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 {{{#fff '''Progressive Party'''}}} || || '''한국어 명칭''' ||[[진보당]] || || '''의장''' ||[[헨리 A. 월리스]] || || '''부의장''' ||글렌 H. 테일러 || || '''서기장''' ||엘리엇 루즈벨트[* [[프랭클린 루즈벨트]]의 둘째아들. 진보당 창당에 관여하기 전까진 육군항공대 준장으로서 미 공군 정찰비행단의 초석을 다지는 등 주로 군사 분야에서 활동했다.] || || '''창당''' ||[[1948년]] || || '''해체''' ||[[1955년]] || || '''전신''' ||[[민주당(미국)|민주당]] || || '''후신''' ||시민당 캘리포니아 진보당 [[버몬트 진보당]] || || '''이념''' ||[[진보주의]] ,,([[미국의 진보주의|미국]]),, [br] 진보적 자본주의[* 진보당은 (미국식) 정당 계보상 사회주의 전통에 뿌리를 두지 않으며, 월리스도 당과 자신의 사상을 사회주의라고 정의하기보단 진보적 자본주의로 정의했다.][br][[좌익대중주의]][br][[평화주의]] || || '''스펙트럼''' ||[[좌파|좌익]] || || '''당색'''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3px 4px; border-radius: 4px; background: #5ed171; font-size: .9em" {{{#ffffff 초록색 (#5ed171, Green)}}}}}} || [목차] == 개요 == 20세기 중반 존재했던 미국의 정당으로 인종 통합, 전국민 건강보험 시스템 구축, 소련과의 긴장 완화 등의 진보적 강령을 내세웠다. 하지만 [[1912년]]과 [[1924년]]의 진보당 규모가 훨씬 거대했기에 진보당을 통칭할 때 이 당시의 진보당을 뜻하는 경우는 별로 없다. 보통 '1948년의 진보당' 내지 '헨리 월리스의 진보당'처럼 수식어가 붙는다. == 역사 == 부통령 출신 정치인 [[헨리 A. 월리스]]가 [[해리 S. 트루먼]] 대통령의 정책에 불만을 품고 탈당하면서 만든 정당이다. 월리스는 트루먼보다 [[소련]]에 유화적인 태도를 취하면서 트루먼의 [[냉전]] 정책에 지친 진보주의자들로부터 지지를 얻었다. 1948년 월리스는 2.4%의 표만을 득표해 이전의 두 진보당과 다르게 5%를 넘기지도 못했으며, 심지어 선거인단은 하나도 얻지 못하였다. 결국 미소 냉전 체제가 굳어지고, 월리스가 가면 갈수록 반소적으로 변해가자 진보당 내에서도 내분이 심해졌고 [[한국전쟁]]때에 이르러서는 공개적으로 의견이 충돌하고 사실상 당의 얼굴을 담당했던 월리스가 탈당하며 사실상 당의 생명은 끝났다. 1952년에 0.2%만을 득표하고 당은 1955년 해산되었다. [[조지 맥거번]]이 청년 시절 이 당의 당원이었다. == 진보당 소속 정치인 == === 부통령 === * [[헨리 A. 월리스]]^^(1941-1945)^^ === 상원의원 === * [[https://en.wikipedia.org/wiki/Glen_H._Taylor|글렌 H. 테일러]] : 아이다호 제79~81대 연방상원의원[* 미국 역사상 가장 진보적이었던 정치인 중 한 명으로 손꼽히며, 1948년 미국 대선에 헨리 월리스의 러닝메이트로 출마했다.] === 하원의원 === * [[https://en.wikipedia.org/wiki/Leo_Isacson|레오 아이작슨]] : 뉴욕 24구 제80대 연방하원의원 * [[https://en.wikipedia.org/wiki/Vito_Marcantonio|비토 마르칸토니오]] : 뉴욕 20구 제74, 76~ 78대, 뉴욕 18구 제79~81대 연방하원의원 == 주요 진보당 지지자 == * [[The Kingston Trio]] * [[W. E. B. 듀보이스]] * [[노먼 메일러]] * [[루이스 마일스톤]] * [[리 J. 코브]] * [[벌 아이브스]] * [[아서 밀러]] * [[아티 쇼]] * [[알베르트 아인슈타인]] * [[에런 코플런드]] * [[에바 가드너]] * [[존 휴스턴]] * [[주디 홀리데이]] * [[토마스 만]] * [[프랭크 로이드 라이트]] 학술계 및 예술계, 그중에서도 특히 할리우드와 브로드웨이의 배우들에게 큰 지지를 받았다. [[분류:진보주의 정당]][[분류:1948년 정당]][[분류:1955년 해체]][[분류:미국의 없어진 정당]]