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 {{{#fff {{{+2 '''진부'''}}}'''(오대산)'''{{{+2 '''역'''}}}}}} || ||<|2> [[행신역|{{{-1 {{{#585858,#ccc 행신 방면}}}}}}]][br][[평창역|평 창]][br]← 16.3 ㎞ || [[경강선|{{{#!html
경강선(강릉선)}}}]][[KTX|[[파일:KTX BI_middle White.png|height=15]]]] || [[강릉역|{{{-1 {{{#585858,#ccc 강릉 방면}}}}}}]][br][[강릉역|강 릉]][br] 40.3 ㎞ → || || [[영동선|{{{#!html
영동선(강릉선)}}}]][[KTX|[[파일:KTX BI_middle White.png|height=15]]]] || [[동해역|{{{-1 {{{#585858,#ccc 동해 방면}}}}}}]][br][[정동진역|정동진]][br] 56.5 ㎞ → || ||<-3>{{{#!wiki style="margin: -5px -10px -5px" [include(틀:지도, 장소=진부역, 너비=100%, 높이=100%)]}}}|| ||<-3> '''{{{#fff 다른 문자 표기}}}''' || || [[로마자]] ||<-2> Jinbu(Odaesan) || || [[한자]] ||<-2> [[珍|{{{#373a3c,#ddd 珍}}}]][[富|{{{#373a3c,#ddd 富}}}]]([[五|{{{#373a3c,#ddd 五}}}]][[臺|{{{#373a3c,#ddd 臺}}}]][[山|{{{#373a3c,#ddd 山}}}]]) || || [[간체자]] ||<-2> 珍富(五台山) || || [[가나(문자)|가나]] ||<-2> [ruby(珍富, ruby=チンブ)]([ruby(五台山, ruby=オデサン)]) || ||<-3> '''{{{#fff 주소}}}''' || ||<-3> [[강원특별자치도]] [[평창군]] [[진부면]] 송정길 120[br](송정리 1370-3) || ||<-3> '''{{{#fff 관리역 등급}}}''' || ||<-3> [[보통역]](3급)[br]([[평창역]] 관리 / [[한국철도공사|코레일]] 강원본부) || ||<-3> '''{{{#fff 운영기관}}}''' || || [[경강선]] ||<-2> [[한국철도공사]] || ||<-3> '''{{{#fff 개업일}}}''' || || [[경강선]] ||<-2><|2> 2017년 12월 22일 || || [[KTX|[[파일:KTX BI_White, Red.svg|width=45]]]] || ||<-3> {{{#fff '''승강장 구조'''}}} || ||<-3> 2면 4선 [[쌍섬식 승강장]] || ||<-3> '''{{{#fff 철도거리표}}}''' || || [[만종역|{{{-1 {{{#585858,#ccc 만종 방면}}}}}}]][br][[평창역|평 창]][br]← 16.3 ㎞ || '''[[경강선]]'''[br]진 부 || [[강릉역|{{{-1 {{{#585858,#ccc 강릉 방면}}}}}}]][br][[대관령신호장|대관령]][* 2018. 1. 2 현재 직제규정 시행세칙에는 등재되어 있으나 철도거리표에는 등재되어 있지 않다.][br] -.- ㎞ → || || 본 역과 [[강릉역]] 사이에 [[남강릉신호장]], [[대관령신호장]] 그리고 [[영동선]]의 [[청량신호소]]가 있으나 철도거리표에는 기재되어 있지 않다.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진부신.png|width=100%]]}}}|| || {{{#fff '''진부역 전경'''}}} || [목차] [clearfix] == 개요 == >'''지붕 떠받친 8개 배흘림기둥은 오대산 전나무 상징''' - 눈 결정으로 수놓은 천정도 인상적 >역사는 [[2018 평창 동계올림픽|동계올림픽]] 장소답게 눈송이와 눈이 소복이 쌓인 스키 슬로프 모습을 닮았다. 