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유희왕/OCG/테마)] [include(틀:진룡 스토리 관련 카드군)] ||<:><-6> '''{{{#!html진룡}}}''' || ||<-6><:>{{{#!wiki style="margin: -16px -11px; word-break: keep-all;"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True King's Return.jpg|width=100%]][br] ,,[[진룡(유희왕)#진룡황의 부활|{{{#505b89 진룡황의 부활}}}]],,}}}||<-3><:>{{{#!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True Draco Heritage.jpg|width=100%]][br] ,,[[진룡(유희왕)#진룡의 계승|{{{#505b89 진룡의 계승}}}]],,}}}||}}} || || '''{{{#!html한국어판 명칭}}}''' ||<-5> '''진룡''' || || '''{{{#!html일어판 명칭}}}''' ||<-5> '''[ruby(真竜, ruby=しんりゅう)]''' || || '''{{{#!html영어판 명칭}}}''' ||<-5> '''True Draco(진룡), True King(진룡황)''' || ||<-2> '''{{{#!html속성}}}''' ||<-2> '''{{{#!html종족}}}''' ||<-2> '''{{{#!html관련 카테고리}}}''' || ||<-2> [[유희왕 오피셜 카드게임/속성|다양]] ||<-2> [[유희왕 오피셜 카드게임/종족#환룡족|환룡족]] ||<-2> 효과[br][[어드밴스 소환|어드밴스]][br][[엑시즈 소환|엑시즈]] || [목차] == 개요 == [[더 다크 일루전]]에서 첫 등장 한 [[유희왕]]의 카드군. 룡검사 스토리와 연관됐다. == 설명 == 처음엔 "'''진룡'''황" 몬스터뿐이었으나, [[맥시멈 크라이시스]]에서 더 큰 분류의 '''"진룡"''' 카드가 대거 발매됐다. 카드군 몬스터 전원이 [[환룡족]]이라 환룡족 서포트를 이용할 수 있으며, [[룡성]] 이후 잊어졌던 환룡족 컨셉이 오랜만에 카드군으로 나왔다. 2017년 1월 진룡 덱 체험회가 열렸다. 선의 세력인 룡검사 진영은 진룡, 악의 세력인 용마왕 진영은 진룡황 쪽으로 나뉘어 있으며, 진룡봉황의 사도 일러스트를 보면, 대체로 진룡황 V.F.D. VS 진룡봉황 정도의 대결 구도가 만들어진다. 각각의 테마 특성도 다르고, 마법/함정 카드의 서포트를 공유한다는 점을 제외하면 서로 간의 시너지가 적어[* 오히려 상극인 면이 강한데, 어드밴스 소환(진룡)은 몬스터 소환을 위해서 패를 써야 하는 만큼 패를 줄여버리는 패 파괴(진룡황)와는 맞지 않는 면이 있다.] 따로 덱을 구축하는 게 좋다. 주로 '진룡 덱'이라고 하면 맥시멈 크라이시스에서 발매된 진룡 몬스터를 주축으로 하는 어드밴스 소환 덱을 의미하며, 진룡황은 단일 덱을 구축하기보다는 다른 덱에 용병으로 들어가는 경우가 많다. === 진룡황 === ==== 특징 ==== ||<#505b89>
<:>'''{{{#FFFFFF "진룡황, 진룡봉황" 효과 몬스터의 공통 효과}}}'''|| ||①: 자신 메인 페이즈에 발동할 수 있다. 이 카드 이외의 패 및 자신 필드의 앞면 표시 몬스터 중에서, (자신과 같은 속성) 속성 몬스터를 포함하는 몬스터 2장을 골라 파괴하고, 이 카드를 패에서 특수 소환하여, (자신과 같은 속성) 속성 몬스터 2장을 파괴했을 경우, (각 몬스터마다 고유 효과를) 한다. || ||②: 이 카드가 효과로 파괴되었을 경우에 발동할 수 있다. (각 몬스터마다 고유 효과를) 한다. || ||<#505b89>
'''{{{#FFFFFF "진룡황, 진룡봉황" 효과 몬스터의 효과 비교}}}'''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보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
'''{{{#FFFFFF 카드명}}}''' || '''{{{#FFFFFF ①의 효과}}}''' || '''{{{#FFFFFF ②의 고유 효과}}}''' || || 진룡황 아그니마즈드V ||화염 속성 몬스터를 포함하는 몬스터 2장을 골라 파괴하고, 이 카드를 패에서 특수 소환하여, 화염 속성 몬스터 2장을 파괴했을 경우, 상대의 필드 / 묘지에서 몬스터 1장을 골라 제외할 수 있다. ||자신 묘지에서 화염 속성 이외의 환룡족 몬스터 1장을 골라 패에 넣는다. || || 진룡황 바하루스토스F ||물 속성 몬스터를 포함하는 몬스터 2장을 파괴하고, 이 카드를 패에서 특수 소환하여, 물 속성 몬스터 2장을 파괴했을 경우, 상대의 필드 / 묘지에서 마법 / 함정 카드를 2장까지 고르고 제외할 수 있다. ||덱에서 물 속성 이외의 환룡족 몬스터 1장을 수비 표시로 특수 소환한다. || || 진룡황 리토스아지무D ||땅 속성 몬스터를 포함하는 몬스터 2장을 파괴하여, 이 카드를 패에서 특수 소환하고, 땅 속성 몬스터 2장을 파괴했을 경우, 상대의 엑스트라 덱을 확인하여 그 중에서 몬스터를 3종류까지 고르고 제외할 수 있다. ||자신 묘지에서 땅 속성 이외의 환룡족 몬스터 1장을 고르고 특수 소환한다. || || 진룡봉황 마리암네 ||바람 속성 몬스터를 포함하는 몬스터 2장을 파괴하고, 이 카드를 패에서 특수 소환하여, 바람 속성 몬스터 2장을 파괴했을 경우, 상대의 덱 위에서 카드를 4장 제외할 수 있다. ||덱에서 바람 속성 이외의 환룡족 몬스터 1장을 패에 넣는다. ||}}}}}}}}} || 진룡황 몬스터는 룡검사 스토리라인이 오마주했다고 추정되는 [[나이트 건담 이야기]]상의 포지션은 마왕 [[지크 지온]]으로 보인다. 모티브는 묵시록의 [[짐승(성경)|짐승]]으로 보이나, 특이하게도 이름은 각 종교의 숭배 대상에서 따왔다.[* 인도 신화의 아그니는 불의 신으로 높은 위치에 있고 모든 신에게 가는 제물이 한번 거쳐 가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아후라 마즈다는 조로아스터교의 최고신이다. 그리스도와 알라는 말할 것도 없이 기독교와 이슬람교에서 유일신을 부르는 이름이다. 묵시록의 짐승의 경우 사탄과 동일시된다는 점에서 사탄 숭배가 모티브라고 보면 맞아떨어진다. 이 법칙을 마리암네에게 적용할 경우 성모 마리아에서 따온 이름을 갖고 있지만, 마리아는 천주교에서 높은 위치이기는 해도 숭배 대상은 아니란 점에서 진룡황에서 빠진 걸로 추정된다.] 몬스터들은 이하의 공통점을 공유하고 있다. 몬스터 간에 공통점을 가진다는 점이나, 속성 몬스터를 지원한다는 점에서 [[정룡]]과 비슷하다. 바람 속성 '''진룡황'''은 없지만, '''진룡봉황'''이 그를 대체한다.(몇 가지를 제외하고 진룡황의 법칙을 그대로 따른다). 마리암네도 공유하는 경향성은 ★로 표기. *레벨 9 환룡족 / 공격력+수비력=4800★ *①의 효과는 자신과 같은 속성을 포함하는 몬스터를 2장 파괴하면서 특수 소환★ *이와 동시에 같은 속성의 몬스터로만 2장 파괴했을 경우 제외 효과 사용 가능.[* 패에서 발동하는 효과의 처리가 계속되는 것이므로, [[스킬 드레인]]이나 [[데스티니 히어로 블루-D]]의 효과를 무시하고 제외시킬 수 있다.]★ 아그니마즈드부터 발매순으로 1~4장으로 대상이 1장씩 늘어난다. *②의 효과는 효과로 파괴되면 자신과 다른 속성의 환룡족 몬스터를 서포트★ *진룡검사 관련 카드군의 함정 카드의 일러스트에 등장[* 마리암네는 정반대로 마법 카드의 일러스트에 등장했다.] *~er로 끝나는 영어 이니셜이 이름 끝에 있음 *가슴이나 이마의 역삼각형 문양[* 진룡황의 부활의 일러스트를 보면, 이 문양은 V.F.D.(더 비스트)와 관계있는 듯하다. 마리암네와 그 휘하 진룡들의 문양과는 위아래로 대칭시킨 모양과 비슷하다.] *날개는 3쌍이 달려 있으며, 몸체에 붙은 날개 위아래로 공중에 떠 있는 날개 1쌍씩이 있다. 맨 위의 날개는 조류나 천사의 날개처럼 하얀 깃털이 나있고, 맨 아래의 날개는 박쥐나 악마의 날개처럼 생긴 검은 날개이며, 이 날개의 시작점에 보랏빛 보석이 박혀있다.[* 진룡봉황은 그냥 하얀 날개 3쌍이다. 아이러니하게도 이 특징만은 진룡검황이 공유한다.] [[유희왕 마스터 듀얼]]에서는 등장 시크릿 팩은 없으며, 메인 몬스터는 전원 SR 등급이다. ==== 역사 ==== [[더 다크 일루전]]에서부터 부스터당 한 종류씩 나왔다. 자신 패/필드의 카드를 능동적으로 '''파괴'''하고 소환한다는 컨셉이 파괴되었을 경우에 서치, 소환, 제거 효과를 발동이 가능한 [[공수의 고동]]의 공룡족 카드들, 룡성 카드들과 궁합이 좋아 활약했다. 주로 땅, 화염 속성의 진룡황을 채용하였으며, 특수 소환한 후 단순히 비트하거나 V.F.D.를 대표로 9랭크 엑시즈 소환을 하여 상대 몬스터의 효과 발동을 저지하는 방식으로 운용했다. 일명 '''[[진공룡성]]''' 덱. 2021년 신규 지원을 받은 [[스크랩(유희왕)|스크랩]]도 파괴 시 효과 발동, 땅 속성이라는 공통점 덕분에 채용하기도 한다. 그 외에도 진룡황 V.F.D.의 소환을 위해서 파괴가 목적이 아니여도 들어가는 경우도 있었지만, V.F.D.가 금지 카드가 되어서 무용지물이 되었다. 한때 환룡족이라는 공통점을 살려 [[상검]]이 채용한 적 있으나 V.F.D.의 금지로 빠르게 버려졌다. === 진룡 === ==== 특징 ==== ||<-2><#e2e0e5>
<:>'''"진룡" 효과 몬스터의 공통 효과'''|| ||<-2>이 카드를 앞면 표시로 어드밴스 소환할 경우, 몬스터 대신에 자신 필드의 지속 마법 / 지속 함정 카드를 릴리스할 수 있다. || ||<-2> || || 레벨 5/6[* 진룡기장 드라이어스Ⅲ세 제외.] ||①: 1턴에 1번, 어드밴스 소환한 이 카드가 존재하고, 상대가 마법 / 함정 / 몬스터의 효과를 발동했을 때에 발동할 수 있다. (각 몬스터마다 고유 효과를) 한다. || || 레벨 8/9 ||①: 이 카드는, 이 카드의 어드밴스 소환을 위해 릴리스한 카드와 원래의 종류(몬스터 / 마법 / 함정)가 같은 카드의 효과를 받지 않는다. || ||<-3><#e2e0e5>
'''"진룡" 몬스터의 효과 비교''' || ||<-3>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보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
