키)를 번역기로 돌리면 나오는 단어. [[번역기]]가 お仕置き를 한 단어로 인식하지 못하고 お仕置(오시오, 징계) + き(키, 나무)로 인식해서 나온 번역이다. 당연히 번역기의 질이 좋아지면서 그런 일이 많이 적어졌지만 일부 검색기에서는 이렇게 번역할 때도 있다. おしおき는 お仕置き 또는 마지막의 き를 생략해 お仕置로 쓸 수 있는데, 번역기 DB에는 お仕置만 등록되어 있고 お仕置き는 없기 때문인 것으로 보인다. 실제로는 お仕置き나 お仕置 모두 똑같이 처리해야 한다. お仕置き에서 접두어 お를 뗀 仕置き의 경우, 보통 '처분', 혹은 '사형'(…)으로 미묘하게 번역되며 お와 き를 전부 때면 번역이 안된다. 이름 그대로의 의미로 해석하여 일본에서만 사는 개인 [[진한개]]와 마찬가지로 일본에만 서식하는 나무라고 드립을 치기도 한다. 드립에 따르면 이름 그대로, 죄 지은 사람을 징계하는 회초리를 만들 때 이 나무를 쓴다고 하며 혹은 죄 지은 사람을 매달아서 징계하는 용도로 쓰기도 한다고 한다. 징계나무에 매단 사람을 [[진한개]]로 감시하며, [[팥고물]]만 먹게 한다고도 한다. 근연종으로는 아픔나무([ruby(疼,ruby=うず)]き)가 있다고 한다. == 참고 항목 == * [[번역기]] * [[번역체 문장]] * [[외래어 표기법/일본어]] * [[이슬악어]] * [[진한개]] * [[팥고물]] * [[산등성이]] [각주] [[분류:오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