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서양 철학사/현대 철학)] ||<-2>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simondon.jpg|width=100%]]}}} || ||<-2> {{{+1 '''{{{#fff Gilbert Simondon}}}'''}}} || || '''{{{#white 국적}}}''' ||[[프랑스]]|| || '''{{{#white 출생}}}''' ||[[1924년]] [[10월 2일]] [br] ^^([[프랑스 제3공화국]] [[생테티엔]])^^|| || '''{{{#white 사망}}}''' ||[[1989년]] [[2월 7일]] [br] ^^([[프랑스]] 팔레조)^^|| || '''{{{#white 학파}}}''' ||[[대륙철학]]|| || '''{{{#white 주요연구분야}}}''' ||[[과학철학]], 기술철학, [[인식론]]|| [목차] [clearfix] == 개요 == [[프랑스]]의 [[철학자]]. 인문학, 사회학, 자연과학, 기술공학에 두루 정통한 통섭적인 지식인으로 특히 과학기술과 산업화와 그에 따른 사회적 문제들에 관심을 보여 이를 철학적으로 규명하고자 노력했다. 문이과를 가로지르는 사유의 복잡성과 당대 철학계의 보수적인 분위기로 인해 큰 주목을 받지 못했으나 이후 [[질 들뢰즈]][* 들뢰즈는 1964년 출판된 시몽동의 저서에 직접 서평을 남기기도 했다.], [[헤르베르트 마르쿠제]], [[장 보드리야르]]와 같은 대륙철학자들에게 영향을 끼쳤으며, 21세기 들어서는 [[브뤼노 라투르]]나 베르나르 스티글레르와 같은 현대 기술철학자들, [[안토니오 네그리]], 브라이언 마수미와 같은 정치철학자, 그리고 커뮤니케이션 이론가들에게 조명받으며 미간행 저서들이 하나둘 출판되고 있다. == 생애 == 1924년 프랑스 중부의 공업도시 생테티엔의 평범한 가정에서 태어났다. 어린 시절부터 학업에 남다른 재능을 보였으며, 시몽동의 아버지는 그가 [[에콜 폴리테크니크]]에 입학해 훌륭한 기술자가 되길 원했다. 허나 시몽동은 문과를 택했고 [[파리 고등사범학교]]와 [[파리 대학교]]에서 철학을 공부한다. 이때 [[모리스 메를로퐁티]], 장 이폴리트 등을 사사했으며 [[가스통 바슐라르]], [[조르주 캉길렘]]과 같은 과학철학자들과 함께 연구를 진행한다. 이후 파리 고등사범학교에서 소크라테스 이전 철학자들에 관한 논문으로 석사 학위를 받았으며, 동시에 물리학, 광물학, 심리학, 심리생리학, 의학 등 다양한 분야를 탐구하여 각각의 분야들에서 수료증이나 학사학위를 받는 등 활발한 학문활동을 이어갔다. 1948년, [[질 들뢰즈]], [[루이 알튀세르]]와 함께 교수자격시험을 통과한 시몽동은 고등학교에서 철학, 물리학, 그리스-라틴어, 20세기 문학 등 다양한 분야를 강의한다. 1958년, 국가박사학위 논문으로 <형태와 정보 개념에 비추어 본 개체화>를 제출하며 소르본 대학교에서 국가박사학위를 받는다. 박사학위를 받은 후 여러 대학에서 심리학 교수로 재직한다. 파리5대학에서는 '일반 심리학과 기술공학 실험실'을 주도적으로 창설했으며, 각종 심포지엄에 참여해 왕성한 학술활동을 벌인다. 50대 초반부터 건강 문제를 겪더니 1983년에 학계를 은퇴하고 6년 뒤 65세를 일기로 세상을 떠난다. == 주요 저서 == * 기술적 대상들의 존재 양식에 대하여 ''Du mode d'existence des objets techniques'', 1958 * 형태와 정보 개념에 비추어 본 개체화 ''l'individuation à la lumière des notions de forme et d'information'', 1995 [각주] [[분류:프랑스의 철학자]][[분류:1924년 출생]][[분류:1989년 사망]][[분류:에콜 폴리테크니크 출신]][[분류:파리 고등사범학교 출신]][[분류:파리 대학교 출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