'''카드명''' || '''레벨''' || '''①의 고유 효과''' || || 진룡도사 마제스티M || 5 ||덱에서 "진룡" 몬스터 1장을 패에 넣는다. || || 진룡전사 이그니스H || 5 ||덱에서 "진룡" 지속 마법 카드 1장을 고르고, 패에 넣거나 자신 필드에 발동한다. || || 진룡권사 다이너마이트K || 6 ||덱에서 "진룡" 지속 함정 카드 1장을 고르고, 패에 넣거나 자신 필드에 발동한다. || || '''카드명''' || '''레벨''' || '''②의 효과''' || || 진룡검황 마스터P || 8 ||어드밴스 소환한 이 카드가 존재할 경우, 1턴에 1번, 자신 묘지에서 지속 마법 / 지속 함정 카드 1장을 제외하고, 이 카드 이외의 필드의 카드 1장을 대상으로 하여 발동할 수 있다. 그 카드를 파괴한다. 이 효과는 상대 턴에도 발동할 수 있다. || || 진룡기병 다스메타트론 || 9 ||어드밴스 소환한 이 카드가 상대에 의해 파괴되었을 경우에 발동할 수 있다. 땅 / 물 / 화염 / 바람 속성 중 어느 융합 / 싱크로 / 엑시즈 몬스터 1장을 엑스트라 덱에서 특수 소환한다. ||}}}}}}}}} || 진룡검사 마스터P와 진룡황, 진룡봉황 마리암네를 제외한 [[맥시멈 크라이시스]]의 진룡 테마는 몬스터들의 경우 몬스터 대신 자신 필드의 지속 마법 / 함정 카드를 릴리스[* 뒷면 표시의 지속 마함을 릴리스하는 것도 가능하다.]해서 어드밴스 소환할 수 있으며, 어드밴스 소환했을 시에만 자신의 효과를 발동할 수 있는 게 특징이다. 그리고 진룡의 자각을 제외한 진룡 마법 / 함정은 어드밴스 소환권을 늘려주는 효과와 필드에서 묘지로 가면 각각 마함과 몬스터를 파괴하는 효과가 있다. 진룡 마법은 자신 턴에 패 어드밴티지를 버는 효과가 있고, 진룡 함정은 상대 턴에 필드의 진룡 마함을 능동적으로 묘지에 보내 진룡 마함을 견제기로 사용할 수 있게 해 준다. 전용 필드 마법을 통한 서치, 진룡 지속 마법 / 함정의 효과 등을 통해 어드벤티지를 벌어 내성을 얻은 진룡검황을 어드밴스 소환해 승기를 가져오는 식의 플레이가 요구됐다. [[삼환마|지속 마법 / 지속 함정 카드를 릴리스해]] 어드밴스 소환이 가능하다는 컨셉 때문에, 지속 마법으로 취급하는 [[보옥수]]나, 지속 함정인 [[함정 몬스터]] 덱에서의 활용을 고려해 볼 수도 있을 것이다. 모티브는 알가스 기사단. ==== 역사 ==== 맥시멈 크라이시스 발매 이후 하루 만에 티어권에 올라갔다. [[차원 장벽]]이나 [[증식의 G]]도 안 맞는, 메타에 최적화된 덱이었기 때문. 전개가 느리다는 [[어드밴스 소환]]의 단점을 일반 소환권 소모 없는 어드밴스 소환과 릴리스 소재로 할 수 있는 지속 마법 / 함정이 해결해 줬다. [[십이수(유희왕)|십이수]]를 섞은 덱이 주로 입상했지만, 섞지 않은 순수 형식의 덱도 대회 상위권에 올라갈 정도로 카드군 자체의 성능이 강했다. 신 마스터 룰 이전에도 순수 진룡으로 그 십이수에 비벼볼 수 있을 정도로 강한 테마였는데, 신 마스터 룰 이후 엑스트라 덱 테마는 상대적으로 약해진 반면 진룡은 어드밴스 테마이므로 링크 소환으로 인한 피해가 미미하다. 다른 덱이 약화되면 오히려 이득을 보면 봤지 약해지진 않을 것이란 게 중론이다. 이 외에도 순위권 내의 유저 대부분이 십이진룡으로 출전하는 등 역대급 강덱임이 다시 한번 증명됐다. 강한 축에 속한 과거 어드밴스 테마인 제왕의 단점이던 메인 몬스터들의 내성 부재, 패 말림, 제물 충당을 종기와 진원에 의존해야 함, 제왕 마법 / 함정의 의존도가 높아 덱 자체를 유동적으로 구성할 수 없다는 점 등의 많은 단점이 보완됐기에 사실상 제왕의 상위 호환. 게다가 진룡은 [[제왕(유희왕)|진제왕영역]]이나 [[제왕의 열선]] 같은 제왕의 강력한 마법 / 함정도 쓸 수 있다. 물론 제왕 자체가 핵심 카드인 범신이 제재됐을 당시에 많이 약화된 것도 있고 제왕은 제왕 나름대로의 견제기가 있어서 진룡과는 차별점을 두고 있긴 하다. 2017년 4월 금제에서 타격을 전혀 안 입은 덕분에 순수 진룡은 물론 [[소환수(유희왕)|소환수]], [[WW(유희왕)|WW]], [[메탈포제]], [[Kozmo]], [[제왕(유희왕)|제왕]], [[십이수(유희왕)|십이수]] 등 여러 테마들과도 섞여 많은 우승을 했다. 이로 인해 2017년 7월에 제재를 받았다. 서치의 핵으로 작용하던 드래고닉D와 필드 장악의 중심인 진룡검황 마스터P가 제한, 드래고닉D를 서치할 [[테라포밍(유희왕)|테라포밍]]도 준제한을 먹어 안정성이나 장악력이 떨어졌다. 함께 섞어 쓰던 카드들도 상황은 암울했는데, 십이수는 불혼의 금지로 용병의 가치를 상실했고 [[생명 단축의 패]]도 준제한이 돼서 큰 피해를 입었다. 하지만 여전히 강했고, 금제 이후에도 [[소환수(유희왕)|소환수]], [[WW(유희왕)|WW]]를 용병으로 투입해 상대를 압박하거나 [[생명 단축의 패]] 혹은 [[마도서사 바테르]], 그리모의 마도서, 루드라의 마도서로 부족해진 어드밴티지 벌이 수단을 메꾸는 등의 방법으로 티어권에 머물렀다. 기어이 2017년 10월에 진룡검황 마스터P와 드래고닉D가 '''금지''', 진룡권사 다이너마이트K와 진룡의 계승, 진룡황의 부활이 각각 '''제한''', 용병으로 투입됐던 소환수와 [[마도서(유희왕)|마도]]가 제한, WW가 준제한이 됐다. 이후엔 생명 단축의 패를 채용하는 형태가 주가 됐으며, 기존엔 투입하지 않았던 기장과 기병을 투입하기 시작했고 [[스킬 드레인]]이나 [[번개왕]] 같은 메타 카드의 비중을 훨씬 늘려 [[메타비트]] 형태로 완전히 전향했다. 이후 상당히 약화돼 금제로 제재가 조금씩 풀렸으며, 금지인 진룡검황 마스터P와 제한인 드래고닉D를 제외한 카드들이 전부 풀렸다. 금제가 완화되면서 점점 활약이 늘어가며, 바로 대회에서 1.5~2티어로 급부상했다. ==== 장점 ==== *우수한 견제력 진룡 지속 마법들은 필드에서 묘지로 보내졌을 때 상대 마법 / 함정 1장을 파괴할 수 있고, 진룡 지속 함정들은 필드에서 묘지로 보내졌을 때 상대 몬스터 1장을 파괴할 수 있다. 또한 진룡 지속 함정들로 [[제왕(유희왕)|연격의 제왕]]처럼 상대 턴에 어드밴스 소환할 수도 있다. 따라서 진룡권사 다이너마이트K를 통해 덱에서 발동한 진룡 지속 함정으로 상대 메인 페이즈에 진룡 몬스터를 진룡 지속 마법 / 함정을 릴리스해 어드밴스 소환함으로써 진룡 마법 / 함정의 유언 효과를 발동해 상대 핵심 몬스터는 물론 마법 / 함정까지도 능동적으로 파괴할 수 있다. 때로는 상대 턴에도 [[제왕의 열선]]과 진룡 지속 함정을 통해 상대 몬스터를 릴리스할 수도 있다. 진룡의 묵시록의 효과로도 상대 턴에 진룡 마법 / 함정을 파괴해서 진룡 마법 / 함정의 유언 효과를 발동할 수도 있다. 또한 지속 마법 / 함정을 원하는 타이밍에 치울 수 있기에 효과가 필드 전체에 미치는 여러 마법 / 함정 카드를 타이밍을 잘 맞춰서 치워서 상대를 효과적으로 견제할 수 있다. *어마어마한 어드밴티지 수급력 진룡 몬스터들은 상대가 효과를 발동할 시 진룡 카드를 서치하거나 발동할 수 있는데, 이 덕분에 상대가 [[파괴수(유희왕)|파괴수]]나 카운터 함정 등으로 막지 않는 이상, 무조건 어드밴티지 +1을 할 수 있다. 그리고 진룡 지속 마법은 드로우 효과들을 갖고 있어서 상대는 마법 / 함정 유언 효과에 의해서 손해를 보는데, 이쪽은 어드밴티지를 계속 충당해 어드밴티지양 차이를 벌릴 수 있다. 또한 진룡 몬스터들은 진룡 지속 마법 / 함정들을 통해 어드밴스 소환만으로 전개를 할 수 있는데, 이 덕분에 하급 몬스터를 투입할 필요가 없어 [[생명 단축의 패]]를 투입할 수 있어서 다른 견제 카드들을 맞아도 그만큼 다시 채울 수 있다. 즉, 대부분의 진룡 카드들이 서치 및 드로우 능력을 갖기에 어드밴티지 수급력이 굉장히 뛰어나다. 이러한 강점들로 인해 돌파력도 우수한 편이다. *싼 가격 맥시멈 크라이시스에 수록된 관련 카드로 진룡덱을 구성할 경우, 진룡검황과 진룡기병을 제외한 카드들이 전부 노멀 혹은 레어 카드이며, 엑스트라 덱도 거의 안 쓰기에 그렇게 값이 비싸지 않다. 필드 마법인 드래고닉D는 노멀 레어가 아닌 노멀 카드임에도 수요가 너무 높아서 가격이 꽤 나갔었지만 2017년 7월 금제에 걸리며 수요가 줄어들어 가격이 진정됐다. 진룡이 금제로 티어에서 물러나고 나선 진룡 덱의 최대 의의가 됐는데, 레어도가 높은 카드도 그리 비싼 편은 아니기에[* 특히 [[생명 단축의 패]]가 [[더 레어리티 컬렉션]]에서 재록되며 가격이 대폭 내려갔다.] 샵가로 최소 1~1.5 정도로 덱을 하나 맞출 수 있다. 이 정도면 저렴한 덱으로 정평이 난 [[제왕(유희왕)|제왕]], [[사이버 엔젤]] 등보다도 훨씬 저렴하다. 물론 [[번개왕]], [[인스펙트 보더]], 범용 및 초융합용 엑트 몬스터 등 여러 비싼 몬스터가 들어가면 가격이 많이 올라가긴 한다. 생단패를 위주로 쓰는 덱 특성상 비싼 [[패 트랩]]도 거의 채용을 안 하기에 가성비 좋은 덱 중 하나로 평가받는다.[* 생명 단축의 패와의 충돌을 막고자 능동적으로 내 턴에 버릴 수 있어서 큰 상관이 없는 증식의 G나 함정형 패 트랩인 무한포영, 길항승부, 레드 리부트, 타이푼 등은 좀 쓰긴 한다.] ==== 약점 ==== *드래고닉D의 금제로 인해 약화된 후공 능력 진룡에서 다른 카드들이 약하거나 쓸모없는 건 아니지만, 기본적으로 진룡의 핵심은 필드 마법 드래고닉D였다. 이 드래고닉D는 때에 따라선 패 말림이 있을 수 있는 진룡 덱의 문제점을 단번에 해결해 줬고, 효율적인 어드밴티지 확보와 여러 상황에 대한 대처도 쉽게 할 수 있게 했다. 하지만 드래고닉D의 금지 이후 진룡은 생명 단축의 패를 이용한 지속 함정 위주의 장기전 지향 덱으로 변화했고, 그 때문에 극단적으로 선공을 지향하며 패 트랩 활용이 쉽지 않다. 상대에게 선공을 넘긴 듀얼에선 기껏해야 무한포영 정도만을 효율적으로 쓸 수 있는 편이며, 상대 빌드를 뚫고 들어가기도 힘들다. 때문에 일부 유저는 조금이나마 후공 대응을 강화하기 위해 제왕의 열선까지 채용하기도 한다. 그나마 드래고닉D가 2019년 10월에 제한으로 풀려 숨통이 트였다. *떨어지는 전개력 [[어드밴스 소환]] 테마라 기본적으로 릴리스를 요구하는데 마법 / 함정 릴리스 가능으로 소환 자체는 크게 무리없이 해내지만, 엑스트라 덱 위주의 대부분의 테마 덱에 비하면 전개가 더디다. 패 1~2장으로도 대량 전개는 물론 상위급 엑스트라 덱 몬스터 소환까지 척척 해내는 다른 테마에 비해 진룡은 필드 전개를 위해 요구하는 카드 수도 더 많고 릴리스를 하면서도 특수 소환 수단은 빈약하기에 대량 전개가 어려운 구조다. 