티타늄 재질의 둥근 지붕은 스키 슬로프와 [[오대산]]의 능선을 형상화한 유선형의 디자인으로 시리도록 푸른 강원도의 하늘과 유독 잘 어울린다. 또한 내부 역시 눈꽃을 형상화한 사출물을 천장에 설치, 부드러운 간접조명을 통해 마치 역사 내부에서 눈꽃이 흩날리는 연출을 하고 있다. 특히 눈 결정으로 하나하나 수놓은 듯한 천장의 모습이 인상적이다. 그리고 지붕을 떠받친 8개의 배흘림기둥은 오대산 전나무숲을 상징한다. >---- >[[국가철도공단]] 공식 소개 문구 [[강원특별자치도]] [[평창군]] [[진부면]] 송정길 120 (송정리 1370-3)에 위치한 [[경강선]]의 철도역. 해발 고도 523m에 위치해있다. 강릉선 신설 역 중 유일하게[* 기존구간으로 [[서울역]], [[청량리역]](5번 승강장은 전철 승강장으로 전환되어 제외, 6번 승강장에 한해서만)도 20량 대응 가능. [[횡성역]], [[둔내역]], [[평창역]], [[만종역]], [[양평역(중앙선)|양평역]]은 10량 대응.] 20량 대응이 가능하다. 이는 [[2018 평창 동계올림픽]] 개[* 1편성 KTX-1 임시열차 운행.]/폐회식[* 3편성 KTX-1 임시열차 운행. 아울러 패럴림픽 폐회식때도 1편성 KTX-1 임시 열차 운행함.]을 대비한 것이다.[* 평창 동계올림픽 개막식이 열리는 [[평창 올림픽 스타디움]]으로 가는 셔틀버스가 이곳에서 출발한다.] [[https://youtu.be/z8yMFHe06cE|KTX-1 임시 열차 정차 영상.]] 물론 KTX-1도 [[대관령]]을 넘어가는 시운전을 진행하였지만 [[강릉역]]이 10량 대응이라 20량 대응은 사실상 진부역이 한계다. 나중에 평창군에 국제적 행사(올림픽, 월드컵, 아시안게임등등)이 있어야 다시 진부역에 KTX-1이 올수도 있을지도... [[2018 평창 동계올림픽]] 당시에는 '''(올림픽)''' 이라는 부역명을, [[2018 평창 동계패럴림픽]] 당시에는 '''(패럴림픽)'''이라는 부역명을 병기해서 운영했다. 즉 올림픽 당시 역명은 '''진부(오대산)(올림픽)역'''. [[https://steemit.com/kr/@namcine/ktx-3|#]][* 전산상에는 대회 기간중에만 표시되었으나, 역명판은 대회 이후에도 올림픽역이라는 부역명을 그대로 두고 있다. 또한 역 앞의 [[수호랑과 반다비]]도 그대로 있다.] 최근 안내방송이 '진부(오대산)역'에서 '진부역(오대산)'으로 바뀌었다. 각기 신호장들을 제외하면 이용객 입장에서 이 역이 강릉행과 동해행 열차가 분기되는 곳이다.[* 고속선에선 [[천안아산역]]도 KTX와 SRT가 이런 방식으로 운영 중이다.] == 역 정보 == [[2018 평창 동계올림픽]]과 [[2018 평창 동계 패럴림픽|패럴림픽]]때는 수도권 및 [[인천국제공항]]에서 [[평창 올림픽 스타디움]]과 [[알펜시아 리조트]], [[용평 리조트]], [[정선 알파인 경기장]]으로 이동하기 위해서 이용하였다. 덕분에 대회 기간 중에는 연일 만 명 이상의 인파가 몰려들었다. 원래는 일일 이용객 500명 정도를 기준으로 설계된 소규모 역이라 맞이방은 당연히 비좁아서 역 앞의 북쪽 빈공간과 역 건물 남쪽 옆에 본역보다 더 넓은 임시 가건물을 만들어 고객들을 위해 개방하였고, 매점도 부족해서 역앞에 [[푸드트럭]]을 운영하는 등의 노력을 보였으나, 그럼에도 전세계에서 온 다양한 인종의 사람들로 시장통을 방불케하는 혼잡도를 보여주었다. 대회 이후엔 가건물로의 출입구는 한동안 폐쇄되었다가 이후 가건물이 평창관광센터로 리모델링 되어 다시 열리게 되었다. 역 내부에 [[스토리웨이]]가 있었다가 폐점되고, 현재는 같은 자리에 먹을거리 및 기념품을 파는 매점이 들어서 있다. [[진부면]]사무소 소재지인 하진부리 바로 옆이라 그나마 구간 수요 잡기가 괜찮을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평창 올림픽파크와는 [[수호랑로]]로 명명된 왕복 2차선 새 도로로 직결되어 있다. [[2018년]] [[강릉선 KTX 탈선 사고]]로 강릉역까지 운행이 불가능하여 이 역에서 타절하였다. 