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다른 뜻1, other1=독일군의 임시 지휘부, rd1=군집단)] [include(틀:육군편제단위)] ||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200px-Army_group_Nato.svg.png]] || || [[북대서양 조약 기구]]의 공용 군사 지도 표기 규약인 [br] APP-6A에 따른 아군 보병 집단군 표기 || [목차] [clearfix] == 개요 == {{{+1 '''집단군'''([[集]][[團]][[軍]] / Army Group)}}} 몇 개의 [[야전군]]을 휘하에 두고 있는 군사조직. 보통 지리적으로 특정한 [[전쟁]] 지역을 책임지며, [[원수(계급)|원수]] 또는 [[대장(계급)|대장]]을 지휘관으로 둔다. 일반적으로 40만~150만 명으로 이루어져 있는 가장 큰 규모의 야전 조직이다. == 특징 == 작은 나라의 인구 전체와 맞먹는 대규모를 자랑하다 보니 [[20세기]]까지 집단군이 편성된 적이 있는 경우는 [[제1차 세계대전]]과 [[제2차 세계 대전]], 그 중에서도 [[국민혁명군|중국 국민혁명군]]과 [[일본군]], [[독소전쟁]] 시기의 [[소련군]]과 [[독일 국방군]], [[서부전선]]의 [[미군]]과 [[영국군]]이 전부이다. 현대에는 [[미군]], [[러시아군]], [[중국 인민해방군]], [[인도군]] 정도만이 집단군 운용이 가능하나 사실 현대전의 추세가 육해공이 긴밀하게 맞물려 돌아가는 [[합동군]] 중심으로 바뀜에 따라 육군만 대규모로 한데 모으는 집단군 체제가 부활할 가능성이 높지는 않다.[* [[21세기]]에는 집단군이 만들어지지 않았다. [[20세기]]의 경우 [[제1차 세계 대전]], [[제2차 세계 대전]]에서만 나왔던 군대규모이다.] 한국군의 경우 2개의 야전군이 편성되어 있고 전시에는 예비군이 대거 동원되니 집단군 편성이 이론적으로 가능은 하다. 그러나 한반도는 전장이 협소하다는 특성상 집단군을 운용할 필요성이 많지 않으며 합참과 육본 밑에 보고체계가 하나 더 생기면 명령하달이 지연되는 단점이 생길 수 있다. 그리고 예비군을 대거 동원하더라도 2개 집단군을 편성할 규모가 나오기는 어렵다. 그렇다고 해서 육군 전체에 집단군을 하나만 둘 것이라면 집단군 사령부의 역할을 합참/육본이 할 수 있는 만큼 무의미하게 명령체계를 늘릴 이유가 없다. 특히 집단군사령부를 구성한다면 사령관과 참모부, 그리고 이를 위한 행정조직과 각종 지원 부서를 추가적으로 편제해야 되는데 대장이나 원수급 지휘관이 보직된다면 참모장급도 중~대장급을, 그리고 이를 보좌할 수많은 참모들도 적어도 소~중장급을 편성해야 되니 수많은 장성들과 이를 지원할 인력과 자원의 낭비가 심해지게 된다. [[중국 인민해방군 육군]]도 집단군이라는 편제를 운용하고 있으나, 병력은 6~8만명 정도에 휘하에 12개 여단을 두는, 사실상 타 군의 [[군단]]에 대응되는 편제이다. == 상세 == 집단군의 기원 중 하나로 미국 [[남북전쟁]] 당시 애틀랜타 전역에서 연방군의 [[윌리엄 테쿰세 셔먼]]이 이끈 편제가 꼽힌다. 당시 셔먼은 3개 야전군[* 제임스 B. 맥퍼슨의 테네시군, 조지 H. 토머스의 컴벌랜드군, 존 M. 스코필드의 오하이오군]을 거느리고 [[애틀랜타]]로 남하하였으며, 후방의 위협을 방어하기 위해 오하이오군과 컴벌랜드군의 일부를 돌려보낸 뒤에도 컴벌랜드군의 잔여 병력으로 조지아군을 창설하여 2개 야전군을 이끌고 [[셔먼의 바다로의 행진|바다로의 행진]]과 캐롤라이나 전역을 치렀다. 단, 셔먼의 편제는 정식으로 집단군 명칭을 사용하지는 않았으며 병력 규모 자체도 양차대전보다는 훨씬 작은 10만명 내외에 머물렀다.[* 남북전쟁은 최초의 현대전이라는 말도 나올 만큼 이후 대전기의 육군 편제의 원형을 볼 수 있지만 같은 야전군, 군단, 사단 등의 단위라도 이후보다 규모가 작은 편이었다.] [[소련군]]에서 집단군은 전선군(фронт: 프론뜨)이라고 하였다. 