그래도 진룡이 티어권에 있었을 땐 진룡검황 마스터P의 강력한 효과와 내성을 노리고 다른 덱에 용병으로 채용되는 경우가 많았으며, 순수 진룡 덱의 경우에도 부족한 전개력을 상술한 상대 견제 효과와 뛰어난 어드밴티지 수급력으로 메꾸므로 비교적 작은 문제다. *제외에 취약함 진룡 마함은 필드에서 묘지로 가야만 유언 효과를 쓸 수 있다. 즉 카드가 제외되면 상대 돌파나 견제 면에서 크게 약화된다. *타점의 한계 상급 진룡이 낼 수 있는 공격력의 한계는 2500, 드래고닉 D까지 합하면 2800이다. 여기서 공격력을 더 올릴 수단이 거의 없어[* 엑스트라 덱 몬스터 소환이나 진제왕영역 정도밖에 없다.] 진룡의 묵시룩의 보조를 받아야 하는데, 반대로 말하자면 묵시룩이 없으면 공격력 2900 이상의 몬스터를 전투로 상대하기 매우 힘들어진다. 특히 완전내성이 있는 [[BF-풀아머드 윙]]이나 [[참기(유희왕)|염참기 파이널시그마]]가 뜨면 크게 불리해진다. 공격력 3000인 다스메타트론이 있긴 하지만, 제물을 3장이나 먹기에 소환에 자원 소모가 힘들고, 역시 3000이 넘는 몬스터에게는 쩔쩔매야 한다. ==== [[유희왕 마스터 듀얼]] ==== 진룡황과 마찬가지로 등장 시크릿 팩은 없지만 [[테라포밍]], [[메타버스]], [[왕궁의 칙명]]을 제외하면 필수 UR가 없고, 범용 패트랩 역시 거의 들어가지 않아서 덱 값이 엄청나게 싸다. 진룡 카드군 내에서 SR이라고 해봐야 진룡권사와 드래고닉D가 끝이고 그 외의 카드들은 전부 R 또는 N, 범용 SR조차 [[생명 단축의 패]], [[욕망과 겸허의 항아리]], [[스킬 드레인]], [[어전시합]] 정도가 끝이다. 여기서 더 커스터마이징해봐야 진룡기병(SR) 또는 [[대대적 체포작전]](UR)+엑스트라 덱 빌드를 구축하냐정도. OCG에 이어 가성비 덱의 입지를 다지고 있다. 단점은 가성비 카드군인 만큼 선공을 잡지 못한다면 티어권 덱들과 승부를 하기 어렵다. 덱 구성상 패 트랩이 거의 들어가지 않고 자연스럽게 패 트랩 케어 역시 불가능한데다 환경에서 엑스트라 덱을 비워야 하는 유일한 덱이다보니 상대방에게 파악당하면 거침없이 전해하기에 이를 뚫기 쉽지 않다. 여기에 어드밴스 소환이다보니 진룡 몬스터와 제물에 쓸 마함을 동시에 필요로 하기에 패 말림도 있고, 수동적인 몬스터 효과를 제외하면 서치 카드가 드래고닉D밖에 없어서 원하는 카드를 가져오기 어렵다. 비록 SR라 부담이 적다고는 하지만 생단패, 욕겸은 서비스 초기의 진룡말고 거의 안쓰는 카드[* 생단패는 비티어권인 [[클리포트(유희왕)|클리포트]]에서나 사용하고, 욕겸 역시 비티어권인 [[제왕(유희왕)|제왕]], [[서브테러]]와 [[후완다리즈]]에서나 쓴다.]라는 점도 소소한 단점. 이외에도 플레이스타일 특성상 [[엘드리치(유희왕)|엘드리치]]의 하위 호환에 가까워서 엘드리치 덱을 첫 덱으로 구성했다면 굳이 진룡을 만들 필요는 없다. 아무리 싼 테마라고 해도 제대로 굴리려면 SR 가루가 꽤나 많이 깨진다. 엘드리치가 진룡보다 필수 카드가 적어서 훨씬 유연한 구성을 할 수 있고, 덱 구성에 따라 차이가 있지만 엘드가 못하는 플레이보다 진룡이 못하는 플레이가 더 많다. 그래도 이론상 스킬 드레인이 덱에 6개나 있었기에 적극적으로 억제할 수 있지만 스킬 드레인 자체를 무시하는 [[얼터가이스트]]와의 상성은 그렇게까지 좋은 편은 아니며 얼터가이스트 입장에서도 마함을 릴리스 하면서 상대 마함을 파괴하는 진룡의 기믹이 꽤나 껄끄러운 편이라 서로가 부담스럽다. 패만 좋다면 당시 티어권에서 악랄하기로 유명한 [[드라이트론]]을 상대로도 후공에서 우위를 점할수도 있다.[* 먼저 진룡덱 자체가 거의 어드밴스 소환위주로 굴러가다보니 [[얼티미트 디클레어러]]의 효과 범위에 들어가지 않고, 무엇보다 디클레어러 카드들의 퍼미션 효과가 몬스터의 효과와 더불어 마법/함정 '''카드의 발동'''에 대해서 적용되다보니 묘지에서 효과 발동 처리되는 진룡 함정들의 효과를 막을수가 없다. 손패에 진룡 함정 하나와 몬스터 하나만 있어도 손쉽게 집을 부술수 있다.] 이렇듯 랭크에서는 좀 애매한 위치지만, 반대로 이벤트 듀얼로 넘어가면 상황이 반전되어 페스티벌 빌런 덱 취급을 받았다. 각종 티어권 카드들이 날뛰는 것을 막기 위해 코나미 측에서 금지를 먹이고 진행되다보니 자연스래 힘을 쓰기 좋은 환경이 조성되었고[* 엑시즈 페스티벌에서는 진룡 몬스터들이 전부 금지 당해 덱 구축 자체가 불가능했으나, N/R은 묵시록만 제한, 싱크로는 도사와 권사만 제한을 먹은 정도라서 충분히 활용할 수 있었다.], 가성비가 매우 싼 덕분에 재화가 부족해 덱을 맞추기 어려운 유저라도 쉽게 장만할 수 있었기 때문이다. 특히 페스티벌에서 주어지는 렌탈 덱들은 하나같이 성능이 수준 미달인 경우가 대부분이라서 유저가 미리 커스텀한 덱을 상대로는 아무것도 못하고 발리는 경우가 많은데, 진룡은 이들을 상대로도 실력에 따라 대등하게 맞서싸울 성능을 지니고 있어서 더욱 사랑받을 수 밖에 없었다. 아예 이벤트 듀얼 때만 쓸 목적으로 진룡 덱을 맞추는 유저까지 있었을 정도. 지금까지 열린 이벤트 듀얼들이 엑스트라 덱을 제한하거나 레어도를 제한하는데 대부분의 카드들이 높은 레어도도 없고 엑스트라 덱도 안쓰기 때문에 단순히 점수만 벌기에 좋은 덱으로 많은 사람들이 애용했다. 이렇다보니 거지 유저들에게는 사실상 필요악이자 구세주와도 같은 존재였지만, 메타비트라는 특성상 상대하는 입장에서 필연적으로 불쾌감이 밀려올 수 밖에 없고, 어찌되었든간에 이벤트 듀얼의 근간을 직접적으로 훼손시킨다는 문제가 매우 심각했기 때문에 유저들 사이이서 악명이 매우 자자했다. 특히나 3회차 이벤트인 싱크로 페스티벌에서는 아예 진룡 페스티벌이라고 불릴 정도로 진룡 덱이 항상 튀어나와서 욕을 엄청 먹었고, 차후 퓨전 페스티벌에서 스킬 드레인, 서몬 리미터 등을 추가로 제재했음에도 엘드리치와 혼합한[* 융합 몬스터가 존재하는 테마라서 그런지 페스티벌에서 처음으로 황금경 엘드리치가 제한이 되었다.] 진룡이 활개치면서 페스티벌 빌런 덱 자리를 여전히 지키고 있었가. 이런 상황이 몇달간 이벤트에서 계속되자, 결국 리미트 원 페스티벌에서 진룡권사가 금지가 되었다. 구조상으로 진룡 덱을 정상적으로 굴릴 수 없는 이벤트임에도 불구하고 이렇게 큰 제재를 가했다는 것에서 얼마나 원성이 컸는지 알 수 있는 부분. 그 후에 엑스트라 제로 페스티벌에서 진룡권사가 무제한으로 돌아왔으나, 진룡을 위한 페스티벌임에도 불구하고 더 많은 범용 함정 카드와 진룡 함정 카드가 제재를 받아 아예 덱 자체를 굴리지 못하게 되었고, 이후의 페스티벌에서도 제재가 계속 유지되면서 끝내 페스티벌 전용 덱이라는 타이틀에서 완전히 물러나게 되었다. 한참 후에 빛 & 어둠 속성 이외의 4속성 몬스터를 사용하는 어트리뷰트 4 페스티벌에서 겨우 한 번 풀어줬으나, 이번에는 수 많은 금제와 파워 인플레 때문에 활약할 각이 안나와서 부활하지 못했다. 엎친데 덮친 격으로, 2023년엔 진룡이 사용하던 카드를 다른 덱들이 채용률이 높아지면서 간접적으로 피해를 입었는데, 1월 금제에선 [[루닉]]으로 인해 [[생명 단축의 패]]와 [[욕망과 겸허의 항아리]]가 준제한이 되었으며 3월엔 [[스킬 드레인]], [[군웅할거]]가 일제히 제한이 되었다. 심지어 6월 금제에서 [[티아라멘츠]]의 필드마법인 일세괴 서치를 어렵게 하기 위함으로 [[테라포밍]]이 금지되어 가뜩이나 제한 카드인 드래고닉 D를 끌어와서 사용하기 힘들어졌다. 스킬 드레인이야 엑스트라 덱 미구축시 제왕의 용격으로 대체할 수 있었지만 드로우 카드와 드래고닉 D는 진룡의 운용과 전개에 있어 필수적인 카드다보니 피해가 심하다. 따라서 작정하고 진룡을 사용하겠다면 제왕 카드인 진제왕영역[* 자신의 엑스트라 덱에 카드가 존재하지 않으며, 자신 필드에만 어드밴스 소환된 몬스터가 존재할 경우, 엑스트라 덱에서 몬스터 특수 소환할 수 없다.]까지 고려할 필요가 있다. ==== 참고 카드 ==== *지속 마법 / 함정 카드 *[[마법 봉인의 방향제]]: 마법 카드의 발동을 늦춰주는 지속 함정 카드. [[왕궁의 칙명]]이 금지 카드가 되어 이 쪽을 써야 한다. *[[스킬 드레인]]: 몬스터의 효과를 무효화하는 지속 함정 카드. 진룡 몬스터의 서치 효과도 못 쓰게 되지만, 진룡 몬스터는 상급 몬스터라서 전투력도 어느 정도 있고, 역시 필요가 없어지면 어드밴스 소환으로 치우면 된다. *[[제왕(유희왕)|제왕의 용격]]: 스킬 드레인의 상호 호환. 어드밴스 소환한 몬스터가 필드에 있어야 하지만, 어드밴스 소환한 몬스터는 효과가 무효화되지 않는다. 또한 엑스트라 덱에 몬스터가 있으면 안 되기에, 엑스트라 덱을 안 쓰는 경우에 채용한다. *[[깨어나지 않는 악몽]]: LP가 받쳐주는 한 앞면 마함을 부술 수 있게 해 주는 지속 함정 카드. *[[차원의 틈]], [[매크로 코스모스]]: 상대 묘지를 견제하는 지속 마법과 지속 함정. 진룡의 입장에선 진룡황의 부활 외엔 묘지를 안 써서 쓰기 편하다. 다만 매크로 코스모스는 진룡 마함을 제외 존으로 날려 유언 효과를 못 쓰게 만들기 때문에 사용하다가 적절히 치워 줘야 한다. *[[군웅할거(유희왕)|군웅할거]], [[어전시합(유희왕)|어전시합]], [[센서 만별]]: 상대의 몬스터 전개를 견제하는 카드. 다만 어전시합과 센서 만별은 진룡 쪽에도 영향이 많이 가기에 사용 타이밍을 잘 재야 한다. *[[제왕(유희왕)|연격의 제왕]]: 상대 턴에 어드밴스 소환할 수 있게 해주는 카드. 진룡 지속 함정과의 차별점이라면 배틀 페이즈에도 가능하다는 점과 진룡 함정의 ①의 효과와 체인이 가능하다는 점이 있다. *[[미스테이크]]: 상대의 서치를 막는 지속 함정 카드. *[[덱 로크]]: 서치와 덱 특수 소환을 막는 지속 마법 카드. 2턴 뒤에 파괴된다는 점이 단점으로, 미스테이크의 대처용으로 쓰인다. *[[서몬 리미터]]: 서로의 소환 횟수를 제한하는 카드. 진룡 덱은 특성 상 특수 소환을 2번 이상 하는 경우가 거의 없기 때문에 사실 상 상대만 적용된다고 보면 된다. *[[금지령(유희왕)|금지령]]: 선언한 카드 1장을 못 쓰게 만드는 지속 마법 카드. 특정 덱에 한해서 유용하다. *그 외 카드 *[[초융합]]: 엑스트라 덱의 의존도가 매우 낮아 채용에 부담이 없다. * [[희생양(유희왕)|희생양]], [[넘버즈 에버이유]], [[패왕룡의 혼]]: 강력한 엑스트라 덱 몬스터를 사용할 수 있게 해주는 카드. 