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진주시의 중학교]][[분류:경상남도의 남자중학교]][[분류:1968년 개교]][[분류:나무위키 교육기관 프로젝트]] [include(틀:교육기관)] [include(틀:경상남도 진주시의 중학교)] [include(틀:학교법인 정천학원)] ||[[파일:jinjudongmyeong_middleschool_view.jpg|width=750]]|| || {{{#white 학교 전경}}} || ||<-2> '''{{{#white {{{+1 진주동명중학교}}}[br]晉州東明中學校[br]Jinjudongmyeong Middle School}}}''' || ||<-2> [[파일:jinjudongmyeong_middleschool_logo.jpg]] || ||<-2> [include(틀:지도, 장소=경상남도 진주시 대신로 454-25, 너비=100%, 높이=100%)] || || {{{#white '''개교'''}}} || [[1968년]] || || {{{#white '''유형'''}}} || [[일반계]] [[중학교]] || || {{{#white '''성별'''}}} || [[남학교]] || || {{{#white '''형태'''}}} || [[사립]] || || {{{#white '''학교법인'''}}} || 학교법인 정천학원[* [[진주동명고등학교]]와 같은 재단 소속이다.] || || {{{#white '''교장'''}}} || 최종헌 || || {{{#white '''교감'''}}} || 최용준 || || {{{#white '''교훈'''}}} || 참되도록 애쓰며(성실), 서로 돕고 이바지하자(봉사) || || {{{#white '''교화'''}}} || 철쭉 || || {{{#white '''교목'''}}} || 은행나무 || || {{{#white '''학생 수'''}}} || 693명[*기준 [[2023년]] [[4월 5일]]] || || {{{#white '''교직원 수'''}}} || 43명[*기준] || || {{{#white '''관할 교육청'''}}} || [[경상남도교육청]] || || {{{#white '''주소'''}}} || [[경상남도]] [[진주시]] [[대신로(진주)|대신로]] 454-25 ([[초전동]]) || || {{{#white '''홈페이지'''}}} || [[http://jinjudongmyeong-m.gne.go.kr|[[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width=25]]]] || [목차] [clearfix] == 개요 == [[1968년]] [[5월 11일]]에 개교한 [[경상남도]] [[진주시]] [[초전동]][* [[법정동]] 기준이며 [[행정동]]으로는 [[초장동(진주)|초장동]].]의 [[사립]] [[남자중학교]]다. == 학교 연혁 == * 1952년 4월 10일: 재단법인 해인학원 설립 * 1967년 9월 18일: 진주강남중학교 설립 인가 (6학급) * 1968년 5월 11일: 진주강남중학교 개교 * 1969년 8월 22일: 학교법인 삼성학원 설립 인가 * 1969년 9월 11일: 학교법인 삼성학원으로 본교 설립자 변경 * 1969년 11월 12일: 학교 증설 인가 (12학급) * 1971년 2월 15일: 제1회 졸업식 * 1971년 2월 22일: 강용성 교장 취임 * 1971년 3월 29일: 학교법인 삼성학원 김윤양 이사장 취임 * 1971년 8월 5일: 진주동명중학교로 교명 변경 인가 * 1972년 1월 25일: 진주시 상대2동 304-4 교사로 이전 * 1973년 12월 29일: 학급 증설 인가 (18학급) * 1977년 11월 17일: 김영민 교장 취임 * 1979년 5월 3일: 배구부 창단 * 1980년 2월 12일: 박헌섭 교장 취임 * 1981년 8월 31일: 학교법인 정천학원 설립 인가 * 1990년 4월 28일: 학교법인 정천학원 김흥치 이사장 취임 * 1992년 6월 25일: 학급증설 인가 (30학급) * 1993년 6월 15일: 신갑용 교장 취임 * 1997년 2월 28일: 진주시 대신로 454-25(초전동) 신축교사로 이전 * 1998년 3월 10일: 배구부 재창단 * 1999년 9월 1일: 박태영 교장 취임 * 2002년 9월 1일: 정주훈 교장 취임 * 2006년 9월 1일: 임영호 교장 취임 * 2012년 9월 1일: 김실영 교장 취임 * 2016년 9월 1일: 김대성 교장 취임 * 2018년 5월 11일: 제50주년 개교 기념일 * 2018년 2월 9일: 제48회 졸업식(졸업생 연인원: 17,400명) * 2022년 1월 11일: 제52회 졸업식(졸업생 연인원:18,332명) == 교훈 및 상징[*출처 [[http://jinjudongmyeong-m.gne.go.kr/jinjudongmyeong-m/ss/schulSymbol/selectSongSymbolInfo.do?mi=127291|진주동명중학교 홈페이지]]] == === 교목 및 교화 === > 흠 하나 없는 피부에 곧게 머리를 쳐든 은행나무는 백절불굴의 고고한 군자의 기품까지 지니고 있으며,[br]더없이 맑고 푸른 가을 하늘에 흐르는 듯하다. 