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진해구의 로)] [[분류:국도대체우회도로]] ||<-4> {{{#fff {{{+1 '''진해산업로'''}}}[br] 鎭海産業路 | Jinhaesaneop-ro }}} || ||<-4> '''{{{#fff 기점}}}''' || ||<-4> [[경상남도]] [[창원시]] [[성산구]] [[양곡동]] 양곡IC || ||<-4> '''{{{#fff 종점}}}''' || ||<-4> [[부산광역시]] [[강서구]] [[송정동]] 용원삼거리 || ||<-4> '''{{{#fff 연장}}}''' || ||<-4> 21.32km || ||<-4> '''{{{#fff 관리}}}''' || ||<-4> || ||<-4> '''{{{#fff 왕복 차로 수}}}''' || ||<-4> 4차로 || ||<-4> '''{{{#fff 주요 경유지}}}''' || ||<-4> 양곡IC ↔ [[진해IC]] ↔ 소사교차로 ↔ 용원삼거리 || [목차] [clearfix] == 개요 == [[경상남도]] [[창원시]] [[성산구]] [[양곡동]] 양곡IC에서 출발하여 [[부산광역시]] [[강서구]] [[송정동]] 용원삼거리에서 끝나는 도로. == 특징 == 도로의 대부분이 교량과 터널로 이루어져 있으며 그중 [[진해터널]](6,085m)은 국내의 일반도로중 가장 긴 터널이다. 워낙 긴 터널이다 보니 터널 중간 쯤 천장부분에 갈매기 몇마리가 스크린으로 볼 수 있게 해놨다. 장복1터널과 장복터널로 분기하는 교차로에서 [[진해대로|기존도로가 오른쪽]], 진해산업로가 왼쪽이니 주의해야한다. == 역사 == * [[2009년]]: [[창원시]] [[진해구]] [[소사동]] ~ [[석동(창원)|석동]] 7.03km 구간 착공 * [[2013년]] [[6월 3일]]: [[부산광역시]] [[강서구]] [[송정동]] ~ [[창원시]] [[성산구]] [[양곡동]] 6.78km 구간 착공 * [[2021년]] [[3월 31일]]: [[창원시]] [[진해구]] [[소사동]] ~ [[석동(창원)|석동]] 7.03km 구간 개통 * [[2023년]] [[11월 30일]]에 [[창원시]] [[진해구]] [[석동(창원)|석동]] ~ [[성산구]] [[양곡동]] 6.78km 구간 개통 == 효과 == || [[파일:진산로.jpg|width=90%]] || [[파일:진산로1.jpg|width=90%]] || || {{{#ffffff '''개통 이전의 진해구 도로 지도'''}}} || {{{#ffffff '''개통 이후의 진해구 도로 지도[* .파란색은 기존 2번 국도이며 빨간색이 진해산업로이다.]'''}}} || 기존 [[2번 국도]]가 [[진해구]]의 중심인 [[경화동]]과 [[여좌동]], [[석동(창원)|석동]] 그리고 [[자은동]]을 지나가기 때문에 신호등도 매우 많고 시간도 많이 걸렸으나 이 도로의 전면 개통으로 신호를 전혀 받지 않고 지나갈 수 있게되어 이동시간이 기존 30분에서 15분으로 절반 가량 줄어들었다. 또한 냉천사거리로 연결되는 석동IC와 새마을사거리로 연결되는 경화IC로 [[석동(창원)|석동]], [[자은동]], [[경화동]]과의 접근성과 [[2번 국도]]와의 연결성도 좋아졌다. 도로의 대부분이 터널로 이뤄져 있어 폐소공포증이 있다면 불편할 수 있지만 바닷가 쪽을 제외하면 온통 산으로 둘러싸인 진해구의 지형 특성상 터널 말고는 답이 없었던 점은 감안해야 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