역시 엑스트라 덱의 의존도가 매우 낮기 때문에 채용에 부담이 없다. *[[제왕의 열선]]: 상대 필드의 몬스터를 릴리스하고 어드밴스 소환할 수 있게 해준다. *[[제왕(유희왕)|진제왕영역]]: 상대 엑스트라 덱 소환 봉인 + 타점 보완. *[[제왕(유희왕)|범신의 제왕]]: 덱에 제왕 마함의 비율이 높아지면 쓴다. *[[브릴리언트 퓨전]]+[[젬나이트#젬나이트 세라피|젬나이트 세라피]]: 일반 소환권을 늘려 주고, 5레벨 엑시즈 소재로도 사용할 수 있다. *[[유려한 환랑]]: 환룡족 전용 몬스터 서치 카드. *[[욕망과 졸부의 항아리]]: 엑스트라 덱을 거의 안 쓰는 입장에서 유용하지만, 발동한 턴 드로우가 봉인되고 생명 단축의 패나 희생양 등과 충돌해서 애매하다. *[[황금경 엘드리치]]: 지속 마함을 자주 사용하는 특성 상 효과 사용과 소환이 간편하다. *[[앤카모플라이트]]: 혼자 1드로우+제물 마련을 해 주는 몬스터. 엑스트라 덱이 없어야만 사용이 가능하기에 진제왕영역을 채용하거나, 진룡제왕 덱에서만 투입해 볼 수 있다. *[[빙결계(함정 카드)|빙결계]]: 상대 공격 몬스터를 저지하는 목적으로도 사용하지만, 묘지에서 제외하면 진룡권사 다이너마이트K를 서치할 수 있다. [[어리석은 부장]]으로 바로 묻어서 서치 효과만 사용해도 좋다. *[[후완다리즈#후완다리즈와 무서운 바다|후완다리즈와 무서운 바다]]: 어드밴스 소환된 몬스터가 있어야만 발동할 수 있는 카운터 함정 카드. 상대 몬스터의 특수 소환을 무효로 하고 이후 특수 소환도 막아 버린다. * [[소환제한|소환제한-엑스트라넷]]: 상대방이 엑스트라 덱에서 특수 소환할때 마다 드로우 하는 카드. 엑스트라 덱을 거의 안쓰고 필드마법 카드가 부족한 진룡덱에게 있어서 채용될 만하다. ==== 주의해야 할 카드 ==== *어드밴스 소환 자체를 막을 수 있는 [[제물봉인 가면]], [[언데드 월드]] *진룡 지속 마법 / 함정의 유언 효과를 효과적으로 막아 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진룡 지속 마법의 어드밴티지 확보를 막는 [[매크로 코스모스]] *상대만 적용되는 매크로 코스모스 효과에, 서치나 드로우시 패 1장을 제외할 수도 있는 [[마스크드 히어로 다크 로우]] *묘지에서 발동하는 효과를 막는 [[심연에 숨은 자]] *마법 / 함정의 유언 효과를 발동 못 하게 제외할 수 있는 [[코즈믹 싸이크론]] *마법 / 함정을 패에서 파괴하는 [[어둠의 덱 파괴 바이러스]] *[[파괴수(유희왕)|파괴수]]처럼 상대 몬스터를 릴리스하고 특수 소환하는 몬스터 *[[하루 우라라]]: 생명 단축의 패나 진룡 필드 마법에 의한 서치를 막을 수 있다. *[[유령토끼]]: 필드 마법이나 진룡 지속 마법 / 함정 효과를 자르는 데 쓸 수 있다. *어마어마한 어드밴티지 확보를 막을 수 있는 [[드롤 & 로크 버드]] *진룡 서치를 막아버릴 수 있는 [[미스테이크]] *[[신의 경고]], [[신의 심판]], [[승천의 뿔피리]] 등 소환 자체를 무효로 하는 카드 *진룡 필드 마법, 지속 마법의 효과를 막아줄 수 있는 [[매직 디플렉터]] *유일한 고타점 내성 몬스터인 다스메타트론의 유언 효과를 못 쓰게 만드는 [[SNo.39 유토피아 더 라이트닝]] == 효과 몬스터 == === 레벨 5 === ==== 진룡도사 마제스티M ==== [[파일:external/www.ka-nabell.com/card100046236_1.jpg]] [include(틀:유희왕/카드, 몬스터=, 효과=, 한글판명칭=진룡도사 마제스티M(메이든), 일어판명칭=真竜導士(しんりゅうどうし)マジェスティM(メイデン), 영어판명칭=Majesty Maiden\, the True Dracocaster, 속성=바람, 레벨=5, 공격력=2300, 수비력=1500, 종족=환룡족, 효과외1=이 카드를 앞면 표시로 어드밴스 소환할 경우\, 몬스터 대신에 자신 필드의 지속 마법 / 지속 함정 카드를 릴리스할 수 있다., 효과1=①: 1턴에 1번\, 어드밴스 소환한 이 카드가 존재하고\, 상대가 마법 / 함정 / 몬스터의 효과를 발동했을 때에 발동할 수 있다. 덱에서 "진룡" 몬스터 1장을 패에 넣는다., )] [[마제스펙터]]의 힘을 계승한 진룡. 외견은 [[머리카락/금색|노랑 머리]]와 [[눈(신체)/노란색|노란 눈]]의 여자. 이름에 마제스펙터의 '''마제스'''가 들어가 있으며, 바람 속성이다. "진룡" 몬스터를 패로 넣는 효과를 가졌다. 진룡 마법 / 함정은 충분한데 몬스터가 부족할 때 유용하다. 모티브는 [[법술사 뉴]]. '''수록 팩 일람''' || '''수록 팩''' || '''카드 번호''' || '''레어도''' || '''발매 국가''' || '''기타 사항''' || || [[맥시멈 크라이시스]] || MACR-KR020 || [[노멀]] || 한국 || 한국 최초 수록 || || [[맥시멈 크라이시스|MAXIMUM CRISIS]] || MACR-JP020 || [[노멀]] || 일본 || 세계 최초 수록 || || [[맥시멈 크라이시스|Maximum Crisis]] || MACR-EN020 || [[울트라 레어]] || 미국 || 미국 최초 수록 || || 2018 Mega-Tin Mega Pack || MP18-EN004 || [[울트라 레어]] || 미국 || || || [[피스츠 오브 더 가제트|Fists of the Gadgets]] || FIGA-EN052 || [[슈퍼 레어]] || 미국 || || ==== 진룡전사 이그니스H ==== [[파일:external/www.ka-nabell.com/card100046239_1.jpg]] [include(틀:유희왕/카드, 몬스터=, 효과=, 한글판명칭=진룡전사 이그니스H(히트), 일어판명칭=真竜戦士(しんりゅうせんし)イグニスH(ヒート), 영어판명칭=Ignis Heat\, the True Dracowarrior, 속성=화염, 레벨=5, 공격력=2400, 수비력=1000, 종족=환룡족, 효과외1=이 카드를 앞면 표시로 어드밴스 소환할 경우\, 몬스터 대신에 자신 필드의 지속 마법 / 지속 함정 카드를 릴리스할 수 있다., 효과1=①: 1턴에 1번\, 어드밴스 소환한 이 카드가 존재하고\, 상대가 마법 / 함정 / 몬스터의 효과를 발동했을 때에 발동할 수 있다. 덱에서 "진룡" 지속 마법 카드 1장을 고르고\, 패에 넣거나 자신 필드에 발동한다., )] [[이그나이트]]의 힘을 계승한 진룡. 외견은 붉은 갑옷을 걸치고 있는 건장한 남성. 이름에 이그나이트의 '''이그'''가 들어가 있으며, 화염 속성이다. "진룡" 지속 마법 카드를 패에 넣거나 자신 필드에 발동하는 효과를 가졌다. 다른 중급 진룡 몬스터에 비해 덱에 투입 비율이 적다. 보통 서치 효과를 쓰는 타이밍은 상대 턴이 될 텐데, 진룡 지속 마법은 지속 함정과 달리 그때 발동하자마자 효과 발동이나 이득을 기대하기 어렵기 때문. 사이드 덱에 넣어뒀다가 후공을 잡았을 때 돌파력을 늘리기 위해 교체해서 투입하기도 한다. 한편 [[제왕(유희왕)|공격력 2400 / 수비력 1000]]이라 진룡 고유의 지원 외에도 제왕 마법 / 함정들의 서포트도 받을 수 있다는 것은 장점으로, 여차하면 이 카드를 제왕 덱에 용병으로 넣어서 패에 하급 몬스터가 없을 때 진격이나 개암 등을 릴리스하고 튀어나올 수도 있다. 포지션상의 모티브는 [[검사 제타]]. 그 외에도 금발의 가면남에 붉은색 장비를 착용하고 룡검사 스토리의 모티브가 건담으로 추측된다는 점 때문에 [[샤아 아즈나블]]이 디자인의 모티브란 설이 있다. '''수록 팩 일람''' || '''수록 팩''' || '''카드 번호''' || '''레어도''' || '''발매 국가''' || '''기타 사항''' || || [[맥시멈 크라이시스]] || MACR-KR021 || [[노멀]] || 한국 || 한국 최초 수록 || || [[맥시멈 크라이시스|MAXIMUM CRISIS]] || MACR-JP021 || [[노멀]] || 일본 || 세계 최초 수록 || || [[맥시멈 크라이시스|Maximum Crisis]] || MACR-EN021 || [[울트라 레어]] || 미국 || 미국 최초 수록 || || [[피스츠 오브 더 가제트|Fists of the Gadgets]] || FIGA-EN053 || [[시크릿 레어]] || 미국 || || === 레벨 6 === ==== 진룡권사 다이너마이트K ==== [[파일:external/www.ka-nabell.com/card100046242_1.jpg]] [include(틀:유희왕/카드, 몬스터=, 효과=, 한글판명칭=진룡권사 다이너마이트K(너클), 일어판명칭=真竜拳士(しんりゅうけんし)ダイナマイトK(ナックル), 영어판명칭=Dinomight Knight\, the True Dracofighter, 속성=물, 레벨=6, 공격력=2500, 수비력=1200, 종족=환룡족, 효과외1=이 카드를 앞면 표시로 어드밴스 소환할 경우\, 몬스터 대신에 자신 필드의 지속 마법 / 지속 함정 카드를 릴리스할 수 있다., 효과1=①: 1턴에 1번\, 어드밴스 소환한 이 카드가 존재하고\, 상대가 마법 / 함정 / 몬스터의 효과를 발동했을 때에 발동할 수 있다. 덱에서 "진룡" 지속 함정 카드 1장을 고르고\, 패에 넣거나 자신 필드에 발동한다., )] [[다이너미스트]]의 힘을 계승한 진룡. 외견은 초록색의 단단한 기계 갑옷을 착용한 남성. 이름에 다이너미스트의 '''다이너'''가 들어가 있으며, 물 속성이다. "진룡" 지속 함정 카드를 패에 넣거나 자신 필드에 발동하는 효과가 있다. 진룡 지속 함정 카드는 프리 체인 효과로 상대 턴에도 자신의 몬스터를 전개하거나 상대를 견제할 수 있기에 상대 턴에 지속 함정을 곧바로 필드에 내게 해 주는 이 카드의 중요성은 상당히 높다. 진룡 상급 몬스터 중 최고의 공격력을 가지고 있다는 점은 덤. 이 때문에 진룡 덱을 구축할 때는 무조건 3장 투입한다. OCG에서는 2017년 7월 금제 이후에도 진룡이 날뛴 이유로 지적되어 2017년 10월에 제한이 됐다가 이후 2019년 4월에 준제한, 7월에 무제한이 됐다. TCG에선 금지가 됐다가 진룡검황 마스터P와 자리를 바꿨다. [[유희왕 마스터 듀얼]]의 이벤트 듀얼 모드에서는, 이벤트 본연의 취지를 망각하고 진룡이 너무 날뛰는 바람에 제한 카드로 지정되었다. 진룡덱 구축의 필카이면서 다른 진룡들보다 유난히 못생겨서(...) 추남밈이 있다. 진룡덱의 유일한 단점/양심이라는 드립부터 머리를 바꾸는 패치 등이 나오기도 할 지경. 