독소전쟁 말기 무려 '''16개 전선군을 전개하고 있었으며'''[* 제1~3 벨로루시 전선군, 제1~2 극동 전선군, 자바이칼 전선군, 자캅카스 전선군, 제1~3 발트 전선군, 레닌그라드 전선군, 카렐리야 전선군, 제1~4 우크라이나 전선군] 유럽 방면에는 12개의 전선군, 아시아 방면에 4개의 전선군이 배치되어 있었다. 그 후 소련군은 1950~60년대의 군제개혁으로 군단을 거의 폐지하다시피 하고 군을 서방의 군단급 부대로 삼았기 때문에[* 사족이지만 미군의 연대도 기갑기병연대 같은 것을 제외하면 연대라는 편제 자체가 거의 유명무실해졌다.] 전선군급의 부대는 군관구(Military District)로 환원되거나 군집단(Group of Forces)이 되었다고 보면 된다. [[독일 국방군]]은 [[바르바로사 작전]] 때 [[독일 국방군/부대일람#s-2.1|북부, 중부, 남부 집단군을 운용했다.]] 이후 [[청색 작전|전세가 악화되자]] 남부집단군을 A집단군과 B집단군으로 이분했고, [[바그라티온 작전]]으로 중부집단군이 붕괴하자 비스툴라 집단군으로 재편했다. 북부집단군은 바그라티온 작전 직후 소련 발트 공세로 나머지 독일군과 연결이 끊겨 라트비아 서부의 쿠를란트 반도에 고립되었다. 1945년 1월 25일 기존의 북부집단군이 쿠를란트집단군(쿠를란트 포켓. 병력 약 20만 명)으로 바뀌고 중부 집단군이 북부 집단군으로, 그리고 A 집단군이 중부 집단군으로 바뀌었다. 이 2번째 중부 집단군은 항복 직전까지 활동했다. 한편 쿠를란트집단군은 전쟁의 잔여기간 내내 쿠를란트 반도에 갇혀 나오지 못하고 소수의 개인 혹은 소부대 단위로 [[바다|해로]] 등을 통해 탈출하는 수준이었다가 전쟁이 끝나자 항복하였다. [[중화민국 국민정부]]의 [[당군]]인 [[국민혁명군]]에서도 집단군이 있었으며, 다른 국가와는 다르게 전쟁 이전에도 집단군 편제가 존재했다. 중국은 2~3개의 [[성(행정구역)|성]]을 하나로 묶은 [[전구]]가 가장 상위의 전투 단위였고, 전구마다 3~4개의 집단군 및 직할 부대가 있어 총 병력은 20~50만 명 정도였으며 1개 집단군에는 2~4개의 군이 있었다. [[일본군 육군|일본 제국 육군]]에서는 집단군을 총군(総軍)이라고 불렀다. 약어로는 전군. 데라우치 히사이치 원수가 맡았던 [[남방군]]이 대표적 예이며, 남방군은 [[필리핀]], [[미얀마]], [[태국]]을 포함한 동남아 전역을 맡았다. 총군 예하에는 방면군과 군이 있었으며 번역상으로는 방면군을 야전군, 군을 군단으로 취급한다. 평시에는 [[일본]] 본토 내에는 사단까지, 해외 식민지에는[* [[관동군]], [[조선군(일본제국)|조선군]]([[일제강점기|조선]] 주둔 일본군), [[대만군(일본 제국)|대만군]]([[대만]] 주둔 일본군), [[지나]] 파견군([[중국]] 주둔 일본군)] 군 단위 까지만 편성하였으나 전쟁이 본격화되면서 관동군과 지나 파견군이 총군 단위로 확장되었고 남방군이 신설되었다. [[태평양 전쟁]] 말기에는 본토에 3개의 총군,[* 제1총군 - 원수 스기야마 하지메 대장, 제2총군 - 원수 하타 슌로쿠 대장. [[항공총군]] - 카와베 마사카즈 대장. 참고로 구 일본군의 원수 계급은 대장 계급에서 받는 칭호였다.] 국외에 3개의 총군[* [[남방군]] - 원수 데라우치 히사이치 대장, [[관동군]] - 야마다 오토조 대장, 지나 파견군 - [[오카무라 야스지]] 대장.]이 있었다. 조선군과 대만군은 전쟁이 끝날 때까지 군 단위였다. 집단군은 다국적 군대의 편제로 구성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제2차 세계 대전]] 기간의 [[연합군]]의 경우, 남부집단군([[미국]] 제6집단군)은 미국 7군과 [[프랑스]] 1군으로 구성되었고, 제21집단군은 [[영국]] 2군, [[캐나다]] 1군 그리고 미국 9군으로 구성되었다. 미 제9군이 나중에 빠져나가서 21집단군은 [[영연방]]군만으로 편성되었다. 