여담으로 평창 올림픽 개폐회식이 열리는 날에는 이 역에서 올림픽 스타디움까지 여러대의 셔틀버스들이 무료 운행을 하여 오고가는 관람객들을 이송해 줬다. 그런데 이를 제대로 파악하지 못하고 그냥 역에서 내려서 조금만 가면 되는 줄 알고 택시를 잡아 탔다가 엄청난 비용을 그냥 날려 버려 정말 어처구니없는 낭패를 봤다는 사람들도 있다. === 시간표 === ||<-4> [[파일:KTX-이음 BI.svg|width=70]](상행) || || 시간 || 열차종별 || 열차번호 || 종착역 || || 05:45 || KTX-이음 || 802 || 서울 || || 06:50 || KTX-이음 || 804 || 서울 || || 08:50 || KTX-이음 || 808 || 서울 || || 10:49 || KTX-이음 || 810 || 서울 || || 12:45 || KTX-이음 || 814 || 서울 || || 14:58 || KTX-이음 || 844 || 서울 || || 16:59 || KTX-이음 || 818 || 서울 || || 17:45 || KTX-이음 || 820 || 서울 || || 18:10 || KTX-이음 || 862[*금토일 금, 토, 일요일 운행] || 청량리 || || 19:00 || KTX-이음 || 822 || 서울 || || 20:00 || KTX-이음 || 846 || 서울 || || 20:28 || KTX-이음 || 864[*금토일] || 청량리 || || 21:48 || KTX-이음 || 826 || 행신 || || 22:20 || KTX-이음 || 866[*금토일] || 청량리 || || 22:28 || KTX-이음 || 848 || 서울 || ||<-4> [[파일:KTX-이음 BI.svg|width=70]](하행) || || 시간 || 열차종별 || 열차번호 || 종착역 || || 07:48 || KTX-이음 || 803 || 강릉 || || 08:47 || KTX-이음 || 841 || 동해 || || 09:09 || KTX-이음 || 851[*토일 토, 일요일 운행] || 강릉 || || 10:08 || KTX-이음 || 853[*토일] || 강릉 || || 10:40 || KTX-이음 || 807 || 강릉 || || 12:41 || KTX-이음 || 843 || 동해 || || 14:45 || KTX-이음 || 811 || 강릉 || || 16:45 || KTX-이음 || 845 || 동해 || || 17:47 || KTX-이음 || 817 || 강릉 || || 19:26 || KTX-이음 || 863[*금토일] || 강릉 || || 19:47 || KTX-이음 || 819 || 강릉 || || 21:09 || KTX-이음 || 865[*금토일] || 강릉 || || 21:38 || KTX-이음 || 823 || 강릉 || || 23:43 || KTX-이음 || 827 || 강릉 || == 승강장 == ||<-8> ↑ [[평창역|평창]] || || ㅣ || {{{#fff 4}}} || {{{#fff 3}}} || ㅣ || ㅣ || {{{#fff 2}}} || {{{#fff 1}}} || ㅣ || ||<-8> [[강릉역|강릉]]·[[정동진역|정동진]] ↓ || || {{{#ffffff 1·2}}} ||<|2> [[강릉선]] ||<|2> [[KTX|[[파일:KTX BI.svg|width=35]]]] ||[[강릉역|강릉]]·[[정동진역|정동진]]·[[동해역|동해]] 방면 || || {{{#ffffff 3·4}}} ||[[서원주역|서원주]]·[[청량리역|청량리]]·[[서울역|서울]] 방면 || 10량 대응인 강릉역과 다르게 이 역은 20량 대응이다. 올림픽 개폐막식때 승객특별수송열차로 KTX-1열차가 각각 4번 운행했었다. 2선, 3선에는 현재 통과열차의 열차풍으로 인한 피해를 줄이고자 유리 난간이 설치되어 있고, 강릉/정동진 방향으로는 짧은 터널을 하나 지난 후 [[대관령터널]]을 지난다. == 역 주변 정보 == [[진부시외버스터미널]]이 있는 [[진부면]] 중심가까지 약 2㎞ 정도 떨어져 있다. 