모티브는 [[투사 더블제타]]. '''수록 팩 일람''' || '''수록 팩''' || '''카드 번호''' || '''레어도''' || '''발매 국가''' || '''기타 사항''' || || [[맥시멈 크라이시스]] || MACR-KR022 || [[노멀]] || 한국 || 한국 최초 수록 || || [[어드밴스드 이벤트 팩]] 2017 Vol.2 || AE11-KR009 || [[슈퍼 레어]] || 한국 || 대회판 카드 || || [[맥시멈 크라이시스|MAXIMUM CRISIS]] || MACR-JP022 || [[노멀]] || 일본 || 세계 최초 수록 || || [[맥시멈 크라이시스|Maximum Crisis]] || MACR-EN022 || [[울트라 레어]] || 미국 || 미국 최초 수록 || || [[피스츠 오브 더 가제트|Fists of the Gadgets]] || FIGA-EN054 || [[슈퍼 레어]] || 미국 || || ==== 진룡기장 드라이어스Ⅲ세 ==== [[파일:external/www.ka-nabell.com/card100046245_1.jpg]] [include(틀:유희왕/카드, 몬스터=, 효과=, 한글판명칭=진룡기장 드라이어스()세, 일어판명칭=真竜騎将(しんりゅうきしょう)ドライアスⅢ世(さんせい), 영어판명칭=Dreiath III\, the True Dracocavalry General, 속성=땅, 레벨=6, 공격력=2100, 수비력=2800, 종족=환룡족, 효과외1=이 카드를 앞면 표시로 어드밴스 소환할 경우\, 몬스터 대신에 자신 필드의 지속 마법 / 지속 함정 카드를 릴리스할 수 있다., 효과1=①: 어드밴스 소환한 앞면 표시의 이 카드가 필드에서 벗어났을 경우에 발동할 수 있다. 덱에서 "진룡" 몬스터 1장을 수비 표시로 특수 소환한다., 효과2=②: 이 카드가 몬스터 존에 존재하는 한\, 이 카드 이외의 필드의 "진룡" 몬스터는 상대 효과의 대상이 되지 않으며\, 상대 효과로는 파괴되지 않는다., )] ①의 효과는 필드만 벗어나도 발동되는 효과. 파괴, 제외, 바운스, 릴리스에 모두 반응하는 우수한 효과로 자신과 같은 이름의 카드도 특수 소환이 가능하다. 진룡 몬스터를 어드밴스 소환하거나 진룡황 몬스터의 소환을 위해 파괴된 후 같은 레벨의 몬스터를 특수 소환해서 엑시즈 소환으로 이을 수 있다. ②의 효과는 자신 이외의 진룡 몬스터에게 효과 파괴 내성과 대상 지정 내성을 부여하며, 어드밴스 소환하지 않아도 적용 가능하다. 이 카드가 필드에 두 장 있으면 모든 진룡 몬스터에게 효과 내성을 씌워줄 수 있다. 진룡은 진룡의 묵시록으로 새크리파이스 이스케이프가 가능한 카드군이고, 터져도 진룡봉황의 사도와 진룡황의 부활로 회수가 가능해서 쓸모는 없다. 그나마 다이너마이트K와 마제스티M이 제한인 마스터 듀얼의 이벤트 듀얼에서는 몬스터 수를 채우기 위해 들어가고 있다. 외견은 고풍스러운 스타일의 은빛 갑옷을 입은 남성이다. 유일하게 [[룡검사]] 관련에선 연관된 카드군이 없지만, 다른 카드군의 힘을 얻었다는 설정이 유지된다면 같은 속성의 [[아모르파지]]일 가능성이 높다.[* 상급 진룡 3인의 카드군과 다스메타트론의 십이수, 메탈포제, 크리스트론을 빼면 아모르파지만 남는다. 이름인 '드라이어스 3세'의 경우에도 아모르파지 이라튬의 영칭 '아모르파지 고라이어스'의 '라이어스' 부분이 겹치는 면도 있다.] 모티브는 [[나이트 알렉스]]로 추정된다. '''수록 팩 일람''' || '''수록 팩''' || '''카드 번호''' || '''레어도''' || '''발매 국가''' || '''기타 사항''' || || [[맥시멈 크라이시스]] || MACR-KR023 || [[노멀]] || 한국 || 한국 최초 수록 || || [[맥시멈 크라이시스|MAXIMUM CRISIS]] || MACR-JP023 || [[노멀]] || 일본 || 세계 최초 수록 || || [[맥시멈 크라이시스|Maximum Crisis]] || MACR-EN023 || [[울트라 레어]] || 미국 || 미국 최초 수록 || === 레벨 8 === ==== [[룡검사#진룡검사 마스터P|진룡검사 마스터P]] ==== '''진룡'''검사라 여기에 포함되지만, 룡검사와 용마왕을 요구해서 진룡 덱에선 쓸 일이 없다. 대신 진룡검황이 이 카드의 진룡 버전이란 설정이다. ==== [[진룡검황 마스터P]] ==== 문서 참조. === 레벨 9 === ==== 진룡황 아그니마즈드V ==== [[파일:真竜皇アグニマズドV.jpg]] [include(틀:유희왕/카드, 몬스터=, 효과=, 한글판명칭=진룡황 아그니마즈드V(버니셔), 일어판명칭=真竜皇(しんりゅうおう)アグニマズドV(バニッシャー), 영어판명칭=True King Agnimazud\, the Vanisher, 속성=화염, 레벨=9, 공격력=2900, 수비력=1900, 종족=환룡족, 효과외1=이 카드명의 ①②의 효과는 각각 1턴에 1번밖에 사용할 수 없다., 효과1=①: 이 카드가 패에 존재할 경우에 발동할 수 있다. 이 카드 이외의 자신의 패 / 필드(앞면 표시)의\, 화염 속성 몬스터를 포함하는 몬스터 2장을 파괴하고\, 이 카드를 특수 소환하여\, 화염 속성 몬스터 2장을 파괴했을 경우\, 상대의 필드 / 묘지에서 몬스터 1장을 제외할 수 있다., 효과2=②: 이 카드가 효과로 파괴되었을 경우에 발동할 수 있다. 자신 묘지에서 화염 속성 이외의 환룡족 몬스터 1장을 패에 넣는다.)] 메탈포제 콤비네이션에서 융합 메탈포제들이 제압하러 달려들던 몬스터로, 이름의 모티브는 [[아그니]](인도 신화: 불의 신) + 오르마즈드(조로아스터교: [[아후라 마즈다]]). 배니셔는 영어로 "지우는 자" 를 의미한다. 포지션상 모티브는 염옥황제 지크지온 이그니스로 추정. [[이그나이트]] 어벤져나 스팅거와 유사하게, 자신의 패 / 필드에서 화염 속성 몬스터를 포함해 몬스터 2장을 파괴하고 특수 소환하는 기동 효과를 가졌다. 화염 속성 몬스터를 파괴하는 효과이기에 [[염왕]] 덱과 상성이 매우 좋으니, 가루도닉스의 약간 부족한 타점을 보완하는 데 써먹어 보자. 파괴 내성이 있는 몬스터를 치울 때에도 효과적. 여기서 자신의 효과로 특수 소환할 때에 화염 속성 몬스터로만 2장 파괴하면, 추가로 상대 필드 / 묘지에서 몬스터 1장을 골라 제외해 주는 보너스 효과도 쓸 수 있다. 이때 '''파괴-특수 소환-제외가 모두 동시'''에 이뤄지므로, 패에서 발동한 이 카드의 효과를 무효로 하거나 이미 제외를 막는 카드가 없는 이상, 대상 지정도 파괴 내성도 우회하며 필드 어드밴티지를 확실하게 챙길 수 있다. 또한, 제외 효과는 안 해도 되는 임의 효과인 점도 도움이 되는데, 상술한 제외 봉쇄 카드인 [[왕궁의 철벽]] 또는 [[아티팩트(유희왕)|아티팩트-롱기누스]]의 효과가 적용된 상태라 해도 파괴 및 특수 소환까진 할 수 있어 손해가 덜하다. 재정을 보면, 파괴하는 몬스터들 2장 중 어느 하나라도 파괴되지 않는 상황([[강제 탈출 장치|효과 처리 중 필드를 벗어나거나]], [[시계신|파괴 내성을 가졌거나]], [[부활의 복음]]이나 [[인페르노이드|연옥의 사도]] 등으로 파괴를 막아주는 등)의 경우는 특수 소환하는 처리도, 이후 필드 / 묘지의 카드를 제외히는 처리도 실행하지 않는다. 그리고 자신 필드의 몬스터 존에 몬스터라 꽉 찬 경우에도 효과를 발동할 순 있는데, 이 경우엔 몬스터 존에 이 카드를 특수 소환할 공란이 생기도록 2장 중 적어도 1장은 자신 필드의 몬스터를 파괴하지 않으면 안 된다. 상기한 파괴-특수 소환-제외 효과의 처리는 아래의 다른 진룡황들도 같다. ②의 효과는 자기 자신이 효과로 파괴되면 묘지에서 화염 속성 이외의 환룡족 몬스터를 패로 되돌리는 효과. 화염 속성 1장 이상을 요구하는 ①의 효과와의 시너지는 미묘한 편으로, 코나미가 이 카드를 제작하면서 여러 속성을 섞어 쓰는 환룡족 덱을 의도한 듯하다. '''수록 팩 일람''' || '''수록 팩''' || '''카드 번호''' || '''레어도''' || '''발매 국가''' || '''기타 사항''' || || [[더 다크 일루전]] || TDIL-KR025 || [[슈퍼 레어]][br][[시크릿 레어]] || 한국 || 한국 최초 수록 || || [[스트럭처 덱(유희왕)|스트럭처 덱]] -[[소울 버너(스트럭처 덱)|소울 버너]]- || SD35-KR011 || [[노멀]] || 한국 || || || [[더 다크 일루전|THE DARK ILLUSION]] || TDIL-JP025 || [[슈퍼 레어]][br][[시크릿 레어]] || 일본 || 세계 최초 수록 || || [[스트럭처 덱(유희왕)|STRUCTURE DECK]] -[[소울 버너(스트럭처 덱)|ソウルバーナー]]- || SD35-JP011 || [[노멀]] || 일본 || || || [[더 다크 일루전|The Dark Illusion]] || TDIL-EN025 || [[울트라 레어]] || 미국 || 미국 최초 수록 || || 2017 Mega-Tin Mega Pack || MP17-EN080 || [[울트라 레어]] || 미국 || || || [[스트럭처 덱(유희왕)|Structure Deck]]: [[소울 버너(스트럭처 덱)|Soulburner]] || SDSB-EN014 || [[노멀]] || 미국 || || ==== 진룡황 바하루스토스F ==== [[파일:external/www.ka-nabell.com/card100038155_1.jpg]] [include(틀:유희왕/카드, 몬스터=, 효과=, 한글판명칭=진룡황 바하루스토스F(퓨러), 일어판명칭=真竜皇(しんりゅうおう)バハルストスF(フューラー), 영어판명칭=True King Bahrastos\, the Fathomer, 속성=물, 레벨=9, 공격력=1800, 수비력=3000, 종족=환룡족, 효과외1="진룡황 바하루스토스F(퓨러)"의 ①②의 효과는 각각 1턴에 1번밖에 사용할 수 없다., 효과1=①: 자신 메인 페이즈에 발동할 수 있다. 이 카드 이외의 패 및 자신 필드의 앞면 표시 몬스터 중에서\, 물 속성 몬스터를 포함하는 몬스터 2장을 골라 파괴하고\, 이 카드를 패에서 특수 소환하여\, 물 속성 몬스터 2장을 파괴했을 경우\, 상대의 필드 / 묘지에서 마법 / 함정 카드를 2장까지 고르고 제외할 수 있다., 효과2=②: 이 카드가 효과로 파괴되었을 경우에 발동할 수 있다. 덱에서 물 속성 이외의 환룡족 몬스터 1장을 수비 표시로 특수 소환한다., )] 크리스트론 임팩트에서 크리스트론-페니키시온과 대결하던 몬스터. 이름의 모티브는 바하루(아랍어: 바다)와 크리스토스(기독교: [[그리스도]]). [[퓌러]]는 독일어로 "지도자"를 의미하는데, [[나치 독일]]에서 [[아돌프 히틀러]]를 지칭할 때 쓰던 단어라 TCG에선 카드명이 '깊이를 재는 사람'이란 뜻의 Fathomer로 바뀌었다. 아그니마즈드와 반대로 배분된 높은 수비력으로 벽 역할을 해 주며, 고유 효과는 같은 속성 몬스터만 2장 파괴하고 특수 소환하면서 상대의 마법 / 함정을 2장까지 제외하는 효과와, 효과로 파괴되면 덱의 환룡족을 수비 표시로 특수 소환하는 효과. ①의 효과는 한꺼번에 2장까지 제외할 수 있어서 펜듈럼 존을 저격하는 데에 안성맞춤이며, [[버제스토마]] 등 묘지에서 추가 효과가 격발되는 마법 / 함정을 제끼는 데에도 유용하게 쓸 수 있다. 