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역대 남진 황제)]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091531 0%, #10275d 20%, #10275d 80%, #091531); color: #ece5b6" '''남진 추존 존령[br]{{{+1 步兵府君 | 보병부군}}}'''}}} || || '''본관''' ||[[진(성씨)|영천 진씨]] || || '''휘''' ||정(鼎) || || '''부모''' ||부친 진공필(陳公弼) || || '''자녀''' ||[[진고(동진)|정원부군]](正員府君) || || '''시호''' ||보병부군(步兵府君) || || '''생몰''' ||? ~ ? || [목차] [clearfix] == 개요 == 진정(陳鼎, 생몰년 미상)은 [[동진]]의 군인으로 본관은 영천 진씨이며 [[난형난제]] 등의 고사로 유명한 [[진식]]의 후손이고 상서랑을 지낸 진공필(陳公弼)의 아들이다. == 생애 == 장성현 출생으로 그의 본적은 [[서진]]의 승상연(丞相掾)을 지낸 고조부 [[진달(서진)|진달]]이 장성현에 정착하여 자리잡은 것이다. 증조부 진강(陳康)은 진달의 승상연을 계승했으며 [[동진]] 정부에 토단(土斷)[* 이민족이 국가에 이주신청을 하여 정식 국민으로 인정받을 수 있는 제도이다.]을 끝마쳐 정식 장성현인(長城縣人)이 되었다. 진정 본인은 동진의 보병교위(步兵校尉)를 지냈으나 언제 죽었는지는 전해지지 않는다. 진정의 아들인 [[진고(동진)|진고]]도 산기시랑을 역임하였으며 진정의 자손들은 남조의 관료를 역임하였다. 이후 557년 진정의 곤손인 [[진패선]]이 [[진(남조)|남진]]을 건국하자 진정은 보병부군(步兵府君)으로 추존되어 진의 [[칠묘]]에 모셔졌다. 559년 진패선이 죽자 보병부군의 묘역은 제거되었다. == 등가 == >《凯容舞》辞:于赫皇祖,宫墙高嶷。迈彼厥初,成兹峻极。缦乐简简,閟寝翼翼。裸飨若存,惟灵靡测。 == 계보 == === 선조 === * 10대조: [[진식]](陳寔) - 태구장(太丘長) * 비조부: [[진심(후한)|진심]](陳諶), 자는 계방(季方) * 원조부: [[진충]](陳忠) * 태조부: 진좌(陳佐) - 청주자사(靑州刺史) * 열조부: 광릉원공(廣陵元公) [[진준]] * 현조부: 진광(陳匡) * 고조부: [[진달(서진)|진달]](陳達) - 승상연(丞相掾) * 증조부: 진강(陳康) - 승상연(丞相掾) * 조부: 진영(陳英) - 우이군태수(盱眙郡太守) * 부친: 진공필(陳公弼) - 상서랑(尙書郞) === 후손 === * 아들: [[진고(동진)|정원부군]] 진고 * 손자: [[진영(동진)|회안부군]] 진영 * 증손: [[진맹공|안성부군]] 진맹공 * 현손: [[진도거|효황]](孝皇) 진도거 * 내손: [[진문찬|문제]](文帝) 진문찬 * 장(長)곤손: [[진도담|소열황]](昭烈皇) 진도담 * 차(次)곤손: [[진패선|무제]](武帝) 진패선 - 남진 초대 황제. [[분류:몰년 미상]][[분류:남북조시대의 추존 황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