냉전기의 [[NATO]] 지상군 역시 북부집단군(Northern Army Group)과 중부집단군(Central Army Group)이란 명칭으로 두 개의 다국적 집단군 편제를 유지했지만, 이들은 실질적으로 각 4개 군단을 예하에 둔 [[야전군]]급 제대였다. == 운용 사례 == [[https://en.wikipedia.org/wiki/Army_group|출처]] === [[제1차 세계대전]] === * [[프랑스군/역사#s-6|프랑스군]] [[https://fr.wikipedia.org/wiki/Groupe_d%27arm%C3%A9es_du_Nord|북부집단군]] / Groupe d'armées du Nord [[https://fr.wikipedia.org/wiki/Groupe_d%27arm%C3%A9es_de_l%27Est|동부집단군]] / Groupe d'armées de l'Est [[https://fr.wikipedia.org/wiki/Groupe_d%27arm%C3%A9es_du_Centre|중부집단군]] / Groupe d'armées du Centre [[https://en.wikipedia.org/wiki/Army_Group_Reserve_(France)|예비집단군]] / Groupe d'armées de Réserve [[https://en.wikipedia.org/wiki/Fifth_Battle_of_Ypres#Groupe_d'Arm%C3%A9es_des_Flandres|플랑드르 집단군]] / Groupe d'armées des Flandres[* 프랑스군과 영국군, 벨기에군의 연합 부대로, 사령관은 [[알베르 1세]]였다.] * [[독일 제국군]] [[https://en.wikipedia.org/wiki/Army_Group_Mackensen_(Poland)|마켄젠 집단군(폴란드)]] / Heeresgruppe Mackensen (Polen) -> [[알렉산더 폰 린징겐|린징겐]] 집단군 / Heeresgruppe Linsingen -> [[헤르만 폰 아이히호른|아이히호른]]-[[키이우|키예프]] 집단군 / Heeresgruppe Eichhorn-Kiew -> 아이히호른 집단군 / Heeresgruppe Eichhorn -> 키예프 집단군 / Heeresgruppe Kiew [[https://en.wikipedia.org/wiki/Army_Group_Mackensen_(Serbia)|마켄젠 집단군(세르비아)]] / Heeresgruppe Mackensen (Serbien) -> [[오토 폰 벨로|벨로]] 집단군 / Heeresgruppe Below -> 숄츠 집단군 / Heeresgruppe Scholtz [[https://en.wikipedia.org/wiki/Army_Group_Mackensen_(Romania)|마켄젠 집단군(루마니아)]] / Heeresgruppe Mackensen (Rumänien) [[https://en.wikipedia.org/wiki/Army_Group_Prince_Leopold_of_Bavaria|바이에른의 레오폴트 왕자 집단군]] / Heeresgruppe Prinz Leopold von Bayern -> [[레무스 폰 보이르슈|보이르슈]] 집단군 / Heeresgruppe Woyrsch [[https://de.wikipedia.org/wiki/Heeresgruppe_%E2%80%9EKronprinz_Rupprecht%E2%80%9C|갈비츠 집단군(1916)]] / Heeresgruppe Gallwitz (1916) -> [[루프레히트 폰 바이에른|루프레히트 왕세자]] 집단군 / Heeresgruppe Kronprinz Rupprecht [[https://de.wikipedia.org/wiki/Heeresgruppe_Deutscher_Kronprinz|독일 황태자 집단군]] / Heeresgruppe Deutscher Kronprinz [[https://en.wikipedia.org/wiki/Army_Group_Gallwitz_(German_Empire)|갈비츠 집단군(1918)]] / Heeresgruppe Gallwitz (1918) [[https://de.wikipedia.org/wiki/Heeresgruppe_Herzog_Albrecht|알브레히트 공작 집단군]] / Heeresgruppe Herzog Albrecht [[https://en.wikipedia.org/wiki/Army_Group_Hindenburg|힌덴부르크 집단군]] / Heeresgruppe Hindenburg -> 아이히호른 집단군 / Heeresgruppe Eichhorn -> [[리가]] 집단군 / Heeresgruppe Riga [[https://en.wikipedia.org/wiki/Army_Group_Boehn|보엔 집단군]] / Heeresgruppe Boehn * [[오스만 제국군]] [[https://tr.wikipedia.org/wiki/Kafkas_Ordular_Grubu|카프카스 집단군]] / Kafkas Ordular Grubu [[https://tr.wikipedia.org/wiki/Y%C4%B1ld%C4%B1r%C4%B1m_Ordular_Grubu|이을드름 집단군]] / Yıldırım Ordular Grubu [[https://tr.wikipedia.org/wiki/%C5%9Eark_Ordular_Grubu|동부집단군]] / Şark Ordular Grubu * [[영국 육군#s-2.2|영국군]] [[영국 원정군]] / [[https://en.wikipedia.org/wiki/British_Expeditionary_Force_(World_War_I)|British Expeditionary Force]][* 공식적인 집단군 편제는 아니지만, 실질적인 규모로 따지면 집단군과 유사함으로 이 항목에 표기함.] * [[미국 육군#s-2|미군]] [[미국 원정군]] / [[https://en.m.wikipedia.org/wiki/American_Expeditionary_Forces|American Expeditionary Force]][* 영국 원정군과 같은 이유로 이 항목에 표기함.] === [[제2차 세계대전]] === * [[독일 육군(나치 독일)|독일 국방군]] [[https://de.wikipedia.org/wiki/Heeresgruppe_(Wehrmacht)|독일 국방군의 집단군 목록]] 1939년 9월 1일 폴란드 전역 • 북부 집단군 • 남부 집단군 1940년 5월 10일~1940년 6월 22일 프랑스 전역 • A집단군 • B집단군 • C집단군 1941년 6월 22일~1945년 5월 9일 독-소전쟁 • 1941년 • 북부집단군 • 중부집단군 • 남부집단군 • 1942년 • 북부집단군 • 중부집단군 • B집단군[* 남부 집단군 분할] • A집단군[* 남부 집단군 분할] • 1943년 • 북부집단군 • 중부집단군 • 남부집단군[* B집단군에서 돈집단군, 돈집단군에서 남부집단군으로 개칭] • A집단군 • 1944년 • 북부집단군 • 중부집단군 • 북우크라이나집단군[* 남부집단군에서 개칭] • 남우크라이나집단군[* A집단군에서 개칭] • 1945년 • 쿠를란트집단군[* 북부집단군에서 개칭] • 북부집단군[* 중부집단군에서 개칭] • 비스툴라집단군 • 중부집단군[* 북우크라이나집단군에서 A집단군, A집단군에서 중부집단군으로 개칭] • 남부집단군[* 남우크라이나집단군에서 개칭] • F집단군[* 동부전선을 담당한 육군최고사령부 소속이 아닌 국방군최고사령부의 남동전구사령부를 구성] 1944년 6월 8일 ~ 1945년 5월 8일 프랑스~독일 서부전역 • 1944년 • B집단군 • G집단군 • 1945년 • H집단군[* 북서집단군으로 개칭] • B집단군 • G집단군 • 오버라인집단군[* 육군 소속이지만 지휘부는 무장친위대로 구성, 휘하 부대는 G집단군에 흡수되고 사령부는 동부로 이동해 11군을 지휘하면서 동지 작전을 진행했다.] 1943년 2월 ~ 1943년 5월 튀니지 전역 • 아프리카 집단군 1943년 7월 ~ 1945년 이탈리아 전역 • B집단군[* 1943년 11월에 프랑스로 이동] • C집단군 1943년 8월 ~ 1944년 9월 발칸 전역 • F집단군 • E집단군[* 흩어진 군단들을 지휘하는 사실상의 야전군급 제대로 지휘부도 12군 사령부로 구성되었다. 