또한 제외 효과는 체인 링크를 따로 안 만드니, 세트된 카드에 대해 체인할 수 없기에 소환 반응형 카드로는 이 카드를 제거할 수 없다. ②의 효과로 불러올 몬스터로는 화염 속성인 [[파면룡]]과 [[마그마 드래곤]], 땅 속성의 [[린드블룸]], 어둠 속성의 [[나이트 드라고리치]] 등이 있다. 다들 환룡족 주축의 덱에서 쓸만한 몬스터이니 과감하게 파괴해 주자. 파괴라면 피아를 가리지 않으므로 룡성 덱에서 사룡성이나 휘룡성 등으로 갈아버릴 수도 있고 소환에 체인을 걸어 과감하게 [[격류장]]으로 휩쓸어 줄 수도 있다. 대신 수비 표시로 소환되므로 공세적으로 쓰려면 좀 더 머리를 써야 한다. [[설화의 빛]]을 채용한 [[해황머메일]] 덱의 사이드에 3장 채용됐다. 패 트랩을 제외한 메인 덱 몬스터 대부분이 물 속성이라 효과 발동이 쉽고, 설화의 디메리트상 해황머메일은 중장병이나 저격병을 안 쓰면 상대의 마법 / 함정 견제가 거의 불가능하기에 방어가 어려운 패 기동 효과이면서 상대의 마법 / 함정을 견제하고, 파괴돼도 [[옥락조]] 등의 후속을 벌어줄 수 있다. 다른 진룡들이 2900 / 1900, 2500 / 2300, 2700 / 2100 찍을 동안 혼자 1700 / 3100이 아닌 200의 배수인 1800 / 3000인 건 후에 나올 진룡황 V.F.D.보다 스탯이 높아지지 않게 하기 위한 것으로 보인다. '''수록 팩 일람''' || '''수록 팩''' || '''카드 번호''' || '''레어도''' || '''발매 국가''' || '''기타 사항''' || || [[인베이전 오브 베놈]] || INOV-KR021 || [[슈퍼 레어]][br][[시크릿 레어]] || 한국 || 한국 최초 수록 || || [[인베이전 오브 베놈|INVASION OF VENOM]] || INOV-JP021 || [[슈퍼 레어]][br][[시크릿 레어]] || 일본 || 세계 최초 수록 || || [[인베이전 오브 베놈|Invasion: Vengeance]] || INOV-EN021 || [[울트라 레어]] || 미국 || 미국 최초 수록 || || 2017 Mega-Tin Mega Pack || MP17-EN141 || [[울트라 레어]] || 미국 || || ==== 진룡황 리토스아지무D ==== [[파일:external/www.ka-nabell.com/card100041169_1.jpg]] [include(틀:유희왕/카드, 몬스터=, 효과=, 한글판명칭=진룡황 리토스아지무D(디재스터), 일어판명칭=真竜皇(しんりゅうおう)リトスアジムD(ディザスター), 영어판명칭=True King Lithosagym\, the Disaster, 속성=땅, 레벨=9, 공격력=2500, 수비력=2300, 종족=환룡족, 효과외1="진룡황 리토스아지무D(디재스터)"의 ①②의 효과는 각각 1턴에 1번밖에 사용할 수 없다., 효과1=①: 자신 메인 페이즈에 발동할 수 있다. 이 카드 이외의 패 및 자신 필드의 앞면 표시 몬스터 중에서\, 땅 속성 몬스터를 포함하는 몬스터 2장을 골라 파괴하고\, 이 카드를 패에서 특수 소환하여\, 땅 속성 몬스터 2장을 파괴했을 경우\, 상대의 엑스트라 덱을 확인하여 그 중에서 몬스터를 3종류까지 고르고 제외할 수 있다., 효과2=②: 이 카드가 효과로 파괴되었을 경우에 발동할 수 있다. 자신 묘지에서 땅 속성 이외의 환룡족 몬스터 1장을 고르고 특수 소환한다., )] 십이수의 방합에서 십이수들과 대치하던 몬스터. 이름의 모티브는 리토스(그리스어: 돌)와 이스무르아짐(이슬람교: [[알라]]), 디재스터[* 이전에 디재스터라고 나와야 했던 카드들이 디저스터로 나오곤 했는데, 이 카드는 루비로 있기 때문인지 제대로 디재스터다.]는 영어로 "재해" 란 뜻. 전형적인 용 모습의 아그니마즈드, 가오리를 닮은 바하루스토스에 이어 모습은 늑대를 닮았다. 아이러니하게도 정작 적대하는 십이수와 시너지가 있는데, 이 카드의 소환을 위해 램과 래비나를 파괴해 소환하면 상대 엑스트라 덱 견제+램의 효과로 묘지의 십이수 특수 소환+래비나로 묘지의 십이수 샐비지를 할 수 있다. 공격력 / 수비력 한쪽에 치우친 능력치를 가진 나머지 두 진룡황과 달리 능력치는 적절히 배분된 편. 2400 라인과의 전투는 무난하게 커버할 수 있고, 이 카드가 수비 표시라도 웬만한 하급 몬스터들이 전투로 치우기 힘든 능력치다. 나쁘게 말하면 딱히 특출난 능력치는 아니란 것이다. ①의 효과는 [[부유벚꽃]]과 유사한 엑스트라 덱 견제 효과. 라이벌 [[룡검사]]와 이전 룡검사 카드군 같은 [[펜듈럼 소환]] 주축의 몬스터들을 견제하기에 좋지만, 한 종류의 카드 3장을 제외할 순 없으니 유의해야 한다. ②의 효과는 묘지 소생. 다른 진룡황들과의 연계용으로도 좋고, 표시 형식 제한도 없어 다른 두 진룡황보다 더 유용하게 쓸 수 있을 것이다. [[공룡 덱]]에선 땅 속성인 [[베이비 케라사우루스]]와 [[쁘띠라노돈]]을 패에서 파괴하는 용도로 쓰인다. 환룡족 주제에 공룡족 부흥의 1등 공신. TCG에선 제재 먹을 당시 십이수에게 밀렸으나 다음 티어가 될 공룡 덱 견제를 위해선지 금지됐다. 그러다 2020년 1월 20일에 제한으로, 2023년 2월 14일에 무제한으로 풀렸다. '''수록 팩 일람''' || '''수록 팩''' || '''카드 번호''' || '''레어도''' || '''발매 국가''' || '''기타 사항''' || || [[레이징 템피스트]] || RATE-KR019 || [[슈퍼 레어]][br][[시크릿 레어]] || 한국 || 한국 최초 수록 || || [[레이징 템피스트|RAGING TEMPEST]] || RATE-JP019 || [[슈퍼 레어]][br][[시크릿 레어]] || 일본 || 세계 최초 수록 || || [[레이징 템피스트|Raging Tempest]] || RATE-EN019 || [[슈퍼 레어]] || 미국 || 미국 최초 수록 || || 2017 Mega-Tin Mega Pack || MP17-EN186 || [[슈퍼 레어]] || 미국 || || || Toon Chaos || TOCH-EN038 || [[레어]] || 미국 || || ==== 진룡기병 다스메타트론 ==== [[파일:external/www.ka-nabell.com/card100046251_1.jpg]] [include(틀:유희왕/카드, 몬스터=, 효과=, 한글판명칭=진룡기병 다스메타트론, 일어판명칭=真竜機兵(しんりゅうきへい)ダースメタトロン, 영어판명칭=Metaltron XII\, the True Dracombatant, 속성=빛, 레벨=9, 공격력=3000, 수비력=3000, 종족=환룡족, 효과외1=이 카드를 통상 소환할 경우\, 몬스터 3장을 릴리스하여 소환해야 하고\, 몬스터 대신에 자신 필드의 지속 마법 / 지속 함정 카드를 릴리스할 수 있다., 효과1=①: 이 카드는\, 이 카드의 어드밴스 소환을 위해 릴리스한 카드와 원래의 종류(몬스터 / 마법 / 함정)가 같은 카드의 효과를 받지 않는다., 효과2=②: 어드밴스 소환한 이 카드가 상대에 의해 파괴되었을 경우에 발동할 수 있다. 땅 / 물 / 화염 / 바람 속성 중 어느 융합 / 싱크로 / 엑시즈 몬스터 1장을 엑스트라 덱에서 특수 소환한다., )] [[크리스트론]], [[십이수(유희왕)|십이수]], [[메탈포제]]의 힘을 가진 것으로 보이는 진룡. 로봇 같은 생김새. 이름에 십이수의 십이('''[[다스]]'''), 메탈포제의 '''메타''', 크리스트론의 '''트론'''이 들어가 있다. [[크리스트론|크리스트론-그리온간드]]의 형상을 했고 메탈포제의 갑옷과 같은 것이 장갑에 덧붙여져 있으며 전신에 십이수의 장비를 착용했다. 또한 그리온간드의 공격력 / 수비력과 파괴 시 특수 소환 효과를 이어받았다. ①의 효과로 몬스터 / 마법 / 함정 3종류를 전부 릴리스하면 룰 효과 이외의 모든 카드 효과를 안 받는다. 다만 이 경우, 자신의 카드 효과도 못 받기에 전투 파괴는 못 막는다. (잠재적) 내성에 비해 타점이 아쉬운 카드. [[SNo.39 유토피아 더 라이트닝]]이야 어쩔 수 없다 쳐도 [[푸른 눈]] 덱에서 [[푸른 눈의 아백룡]] 1장만 꺼내서 자폭해도 되고, [[Kozmo]]에선 다크시미터로 자폭해도 된다. 또한 지속 마법 / 함정을 많이 쓰는 [[천후]] 덱에서도 공격력 3000의 어태커로 채용할 수도 있다. ②의 효과는 엑스트라 덱의 화염 / 물 / 땅 / 바람 속성의 융합 / 싱크로 / 엑시즈 몬스터 중 1장을 특수 소환하는 효과. 효과가 무효화되지 않지만, 소생 제한 룰에 걸린다는 점에 유의할 것. 융합 소재가 까다롭지만 전투 능력치가 좋은 [[메탈포제]]와 상성이 좋고, 엑시즈 소재가 없어도 같은 십이수끼리 연속 엑시즈 소환이 가능하지만 능력치는 책임 못 지는 [[십이수(유희왕)|십이수]]와는 상성 보통. 그리고 효과 발동에 싱크로 소환을 전제 조건으로 하는 [[크리스트론]]과의 상성은 그다지 안 좋다. 위의 3종 테마가 아닌 단독으로 강력한 카드라면 [[크리스탈윙 싱크로 드래곤]] 등을 생각해볼 수 있다. 문제는 내성이 빵빵한 이 카드는 파괴된다면 웬만하면 전투로 파괴될 텐데 그땐 이 유언 효과를 쓸 수 없을 수 있다. 신 마스터 룰이 적용되기 전에는 [[SNo.39 유토피아 더 라이트닝]]이 웬만하면 채용되었기 때문. 신 마스터즈 룰 이후부터는 라이트닝의 채용률은 떨어지고 [[바렐스워드 드래곤]]이 주로 쓰이기에 조금은 나아졌지만, 바렐스워드 드래곤은 이쪽대로 유언이 무의미한게 2단 공격이 가능하기 때문에 그냥 1회 더 공격하면 썰리는 건 마찬가지다. 사실 선택적으로 릴리스 3장을 요구하는 것도 아니고 무조건적으로 릴리스 3장을 요구하는 몬스터치고 기본 스탯이 빈약한 게 가장 큰 약점이라 할 수 있다. 3장 릴리스로 나오는 카드는 대부분 소환됐을 때 필드에 강력한 영향력을 행사하거나 자체의 스펙과 효과가 강력한 데 비해, 이 카드는 3장 릴리스하고 나와서 릴리스한 카드 종류에 해당하는 내성과 공격력 3000이 끝이다. 내성이라는 것이 물론 있으면 좋다곤 하나, 반대로 생각하면 상대 쪽에서 이 카드에 대해 뭔가 하지 않는 이상 있으나 마나인지라 이 카드가 필드에 미치는 영향은 [[푸른 눈의 백룡]]처럼 공격력 3000인 몬스터라는 점 뿐이다. 필드 마법의 효과를 받으면 공격력이 3300까지 올라가지만, 몬스터 / 마법 / 함정 3장을 릴리스해 완전 내성을 갖추는 게 이 카드의 존재 의의 중 하나인지라 마법 내성이 없을 바에야 그냥 2장 릴리스해서 [[진룡검황 마스터P]]를 뽑는 게 낫기 때문에 의미가 떨어진다. 