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유희왕 5D's/등장인물]] [[파일:Randsborg-YDT1.png]] '''ジル・ド・ランスボウ''' / '''Gill Randsborg''' [목차] == 개요 == [[유희왕 5D's]]의 등장인물. 성우는 [[우에다 요우지]] / [[최낙윤]] / [[에릭 스튜어트]]. [[렉스 고드윈]]에게 고용되어 있는 요원으로, '철혈의 기사'를 자칭하는 남성. 기사의 피를 이어받았다고 주장하며 황금색 갑옷을 입고 기사 행세를 하는 [[시대착오적]]인 모습이 특징으로, 검과 방패 형태의 [[듀얼 디스크]]를 들고 다닌다. [[히무로 진]]의 말에 따르면 정의로운 체하지만 실력은 얕볼 수 없는 모양이라는 듯 하며, 작중에서는 명성이 어느 정도 있는 인물인지 등장하면서 관중들에게 환호를 받기도 했다. == 작중 행적 == [[유희왕 5D's/포츈 컵 편|포츈 컵 편]] 15화에서 [[포츈 컵]] 참가자로 등장. 16화에서는 [[이자요이 아키]]가 [[시그너]]라는 정보의 사실 여부를 조사하기 위해 [[예거(유희왕)|예거]]에게서 그녀를 상대하라는 의뢰를 맡게 되는데, 어린 계집애라 얕보면서 반신반의하던 그는 그녀가 다이몬 에리어에 출몰하는 [[흑장미의 마녀]]라는 사실을 듣고 '사악한 자를 사냥하는 것이 기사의 책무'라면서 임무를 받아들인다. 이후 16강에서 아키의 대전 상대로 나서면서 시합 전부터 검을 치켜들어 승리 선언을 하며 듀얼을 하게 된다. 기사의 듀얼을 보여주겠다면서 레벨 몬스터인 마스크드 나이트를 사용해 단숨에 LP를 깎으며 분전했으나, 시작부터 [[블랙 로즈 드래곤]]에 의해 필드를 털리고는 [[장미의 각인]]으로 자신의 마스크드 나이트의 컨트롤을 빼앗기며 자신의 LP도 깎이는 굴욕을 겪고, 대비책을 세워두기는 했지만 끝내 [[블랙 로즈 드래곤]]의 효과로 마스크드 나이트의 공격력은 0이 되어버린다. 임무대로 아키가 [[흑장미의 마녀]]라는 사실을 까발리는 데에는 성공했으나, 그녀를 마녀로 몰아세우던 그는 아키에게서 '거짓의 정의로 치장한 기사'라는 조롱을 들으며 [[블랙 로즈 드래곤]]에 의해 단숨에 패배하게 되었다. == 사용 카드 == 듀얼 상대인 [[이자요이 아키]]와는 달리 작중 사용한 카드들 대부분이 OCG화 되지 않았다. 그래도 키노미야와는 달리 [[유희왕 태그 포스]] 시리즈에서는 써볼 수 있다. [[유희왕 월드 챔피언십]] 시리즈에서는 마스크드 나이트 시리즈가 OCG화되지 않아 [[사일런트 스워드맨]]을 쓴다. 이후 [[유희왕 듀얼링크스]]에서 마스크드 나이트 몬스터가 풀리게 되었다. === OCG화 된 카드 === * 마법 카드 * [[레벨 업!]] * [[전사의 생환]] * 함정 카드 * [[작렬 장갑]] === [[유희왕/OCG화되지 않은 카드|OCG화 되지 않은 카드]] === * 몬스터 카드 * 마스크드 나이트 LV3 * 마스크드 나이트 LV5 * 마스크드 나이트 LV7 * 마법 카드 * 글로리 실드 * 함정 카드 * [[유희왕/레벨#레벨 체인지|레벨 체인지]]: 마스크드 나이트 LV3을 묘지로 보내고 LV5를 특수 소환하는데 사용했다. * 순교자의 깃발 ==== 마스크드 나이트 LV3 ==== [[파일:external/vignette3.wikia.nocookie.net/MaskedKnightLV3-OW.png]] [[파일:3616 (2).png]] || 한글판 명칭 ||<-4>'''마스크드 나이트 LV3'''|| || 일어판 명칭 ||<-4>'''マスクド・ナイト [ruby(LV, ruby=レベル)]3'''|| || 영어판 명칭 ||<-4>'''Masked Knight LV3 '''|| ||<-5> 효과 몬스터 || || 레벨 || 속성 || 종족 || 공격력 || 수비력 || || 3 || [[유희왕/속성|땅]] || [[전사족]] || 1500 || 600 || ||<-5>자신의 턴의 스텐바이 페이즈에, 앞면 표시로 존재하는 이 카드를 묘지에 보내는 것으로 "마스크드 나이트 LV5" 1장을 패 또는 덱에서 특수 소환한다. 1턴에 1번, 상대 플레이어에게 400[*듀얼링크스 200] 포인트의 데미지를 줄 수 있다. 이 효과를 사용한 턴, 이 카드는 공격할 수 없다. || 첫 턴에 소환하여 데미지를 주고, [[레벨 업!]]으로 LV5로 진화한다. 후에 [[전사의 생환]]으로 회수하고 다시 소환하지만, 데미지는 [[도플 게이너]]로 자신도 받게 되고, [[장미의 각인]]+[[반목의 추종자]]의 콤보와 [[이자요이 아키]]에게 공주님 키스를 하여 질을 괴롭힌다. 후에 레벨 체인지에 의해 LV5가 된다. 효과명은 '페르소나 블래스트(Persona Blast)'. ==== 마스크드 나이트 LV5 ==== [[파일:external/vignette3.wikia.nocookie.net/MaskedKnightLV5-OW.png]] [[파일:3617 (2).png]] || 한글판 명칭 ||<-4>'''마스크드 나이트 LV5'''|| || 일어판 명칭 ||<-4>'''マスクド・ナイト [ruby(LV, ruby=レベル)]5'''|| || 영어판 명칭 ||<-4>'''Masked Knight LV5 '''|| ||<-5> 효과 몬스터 || || 레벨 || 속성 || 종족 || 공격력 || 수비력 || || 5 || [[유희왕/속성|땅]] || [[전사족]] || 2300 || 1300 || ||<-5>자신의 턴의 스텐바이 페이즈에, 앞면 표시로 존재하는 이 카드를 묘지로 보내는 것으로 "마스크드 나이트 LV7" 1장을 패 또는 덱에서 특수 소환한다. 1턴에 1번, 상대 플레이어에게 1000[*듀얼링크스2 500] 포인트의 데미지를 줄 수 있다. 이 효과를 사용한 턴, 이 카드는 공격할 수 없다. || 첫 턴에 레벨 업으로 소환되어 데미지를 주지만, 다음 턴 [[블랙 로즈 드래곤]]의 효과로 파괴되어 버린다. 후에 레벨 체인지의 효과로 특수 소환되어 LV7이 된다. 효과명은 '페르소나 트윈 블래스트(Persona Twin Blast)'. ==== 마스크드 나이트 LV7 ==== [[파일:external/vignette1.wikia.nocookie.net/MaskedKnightLV7-OW.png]] [[파일:3618 (2).png]] || 한글판 명칭 ||<-4>'''마스크드 나이트 LV7'''|| || 일어판 명칭 ||<-4>'''マスクド・ナイト [ruby(LV, ruby=レベル)]7'''|| || 영어판 명칭 ||<-4>'''Masked Knight LV7 '''|| ||<-5> 효과 몬스터 || || 레벨 || 속성 || 종족 || 공격력 || 수비력 || || 7 || [[유희왕/속성|땅]] || [[전사족]] || 2900 || 1800 || ||<-5>이 카드는 일반 소환/세트할 수 없다. "마스크드 나이트 LV5"의 효과로만 특수 소환할 수 있다. 1턴에 1번, 상대 플레이어에게 1500[*듀얼링크스3 750] 포인트의 데미지를 줄 수 있다. || LV5의 효과로 특수 소환되어 글로리 실드를 장착하여 [[도플 게이너]]를 파괴하고, 자신의 효과로 데미지를 주어 아키의 라이프를 50까지 몰아붙이지만, [[블랙 로즈 드래곤]]에 의해 공격력이 0이 되어 그대로 공격을 맞고 패배. 