집단군 자체도 F집단군에 배속되었으며 군집단이 아닌 집단군이 집단군 휘하에 배속된 사례는 E집단군이 유일하다.] * [[일본 제국 육군|일본군]] [[관동군]] / [[https://ja.wikipedia.org/wiki/%E9%96%A2%E6%9D%B1%E8%BB%8D|関東軍]] [[https://ja.wikipedia.org/wiki/%E6%94%AF%E9%82%A3%E6%B4%BE%E9%81%A3%E8%BB%8D|지나파견군]] / 支那派遣軍 [[남방군]] / [[https://ja.wikipedia.org/wiki/%E5%8D%97%E6%96%B9%E8%BB%8D_(%E6%97%A5%E6%9C%AC%E8%BB%8D)|南方軍]] [[https://ja.wikipedia.org/wiki/%E7%AC%AC1%E7%B7%8F%E8%BB%8D_(%E6%97%A5%E6%9C%AC%E8%BB%8D)|제1총군]] / 第1総軍 [[https://ja.wikipedia.org/wiki/%E7%AC%AC2%E7%B7%8F%E8%BB%8D_(%E6%97%A5%E6%9C%AC%E8%BB%8D)|제2총군]] / 第2総軍 [[항공총군]] / [[https://ja.wikipedia.org/wiki/%E8%88%AA%E7%A9%BA%E7%B7%8F%E8%BB%8D|航空総軍]] * [[국민혁명군]] [[https://en.wikipedia.org/wiki/Army_groups_of_the_National_Revolutionary_Army#|국민혁명군의 집단군 목록]] * [[소련 육군|붉은 군대]] [[https://ru.wikipedia.org/wiki/%D0%A1%D0%BF%D0%B8%D1%81%D0%BE%D0%BA_%D1%84%D1%80%D0%BE%D0%BD%D1%82%D0%BE%D0%B2_%D0%B2%D0%BE%D0%BE%D1%80%D1%83%D0%B6%D1%91%D0%BD%D0%BD%D1%8B%D1%85_%D1%81%D0%B8%D0%BB_%D0%A0%D0%9A%D0%9A%D0%90_(1941%E2%80%941945)|1941년-1945년 붉은 군대의 전선군 목록]] * [[영국 육군#s-2.2|영국군]] [[https://en.wikipedia.org/wiki/11th_Army_Group|제11집단군]] / 11th Army Group [[https://en.wikipedia.org/wiki/18th_Army_Group|제18집단군]] / 18th Army Group -> [[https://en.wikipedia.org/wiki/15th_Army_Group|제15집단군]] / 15th Army Group[* 영국군과 미군의 연합 부대로, 사령관도 영국군과 미군에서 번갈아가며 담당했지만, 지중해 전선에서 영국군의 비중이 컸으므로 영국군에 표기함.] [[https://en.wikipedia.org/wiki/21st_Army_Group|제21집단군]] / 21st Army Group * [[미국 육군#s-2|미군]] [[https://en.wikipedia.org/wiki/Sixth_United_States_Army_Group|제6집단군]] / Sixth Army Group[* 미군과 자유 프랑스군의 연합부대지만, 미군의 지휘를 받았기에 미군에 표기함.] [[https://en.wikipedia.org/wiki/Twelfth_United_States_Army_Group|제12집단군]] / Twelfth Army Group [[분류:군사 편제]][[분류:부대 단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