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미개통)] [include(틀:수도권 전철 차량사업소)] ||<-3> {{{+2 '''진접차량사업소'''}}}[br]{{{#ff0000 (공사중)}}} || ||<-3> {{{#!wiki style="margin: -6px -10px -11px" [include(틀:지도, 장소=진접읍 금곡리 산 40-4, 너비=100%, 높이=100%)]}}} || ||<-3> '''다국어 표기''' || || 영어 ||<-2> Jinjeop Train Depot || || 한자 ||<-2> 榛接車輛事業所 || ||<-3> '''주소''' || ||<-3> [[경기도]] [[남양주시]] [[진접읍]] 금곡리 산 40-4 || ||<-3> '''시설 관리''' || ||<-3> [[서울교통공사]] || ||<-3> '''개업일''' || ||<-3> 2026년 예정 || ||<-3> '''노선거리표''' || || --[[오남역|오 남]]--[br]← -.- ㎞ || --'''{{{#00a4e3 진접차량기지[br]상선인입선}}}'''-- ||<|2> --{{{#!html
종점}}}-- || || --[[진접역|진 접]]--[br]← -.- ㎞ || --'''{{{#00a4e3 진접차량기지[br]하선인입선}}}'''-- || [목차] [clearfix] == 개요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오남기지.jpg|width=100%]]}}}|| || {{{#white 조감도}}} || '''진접차량사업소'''(榛接車輛事業所)는 [[경기도]] [[남양주시]] [[진접읍]] 금곡리 산 40-4에 2026년 경 신설될 [[수도권 전철 4호선]]의 [[차량사업소]]이다. * 진접선차량기지: 진입도로(1.140km), 차량기지(197,400㎡), 건축물(14개동) * 건축물(14개동): 검수고, 교직변전소, 중량물창고, 재활용집하장, 청소원대기동, 경비동, 종합관리동, 유류고, 오폐수처리장, 특수차정비고, 테니스장, 궤도폐기물처리장, 수전변전소 == 상세 == 기존 [[서울특별시]] [[노원구]]에 자리하고 있던 [[창동차량사업소]]가 이전하여 만들어지는 차량사업소. 타 차량사업소들과는 다르게 산 중턱을 깎아서 만들어질 예정이다. 서울시와 노원구는 오래 전부터 노원구 중심에 있는 창동차량사업소를 타 지역으로 이전하고자 했다. 이에 2006년 8월에 창동차량사업소를 택지개발계획이 있던 남양주시 [[별내동]](당시 [[별내면]])으로 이전하는 계획을 세웠다. 이에 남양주시와 서울시, 노원구가 협의하면서 차량기지를 별내동 대신 택지지구로 개발되던 진접읍에 두기로 했으며, 진접까지 4호선을 연장하기로 합의했다.[* [[https://www.seoul.co.kr/news/newsView.php?id=20061128009011|「남양주시, 노원구 빅딜제안 수용」]], 서울신문, 2006-11-28] 2013년에 남양주시는 차량기지 부지를 금곡리 산 111-2번지로 결정했다. 그러나 이 부지는 금곡리 마을 바로 앞이다 보니 금곡리 주민들이 차량기지 소음 등을 이유로 강하게 반발했다. 진접읍 금곡리 주민들이 요구하는 차량기지 부지는 가마솥골 인근이었는데, 차량기지 부지가 고지대인데다가 산을 절개해야 하기 때문에 남양주시와 [[국토교통부]]가 난색을 표했다.[* [[http://www.kyeonggi.com/722027|「금곡리 주민 반발 부른 진접선 차량기지 어디로…」]], 경기일보, 2013-11-24] 차량기지 부지 문제는 한동안 해결되지 않다가[* [[http://www.kihoilbo.co.kr/news/articleView.html?idxno=543606|「주민“진접선 연장 차량기지 예정지 이전해 달라”」]], 기호일보, 2014-01-13] [[국민권익위원회]]가 개입하여 2년여간의 조사를 통해 결국 주민들의 요구를 수용했고, 가마솥골 인근 금곡리 산 40-4번지 일대로 부지를 옮겼다.[* [[http://www.nyjnews.net/31736|「진접선 차량기지 연내 착공?… 내년 건설공사 발주」]], 남양주뉴스, 2017-10-26] 이 때문에 진접선 본선보다 훨씬 늦은 2018년에야 착공할 수 있었다. 면적은 창동차량사업소의 18만㎡보다 약간 늘어난 19만7400㎡이지만 경검수 시설만 설치되고 중검수는 기존처럼 [[지축차량사업소]]에서 받는다. 단, 추후 중검수 시설을 도입할 수 있게 부지는 마련해 두기로 했다. 2022년 1월에는 진접차량사업소의 면적이 38만7천59㎡로 확대된다고 밝혔다.[* [[http://www.nyjnews.net/39990|「‘진접차량사업소’ 38만945→38만7천59㎡」]], 남양주뉴스, 2022-01-27] 본래 계획은 진접선 개통과 진접차량사업소 개소가 동시에 이뤄질 예정이었으나, 부지 선정에 난항을 겪은 이유로 진접차량사업소는 2026년 경에 개소할 예정이다. 차량기지 완공 전까지는 창동차량기지를 유지한 채로 진접까지 운행한 뒤 회차하여 창동차량기지로 입고한다. 진접선은 [[광역철도]]이지만, 진접차량사업소 및 그 인입선 건설은 [[도시철도법]]에 따른 사업으로 분류되어 [[도시철도]]로서 추진되며, 원인 제공자인 [[서울특별시]]가 건설비를 전액 부담한다. == 배속 차량 == * [[서울교통공사 4000호대 VVVF 전동차]] * [[한국철도공사 341000호대 전동차]](심야 주박) [[분류:대한민국의 차량사업소]][[분류:진접선]][[분류:수도권 전철 4호선]][[분류:2026년 건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