공격명은 '페르소나 빅 슬래시(Persona Big Slash)'. 효과명은 '페르소나 빅 블래스트(Persona Big Blast)'. ==== 글로리 실드 ==== [[파일:external/vignette3.wikia.nocookie.net/GloryShield-OW.png]] || 한글판 명칭 ||'''글로리 실드'''|| || 일어판 명칭 ||'''グローリー・シールド'''|| || 영어판 명칭 ||'''Glory Shield'''|| ||<-2> 장착 마법 || ||<-2>장착 몬스터가 공격할 경우, 상대는 데미지 스텝 종료시까지 마법/함정 카드를 발동할 수 없다. 장착 몬스터가 상대에게 전투 데미지를 주었을 경우, 필드 위의 마법/함정 카드 1장을 파괴할 수 있다.|| 마스크드 나이트 LV7에 장착하여 로즈 토큰에 공격하여 [[도플 게이너]]를 파괴한다. 여담이지만 이 효과로 '''[[블랙 가든]]을 파괴했으면''' 이길 수도 있었다. 한마디로 블랙 가든 효과를 얕본 플레잉 미스. ==== 순교자의 깃발 ==== || 한글판 명칭 ||'''순교자의 깃발'''|| || 일어판 명칭 ||'''[ruby(殉教者, ruby=じゅんきょうしゃ)]の[ruby(旗, ruby=はた)]'''|| || 영어판 명칭 ||'''Martyr Flag'''|| ||<-2> 일반 함정 || ||<-2>이 카드는 상대 턴의 배틀 페이즈 시에 발동할 수 있다. 패 1 장을 묘지로 보내거나, 자신 필드 위에 존재하는 몬스터 1 장을 릴리스하고 발동한다. 상대 턴의 엔드 페이즈까지, 자신 필드 위에 존재하는 모든 몬스터의 공격력은 배가 된다.|| 이 카드를 세트하고 반격의 싹을 따려고 했지만, [[블랙 가든]]의 효과로 소생된 [[블랙 로즈 드래곤]]의 효과로 마스크드 나이트 LV7의 공격력이 0이 되어 써보지도 못하고 패배. == 기타 == [[파일:Randsborg-WB01.gif]] 작중에서는 [[D휠]]을 탑승하는 장면이 나오지 않지만, 유희왕 5D's Wheelie Breakers에도 등장하면서 그의 D휠 디자인이 공개되었다. [[4Kids Entertainment|4kids]]에서 수입한 영어 더빙판에서는 기사 혈통 언급이 사라지고 그냥 '''[[코스어|코스플레이어]]'''라는 설정으로 바뀌었다. '''이 복장을 만드는 데 1년 걸렸다'''라고 한다던가, '''작년 할로윈에 기사복장이었다'''는 식의 발언을 한다. 아무래도 '''프랑스인'''에 '''기사''' 기믹에서 후에 등장하는 [[셰리 루브란]]과 겹치기 때문인지, 게임판에서는 이걸로 엮이기도. 이 캐릭터 이후 오랫동안 유희왕 시리즈에서 [[유희왕/레벨|레벨 몬스터]]를 쓰는 듀얼리스트가 나오지 않다가 무려 2세대[* 5D's → ZEXAL → ARC-V → VRAINS]가 넘어간 [[유희왕 VRAINS]]에서 [[퀸(유희왕)|퀸]]이 [[얼루어 퀸]]을 쓰면서 '레벨 몬스터를 쓴 마지막 듀얼리스트' 타이틀은 넘어갔다. 이름은 [[질 드 레]]에서 따온 것으로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