교목은 [[은행나무]]이며, 학교의 축제 이름도 여기서 따온 '은행잎 축제'이다. > 우리나라 땅 어디에건 뿌리를 내려 가야금 산조같은 꽃을 피운다.[br]우리 민족의 시에, 그림에, 노래에 피맺힌 민족의 정한으로 꽃핀다. 교화는 [[철쭉]]으로, 연말마다 도서실에서 펴내는 교지의 이름인 "철쭉"도 여기서 따온 것이다.[* 2020학년도부터는 교지를 더 이상 만들지 않는다.] === 교훈 === 교훈은 ''''참되도록 애쓰며(성실), 서로 돕고 이바지하자(봉사)''''이다. 학교 슬로건은 ''''푸른 꿈의 요람''''이며, 덕목(중점실천사항)은 ''''인성과 학력, 성실과 봉사''''이다. 가정통신문의 좌측 상단에서 이와 같은 학교 슬로건과 덕목을 볼 수 있다. === 교가 === > 저 하늘 구름 속에 솟은 [[지리산|두류봉]][br]이 강산 비 바람에 머문 [[진주성|촉석루]][br][br]세월도 강물인데 넋은 남아서[br]만고에 푸른 빛이 가실 줄 없다[br][br]이 기상 이 정신을 이어받아서[br]빛내리 영원토록 우리 동명중[* 마지막의 '동명중' 부분을 '동명고'로 바꾸면 [[진주동명고등학교]] 교가가 된다.] === 교기 === 교기는 [[배구]]로, 중고등학교 공통으로 배구부가 있다. == 학교 특징 == 학교 인사말이 "사랑합니다."이다.[* 그래서 학생들에게 "사랑합니다."가 입에 붙어 장소를 불문하고 "사랑합니다."라고 인사했다거나 그럴 뻔 했다는 이야기는 학교 내에서 흔하게 들을 수 있다.] == 학교 시설 == == 학교 생활 == === 주요 행사 === ||추가하시려면 "'''행사명''': 개최시기"로 추가해주시고 부가적인 설명을 적어주세요.|| === 학교 일과 === (나머지 일과, 방과후 프로그램) 등은 이곳에 작성하시기 바랍니다. == 출신 인물 == * [[김인혁]] * [[전광인]] * [[정성규]] * [[정성환(배구선수)|정성환]] * [[황현주(배구)|황현주]] == 이용 가능한 [[대중교통]] == === 버스 === [[진주시 시내버스|시내버스]]를 이용하여 통학할 수 있다. 보통 정문으로 등교하는 학생은 '진주동명중고등학교' 정류장을, 후문으로 등교하는 학생은 '[[초장동(진주)|초장동]][[행정복지센터]]' 정류장을 이용한다. 하지만 학교 건물이 후문 쪽으로 치우쳐 있기도 하고 후문과 가까운 쪽으로 학생들이 많이 거주하고 있기 때문에 정문보다는 후문으로 등교하는 학생이 훨씬 더 많다. || '''{{{#ffffff 통학노선}}}''' ||[[진주 버스 10|10]]|| || '''{{{#ffffff 100번대}}}''' ||[[진주 버스 150|150]], [[진주 버스 152|152]], [[진주 버스 160|160]], [[진주 버스 161|161]], [[진주 버스 170|170]]|| || '''{{{#ffffff 200번대}}}''' ||[[진주 버스 250|250]], [[진주 버스 251|251]], [[진주 버스 252|252]], [[진주 버스 253|253]], [[진주 버스 260|260]], [[진주 버스 261|261]], [[진주 버스 270|270]], [[진주 버스 271|271]], [[진주 버스 272|272]]|| || '''{{{#ffffff 300번대}}}''' ||[[진주 버스 352|352]], [[진주 버스 353|353]], [[진주 버스 360|360]], [[진주 버스 361|361]], [[진주 버스 362|362]], [[진주 버스 363|363]], [[진주 버스 370|370]], [[진주 버스 371|371]], [[진주 버스 372|372]], [[진주 버스 373|373]], [[진주 버스 374|374]], [[진주 버스 375|375]], [[진주 버스 376|376]], [[진주 버스 377|377]]|| || '''{{{#ffffff 400번대}}}''' ||[[진주 버스 470|470]], [[진주 버스 471|471]]|| || '''{{{#ffffff 500번대}}}''' ||[[진주 버스 550, 551|550, 55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