이런 이유들로 인해 검황이 금지카드가 아닐때에는 아예 쓸 이유가 없었고, 검황이 금지카드인 지금도 기병의 채용률은 거의 없다. ②의 효과도 효과 자체는 우수한 편이지만 상대에 의존하는 수동적인 효과란 점, 파괴 한정이란 점에 따라 당연히 상대가 아무런 대책 없이 순순히 이 카드를 파괴시켜 주진 않을 것이며, 제왕의 용격 같은 카드를 사용할 경우 엑스트라 덱을 넣지도 못하기 때문에 ②의 효과의 덕을 보는 경우도 의외로 많지 않다. 시간대는 안 맞지만, 모티브는 [[건제네시스]]로 추정된다. 이렇게 되면 이 카드가 왜 [[세피라 메타트론]]을 닮았는지 명쾌하게 설명된다. 메타트론의 모티브가 [[기갑신 엘가이야]]가 되기 때문. '''수록 팩 일람''' || '''수록 팩''' || '''카드 번호''' || '''레어도''' || '''발매 국가''' || '''기타 사항''' || || [[맥시멈 크라이시스]] || MACR-KR025 || [[울트라 레어]][br][[시크릿 레어]][br][[얼티밋 레어]] || 한국 || 한국 최초 수록 || || [[맥시멈 크라이시스|MAXIMUM CRISIS]] || MACR-JP025 || [[울트라 레어]][br][[시크릿 레어]][br][[얼티밋 레어]] || 일본 || 세계 최초 수록 || || [[맥시멈 크라이시스|Maximum Crisis]] || MACR-EN025 || [[슈퍼 레어]] || 미국 || 미국 최초 수록 || ==== 진룡봉황 마리암네 ==== [[파일:external/www.ka-nabell.com/card100046260_1.jpg]] [include(틀:유희왕/카드, 몬스터=, 효과=, 한글판명칭=진룡봉황 마리암네, 일어판명칭=真竜凰(しんりゅうおう)マリアムネ, 영어판명칭=Mariamne\, the True Dracophoenix, 속성=바람, 레벨=9, 공격력=2700, 수비력=2100, 종족=환룡족, 효과외1=이 카드명의 ①②의 효과는 각각 1턴에 1번밖에 사용할 수 없다., 효과1=①: 자신 메인 페이즈에 발동할 수 있다. 이 카드 이외의 패 및 자신 필드의 앞면 표시 몬스터 중에서\, 바람 속성 몬스터를 포함하는 몬스터 2장을 파괴하고\, 이 카드를 패에서 특수 소환하여\, 바람 속성 몬스터 2장을 파괴했을 경우\, 상대의 덱 위에서 카드를 4장 제외할 수 있다., 효과2=②: 이 카드가 효과로 파괴되었을 경우에 발동할 수 있다. 덱에서 바람 속성 이외의 환룡족 몬스터 1장을 패에 넣는다., )] 이름의 모티브는 [[히브리어]] [[미리암]](מִרְיָם)을 그리스화한 마리암네(Μαριάμη, マリアムネ, Mariamne).[* 모티브는 동명이인인 [[성모 마리아]] 또는 [[마리아 막달레나]]로 보인다.] 카드명의 표기가 皇(임금 황)이 아니라 凰(봉황 황)인데, 일어 발음은 똑같이 "신류-오-"다. 사실상 바람 속성 진룡황으로, 진룡황의 법칙을 그대로 따른다(레벨 9, 환룡족, 공수 합계 4800, 같은 속성을 포함한 몬스터 2장을 파괴하고 특수 소환, 같은 속성의 몬스터 2장을 파괴 시 제외 효과 발동, 효과로 파괴시 자신과 다른 속성의 환룡족을 서포트하는 효과 등). ①의 효과는 한꺼번에 덱에서 4장을 제외하는 [[덱 파괴]] 효과. ②의 효과는 바람 속성만 아니라면 어떤 환룡족이든 덱에서 서치한다. '''수록 팩 일람''' || '''수록 팩''' || '''카드 번호''' || '''레어도''' || '''발매 국가''' || '''기타 사항''' || || [[맥시멈 크라이시스]] || MACR-KR026 || [[슈퍼 레어]][br][[시크릿 레어]] || 한국 || 한국 최초 수록 || || [[맥시멈 크라이시스|MAXIMUM CRISIS]] || MACR-JP026 || [[슈퍼 레어]][br][[시크릿 레어]] || 일본 || 세계 최초 수록 || || [[맥시멈 크라이시스|Maximum Crisis]] || MACR-EN026 || [[울트라 레어]] || 미국 || 미국 최초 수록 || || 2018 Mega-Tin Mega Pack || MP18-EN005 || [[울트라 레어]] || 미국 || || == 엑시즈 몬스터 == === 랭크 9 === ==== [[진룡황 V.F.D.]] ==== 자세한 내용은 문서 참조. == 마법 카드 == === [[진룡의 자각]] === 문서 참조. === 진룡의 계승 === [[파일:external/www.ka-nabell.com/card100046350_1.jpg]] [include(틀:유희왕/카드, 마법=, 지속=, 한글판명칭=진룡의 계승, 일어판명칭=真竜(しんりゅう)継承(けいしょう), 영어판명칭=True Draco Heritage, 효과외1="진룡의 계승"의 ①②③의 효과는 각각 1턴에 1번밖에 사용할 수 없다., 효과1=①: 자신 메인 페이즈에 발동할 수 있다. 이 턴에 필드에서 묘지로 보내진 "진룡" 카드 종류(몬스터 / 마법 / 함정)의 수만큼\, 자신은 덱에서 드로우한다., 효과2=②: 자신 메인 페이즈에 발동할 수 있다. "진룡" 몬스터 1장을 앞면 표시로 어드밴스 소환한다., 효과3=③: 이 카드가 마법 & 함정 존에서 묘지로 보내졌을 경우\, 필드의 마법 / 함정 카드 1장을 대상으로 하고 발동할 수 있다. 그 카드를 파괴한다., )] ①의 효과는 소소한 드로우 효과. 보통 진룡 덱이면 몬스터 1장씩은 매 턴 묘지로 보내므로 1턴에 적어도 1장 드로우는 기대할 수 있다. 그리고 진룡기병을 진룡 카드들을 릴리스해 풀 내성으로 어드밴스 소환했다거나, 적절히 진룡 카드를 필드에서 묘지로 보내고 이 카드가 필드 / 패에 남아있다면 덱에서 3장을 드로우할 수 있다. 자신의 필드만이 아닌 상대 필드에서 묘지로 간 카드도 포함하기에, 미러전일 경우 상대의 진룡 카드를 날려버린 뒤 드로우할 수도 있다. ②의 효과는 희생의 제물과 비슷한 소소한 어드밴스 소환 지원 효과. 진룡들에게 일반 소환권 외에도 어드밴스 소환할 수 있게 해주는 건 큰 이점이다. 이 효과로 인해 진룡기병을 몬스터 효과 내성 없이 소환해야 할 일은 잘 없다. ③의 효과는 묘지로 보내질 때 발동하는 마법 / 함정 파괴 효과. 자기가 보내도 발동하므로 능동적으로 활용할 수 있다. 주된 사용처는 이 카드를 릴리스해 진룡 몬스터를 어드밴스 소환해 메타 마법 / 함정([[스킬 드레인]], [[배너티 스페이스]] 등) 요격용. 2017년 10월에 진룡황의 부활과 함께 제한이 됐다. 하지만 진룡 제재가 너무 심하다고 생각해선지 2018년 4월에 준제한, 2018년 7월에 무제한으로 풀렸다. 일러스트는 마리암네의 앞에서 진룡검황이 진룡 3인방과 마주 보는 모습. 정황상 드래고닉 D에서 마리암네의 힘을 받고 진룡검황으로 진화한 마스터P가 진룡 3인방에게 힘을 부여하는 모습. 이후 룡검사의 새 필드 마법인 드래고닉P로 이어진다. '''수록 팩 일람''' || '''수록 팩''' || '''카드 번호''' || '''레어도''' || '''발매 국가''' || '''기타 사항''' || || [[맥시멈 크라이시스]] || MACR-KR054 || [[노멀]] || 한국 || 한국 최초 수록 || || [[맥시멈 크라이시스|MAXIMUM CRISIS]] || MACR-JP054 || [[노멀]] || 일본 || 세계 최초 수록 || || [[맥시멈 크라이시스|Maximum Crisis]] || MACR-EN054 || [[울트라 레어]] || 미국 || 미국 최초 수록 || || 2018 Mega-Tin Mega Pack || MP18-EN016 || [[울트라 레어]] || 미국 || || || OTS Tournament Pack 11 || OP11-EN020 || [[노멀]] || 미국 || || === 진룡봉황의 사도 === [[파일:external/www.ka-nabell.com/card100046353_1.jpg]] [include(틀:유희왕/카드, 마법=, 지속=, 한글판명칭=진룡봉황의 사도, 일어판명칭=真竜凰(しんりゅうおう)使徒(しと), 영어판명칭=Disciples of the True Dracophoenix, 효과외1="진룡봉황의 사도"의 ①②③의 효과는 각각 1턴에 1번밖에 사용할 수 없다., 효과1=①: 자신 묘지의 "진룡" 카드 3장을 대상으로 하고 발동할 수 있다. 그 카드를 덱에 넣고 셔플한다. 그 후\, 자신은 덱에서 1장 드로우한다., 효과2=②: 자신 메인 페이즈에 발동할 수 있다. "진룡" 몬스터 1장을 앞면 표시로 어드밴스 소환한다., 효과3=③: 이 카드가 마법 & 함정 존에서 묘지로 보내졌을 경우\, 필드의 마법 / 함정 카드 1장을 대상으로 하고 발동할 수 있다. 그 카드를 파괴한다., )] ①의 효과는 묘지의 진룡 카드를 회수하고 1장 드로우하는 효과. [[탐욕의 항아리]]와 비슷한 효과이지만 텍스트의 차이로 약간의 차이가 있다. 탐욕의 항아리의 경우, '''5장'''을 덱으로 되돌려야 한다고 명시되어 있기 때문에 [[DD 크로우]]나 [[무덤의 지명자]]로 묘지의 카드를 찍음으로서 불발시킬 수 있다. 반면 진룡봉황의 사도의 경우, 몇 장을 덱에 넣어야 하는지가 명시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묘지의 카드가 제거되더라도 효과가 불발되지 않는다. 나쁘지 않은 자원 회수 효과와 패보충 효과이기는 하지만, 진룡 마법 / 함정을 회수하는건 진룡검황 마스터P의 효과 탄환을 없애는 것이나 마찬가지이기에 상황에 맞춰 적절히 쓰는 게 좋다. ②③의 효과는 진룡의 계승과 같다. 일러스트는 상급 진룡 4인방이 집결한 모습. '''수록 팩 일람''' || '''수록 팩''' || '''카드 번호''' || '''레어도''' || '''발매 국가''' || '''기타 사항''' || || [[맥시멈 크라이시스]] || MACR-KR055 || [[노멀]] || 한국 || 한국 최초 수록 || || [[맥시멈 크라이시스|MAXIMUM CRISIS]] || MACR-JP055 || [[노멀]] || 일본 || 세계 최초 수록 || || [[맥시멈 크라이시스|Maximum Crisis]] || MACR-EN055 || [[노멀]] || 미국 || 미국 최초 수록 || || OTS Tournament Pack 5 || OP05-EN011 || [[슈퍼 레어]] || 미국 || || || 2018 Mega-Tin Mega Pack || MP18-EN017 || [[노멀]] || 미국 || || == 함정 카드 == === 진룡황의 부활 === [[파일:external/www.ka-nabell.com/card100046386_1.jpg]] [include(틀:유희왕/카드, 함정=, 지속=, 한글판명칭=진룡황의 부활, 일어판명칭=真竜皇(しんりゅうおう)復活(ふっかつ), 영어판명칭=True King's Return, 효과외1="진룡황의 부활"의 ①②③의 효과는 각각 1턴에 1번밖에 사용할 수 없으며\, ①②의 효과는 동일한 체인 위에서는 발동할 수 없다., 효과1=①: 자신 묘지의 "진룡" 몬스터 1장을 대상으로 하고 발동할 수 있다. 