역 앞에 있는 진부로를 타면 [[영동고속도로]] [[진부IC]](구 영동고속도로 상진부평면교차로)로 바로 이어진다. [[오대산]]이 인근에 있어 지역 주민 외에 오대산 등산객 수요가 많다. 하지만 오대산 정상은 평창이 아닌 홍천에 위치해있다. 역 주변에 국립한국자생식물원이 위치해있다. == 교통 == 보통 진부역에서 소방서 앞을 지나서 터미널에 갈때 택시를 이용하면 약 3200원~3400원 정도 들어 보통은 21번, [[평창 버스 224|224번]]을 이용한다. 요금은 2023년 기준으로 21번은 1000원, 224번은 1700원 [[평창군 농어촌버스]] [[평창 버스 224|224번]]을 타고 진부터미널로 이동해 [[평창 버스 240, 420|240번]]을 타고 횡계터미널로 이동이 가능하지만 악명높은 구간요금으로 인해 진부터미널에서 시외버스로 타는 걸 추천한다. [[정선군 농어촌버스]] 21번을 이용해 정선군으로 오가는 것이 가능하다. 다만, 시간표를 참조할 것. === 연계 버스 시간표 === {{{#!wiki style="word-break: keep-all" ||<-2>
{{{+1 {{{#373A3C,#dddddd '''진부역(4260590)'''}}}}}} || ||<-2> '''[[진부공영버스정류장]] 방면''' || || [[평창군 농어촌버스|{{{#ffffff 평창군 농어촌버스}}}]] ||{{{+1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ce1130; font-size: .95em" [[평창 버스 224|{{{#ffffff 224(진부터미널)}}}]]}}} {{{+1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ce1130; font-size: .95em" [[평창 버스 227|{{{#ffffff 227(진부터미널)}}}]]}}} || || [[정선군 농어촌버스|{{{#ffffff 정선군 농어촌버스}}}]] ||{{{+1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008000; font-size: .95em" [[정선 버스 21|{{{#ffffff 21(정선공영버스터미널)}}}]]}}}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008000; font-size: .95em" [[정선 버스 21|{{{#ffffff 21-1(정선공영버스터미널)}}}]]}}} ||}}} [include(틀:진부역 버스 시간표)] == 일평균 이용객 == {{{#!wiki style="word-break: keep-all" || {{{#fff '''연도'''}}} || [[KTX|[[파일:KTX BI.svg|width=50]]]] || {{{#fff '''비고'''}}} || || 2017년 || 992명 || [* 운행 개시일인 12월 22일부터 12월 31일까지 10일간의 집계를 반영한 것이다.] || || 2018년 || {{{#144999 1,279명}}} || || || 2019년 || 791명 || || || 2020년 || 570명 || || || 2021년 || 650명 || || || 2022년 || 865명 || || ||<-3> {{{#fff '''출처'''}}} || ||<-3> [[https://info.korail.com/info/selectBbsNttList.do?bbsNo=202&key=1421|철도통계연보]] || }}} == 둘러보기 == [include(틀:2018 평창 동계올림픽)] [include(틀:경강선의 역 목록)] [[분류:2017년 개업한 철도역]][[분류:대한민국의 철도역]][[분류:분기역]][[분류:경강선]][[분류:나무위키 철도 프로젝트]][[분류:평창군의 교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