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역대 진(영성) 군주)] |||||| '''{{{#ece5b6 진(秦)나라 3대 국군[br]{{{+1 헌공}}}[br]憲公}}}''' || |||| '''[[성씨|{{{#ece5b6 성}}}]]''' || 영(嬴) || |||| '''[[본관|{{{#ece5b6 씨}}}]]''' || 조(趙) || |||| '''[[휘|{{{#ece5b6 휘}}}]]''' || ? || |||| '''{{{#ece5b6 할아버지}}}''' || [[진문공(영성)|진문공]](秦文公) || |||| '''{{{#ece5b6 아버지}}}''' || [[진정공(영성)|진정공]](秦靜公)[* 단 계보에 들어가는 군주가 아니라 추존된 군주다.] || || '''{{{#ece5b6 생몰 기간}}}''' || 음력 || 기원전 ???년 ~ 기원전 704년 || || '''{{{#ece5b6 재위 기간}}}''' || 음력 || 기원전 715년 ~ 기원전 704년 || [목차] [clearfix] == 개요 == [[춘추시대]] [[진(영성)|진(秦)나라]]의 3대 [[군주]]. [[진문공(영성)|진 문공]]의 손자이자 추존된 진 정공(秦靜公)의 아들. [[진출자|진 출자]], [[진무공(영성)|진 무공]], [[진덕공|진 덕공]]의 아버지. 아버지인 진 정공이 조부 진 문공보다 일찍 죽었기에 진 문공이 재위 50년 만에 죽자 헌공이 뒤를 이었다. 《사기》에는 진 영공(秦寧公)[* 《사기지의》(史記志疑)의 저자 양옥승(梁玉繩)은 '영'(寧)자가 '헌'(憲)자를 잘못보고 기록한 글자라고 했다.]으로 기록되어 있다. == 재위 기간에 일어난 일 == 진 헌공 2년(기원전 714년), 헌공은 신읍(平陽)에서 평양으로 천도했다. 그리고 병사를 보내 탕사(蕩社)를 쳤다. 진 헌공 3년(기원전 713년), 박(亳)의 융족과 싸울 때 박왕(亳王)이 패해 서융으로 달아났다. 드디어 탕사를 멸망시켰다. 진 헌공 7년(기원전 709년), 예나라의 백작의 어머니 예강이 예백의 애첩이 많은 것을 싫어했다. 예백 만은 예나라에서 쫓겨났고, 위성에 거주했다. 진 헌공 8년(기원전 708년), 가을 헌공은 추방된 예백 만을 위해 예나라를 쳤는데, 헌공이 예나라를 얕봤다가 패배했다. 겨울에 동주 [[환왕]]이 진(秦)나라와 연합해 위성을 포위하고, 예백 만을 포로로 잡았다. 진 헌공 12년(기원전 704년), 헌공은 탕지(蕩氏)를 토벌해 영토를 넓혔다. 같은 해 헌공이 죽으니 그 나이가 21세였다. 장지는 서산의 큰 산기슭이었다. 그 뒤를 아들 진 출자가 이었다. [각주] [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진헌공, version=12)] [[분류:진(秦)나라의 군주]][[분류:기원전 704년 사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