그 몬스터를 수비 표시로 특수 소환한다. 이 효과의 발동 후\, 턴 종료시까지 자신은 몬스터를 특수 소환할 수 없다., 효과2=②: 상대 메인 페이즈에 발동할 수 있다. "진룡" 몬스터 1장을 앞면 표시로 어드밴스 소환한다., 효과3=③: 이 카드가 마법 & 함정 존에서 묘지로 보내졌을 경우\, 필드의 몬스터 1장을 대상으로 하고 발동할 수 있다. 그 몬스터를 파괴한다., )] ①의 효과는 [[블랙 매지션(유희왕/카드군)|영원의 혼]]이나 [[붉은 눈의 개선]]을 연상시키는 강력한 소생 효과. 특수 소환 불가라는 디메리트가 있지만 상대 턴엔 거의 있으나 마나 한 디메리트고, 자신 턴에도 할 거 다 하고 마지막에 진룡황 F 등을 방어벽으로 불러 세우는 등 어드밴티지를 벌 수 있다. 어드밴스 소환으로 전개를 하는 진룡 덱 입장에서는 디메리트가 없는 수준이다. ②의 효과는 [[제왕(유희왕)|연격의 제왕]]을 연상시키는 어드밴스 소환 보조 효과. 진룡 카드들은 딱히 제왕처럼 어드밴스 소환하면서 어드밴티지를 버는 카드가 없어서 애매하긴 하지만 상급 진룡 카드들을 소환 후 어드밴티지를 벌 수 있고 새크리파이스 이스케이프용으로도 쓸 수도 있다. ① 효과로 소환한 몬스터를 제물로 할 수도 있고, 이 카드를 포함해 진룡 마함을 제물로 해서 나와서 ③ 효과로 상대를 견제할 수도 있다. [[천 제왕 아이테르]]와 마찬가지로 [[제왕(유희왕)|제왕의 열선]]과 궁합이 좋다. ③의 효과는 묘지로 보내질 때 발동하는 효과. 상대가 파괴했을 때만 발동하는 게 아니라서 자신 카드 파괴 효과가 많은 진룡황 덱에서 능동적으로 써먹을 수 있고, 파괴에만 해당하지 않아서 진룡 어드밴스 소환의 코스트로 써먹어도 발동하며, '경우'라 타이밍 놓칠 염려도 없고, 선택이라 상대 필드가 비어있으면 자신 카드를 파괴할 수도 있고 안 할 수도 있다. 진룡 마법 / 함정의 필수 카드 중 하나였던 이 카드도 2017년 10월에 진룡의 계승과 함께 제한이 됐다. 이후 2019년 1월, OCG에서 무제한으로 풀렸다. TCG에선 2020년 12월 15일에 준제한, 2021년 3월 15일에 무제한 카드가 됐다. 일러스트는 세 진룡황의 가운데에서 [[차원 유폐]]를 깨고 나오는 모양새로 소환되는 V.F.D.의 모습. '''수록 팩 일람''' || '''수록 팩''' || '''카드 번호''' || '''레어도''' || '''발매 국가''' || '''기타 사항''' || || [[맥시멈 크라이시스]] || MACR-KR069 || [[레어]] || 한국 || 한국 최초 수록 || || [[맥시멈 크라이시스|MAXIMUM CRISIS]] || MACR-JP069 || [[레어]] || 일본 || 세계 최초 수록 || || [[맥시멈 크라이시스|Maximum Crisis]] || MACR-EN069 || [[울트라 레어]] || 미국 || 미국 최초 수록 || || OTS Tournament Pack 11 || OP11-EN025 || [[노멀]] || 미국 || || === 진룡의 묵시록 === [[파일:external/www.ka-nabell.com/card100046389_1.jpg]] [include(틀:유희왕/카드, 함정=, 지속=, 한글판명칭=진룡의 묵시록, 일어판명칭=真竜(しんりゅう)黙示録(もくしろく), 영어판명칭=True Draco Apocalypse, 효과외1="진룡의 묵시록"의 ①②③의 효과는 각각 1턴에 1번밖에 사용할 수 없으며\, ①②의 효과는 동일한 체인 위에서는 발동할 수 없다., 효과1=①: 이 카드 이외의 자신 필드의 "진룡" 카드 1장을 대상으로 하고 발동할 수 있다. 그 카드를 파괴하고\, 상대 필드의 모든 앞면 표시 몬스터의 공격력 / 수비력을 절반으로 한다., 효과2=②: 상대 메인 페이즈에 발동할 수 있다. "진룡" 몬스터 1장을 앞면 표시로 어드밴스 소환한다., 효과3=③: 이 카드가 마법 & 함정 존에서 묘지로 보내졌을 경우\, 필드의 몬스터 1장을 대상으로 하고 발동할 수 있다. 그 몬스터를 파괴한다., )] 사실상 진룡 덱의 필승 카드. ①의 효과는 자신 필드의 진룡 카드를 파괴하고 상대 몬스터의 공격력 / 수비력을 절반으로 하는 효과. 진룡이 상대하기 힘든 고타점 떡내성 몬스터를 처리하기 좋은 효과이다. 어드밴스 소환한 진룡을 파괴하긴 아까우니, 상대의 제거에 당할 진룡황을 파괴해 [[새크리파이스 이스케이프]]해 추가 효과를 격발시키는 데 쓰거나, 상대 필드에 몬스터가 있다면 자신 필드의 앞면 표시 진룡 마법 / 함정을 묘지로 보내 상대 필드의 카드를 파괴하는 용도로도 쓸 수 있다. 아니면 진룡황의 부활로 소생시킨 카드는 어드밴스 소환 취급이 아닌 특수 소환이니 그걸 파괴해도 좋다. ②③의 효과는 진룡황의 부활과 같은 효과. 일러스트에선 진룡기병 다스메타트론과 진룡검황 마스터P가 V.F.D.와 대치 중이다. 모티브는 지크지온 마부제와 싸우는 건제네시스와 스페리올 드래곤 EX. 참고로 이 카드가 룡검사 스토리 라인의 마지막 카드이며, 이후 전투의 결말이 어떻게 되었는지는 밝혀진 바 없다. [[열린 결말]]로 끝난 셈이다. '''수록 팩 일람''' || '''수록 팩''' || '''카드 번호''' || '''레어도''' || '''발매 국가''' || '''기타 사항''' || || [[맥시멈 크라이시스]] || MACR-KR070 || [[노멀]] || 한국 || 한국 최초 수록 || || [[맥시멈 크라이시스|MAXIMUM CRISIS]] || MACR-JP070 || [[노멀]] || 일본 || 세계 최초 수록 || || [[맥시멈 크라이시스|Maximum Crisis]] || MACR-EN070 || [[노멀]] || 미국 || 미국 최초 수록 || || OTS Tournament Pack 5 || OP05-EN013 || [[슈퍼 레어]] || 미국 || || || 2018 Mega-Tin Mega Pack || MP18-EN023 || [[노멀]] || 미국 || || == 관련 카드 == === 드래고닉D === [[파일:external/www.ka-nabell.com/card100046347_1.jpg]] [include(틀:유희왕/카드, 마법=, 필드=, 한글판명칭=드래고닉D(다이아그램), 일어판명칭=ドラゴニックD(ダイアグラム), 영어판명칭=Dragonic Diagram, 효과1=①: 필드의 "진룡" 몬스터의 공격력 / 수비력은 300 올린다., 효과2=②: 이 카드가 필드 존에 존재하는 한\, 어드밴스 소환한 "진룡" 몬스터는 각각 1턴에 1번만 전투로는 파괴되지 않는다., 효과3=③: 1턴에 1번\, 자신 메인 페이즈에 발동할 수 있다. 이 카드 이외의 자신의 패 / 필드의 카드 1장을 골라 파괴하고\, 덱에서 "진룡" 카드 1장을 패에 넣는다., )] [include(틀:유희왕/리미트 레귤레이션, OCG=준제한 카드, TCG=제한 카드, 마스터듀얼=제한 카드)] ①의 효과는 평범한 타점 증가 효과로, 진룡황 V 및 V.F.D.의 타점은 3000 너머로 올라가고, 상급 진룡 몬스터들은 최상급 몬스터 수준의 공격력을 갖추게 된다. ②의 효과는 어드밴스 소환한 진룡 몬스터에게 1회 전투 내성을 부여해 준다. 진룡황은 자체 효과로 특수 소환되는 일이 많을 테니 주로 진룡 덱에서 효과를 볼 수 있는데, 상급 진룡 몬스터들은 필드에 남아 있으면 지속적으로 어드밴티지를 창출하기 때문에 나쁘지 않은 효과이다. ③의 효과는 패나 필드의 카드를 1장 파괴하고 진룡 카드를 서치하는 효과. 굉장히 우수한 효과로, 명칭 제약도 없고 패 / 필드의 아무 카드나 고르고 파괴할 수 있으며, 진룡 카드기만 하면 뭐든 패에 넣을 수 있다. 패 / 필드의 '''카드''' 1장을 고르고 파괴하기에, 진룡 지속 마법 / 함정이나 [[공수의 고동]] 출신 공룡족 등 유언 효과가 달린 카드를 부숴서 효과를 발동하거나, 세트된 속공 마법에 효과를 걸고 그 속공 마법으로 체인을 거는 식으로[* 다른 체인이 걸리지 않는 한, 체인 블록의 모든 효과 처리가 끝날 때까지 카드가 필드에 남으므로 파괴할 수 있다.] 어드밴티지 소모를 없앨 수도 있다. 진룡검황과 진룡기병의 경우 마법 카드를 제물로 해서 소환되면 마법 카드의 효과를 받지 않게 되는 만큼 이 카드의 효과는 포기해야 한다. 진룡 및 진공룡성의 위세가 높아지면서 진룡검황 마스터P와 함께 2017년 7월에 제한, 2017년 10월에 금지 카드가 됐다. 이후 OCG에서 2019년 10월에 십이수의 회국과 함께 제한, 2023년 10월에 준제한으로 완화됐다. TCG에선 [[염왕#염왕의 고도|염왕의 고도]]의 상위 호환[* 고도는 파괴 / 제외시 자기 몬스터를 파괴하는 디메리트가 있지만, 드래고닉D는 이런 디메리트도 없으며, 진룡 카드들의 효과도 범용성 면에서 더 우수하다.]인 이 카드를 시크릿 레어로 올려버렸다. 2020년 1월 20일엔 제한 카드가 됐다. 일러스트는 그동안 진룡검사 마스터P가 다른 종족에게 힘을 준 것의 반대로 힘을 받았던 메탈포제(스티에렌), 크리스트론(쿠온), 십이수(모르모래트)가 진룡검사에게 힘을 주고 있다. 이에 반응하여 진룡봉황 마리암네가 강림한다. 모티브는 스페리올 드래곤이 알가스 기사단의 혼과 합체하여 스페리올 드래곤 EX가 되는 장면. '''수록 팩 일람''' || '''수록 팩''' || '''카드 번호''' || '''레어도''' || '''발매 국가''' || '''기타 사항''' || || [[맥시멈 크라이시스]] || MACR-KR053 || [[노멀]] || 한국 || 한국 최초 수록 || || [[맥시멈 크라이시스|MAXIMUM CRISIS]] || MACR-JP053 || [[노멀]] || 일본 || 세계 최초 수록 || || [[맥시멈 크라이시스|Maximum Crisis]] || MACR-EN053 || [[시크릿 레어]] || 미국 || 미국 최초 수록 || || Battles of Legend: Relentless Revenge || BLRR-EN096 || [[시크릿 레어]] || 미국 || || || 2018 Mega-Tin Mega Pack || MP18-EN015 || [[시크릿 레어]] || 미국 || || == 관련 문서 == *[[진공룡성]] [[분류:유희왕/OCG/카드군]][[분류:유희왕/OCG/환룡족]][[분류:유희왕/OCG/엑시즈 소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