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KBS 월화 드라마(1996~2000))] ||<-3> '''[[KBS 2TV|[[파일:KBS 2TV 로고(1984-2018) 화이트.svg|width=44]]]] 특집 미니시리즈'''[br][[파일:진달래 꽃 필때까지 로고.png|width=150]] (1998)[br]{{{-2 ''진달래꽃 필때까지[br]Until the Azalea Blooms''}}} || ||<-3>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h4j09jg104alk.png|width=100%]]}}} || ||<-2> '''방송 시간''' ||월 · 화 / 오후 9:50 || ||<-2> '''방송 기간''' ||[[1998년]] [[1월 5일]] ~ [[1998년]] [[1월 26일]] || ||<-2> '''방송 횟수''' ||8부작 || ||<-2> '''채널''' ||[[KBS 2TV|[[파일:KBS 2TV 로고(1984-2018).svg|width=40]]]] || ||<|3> '''제[br]작[br]진''' || '''CP''' ||염현섭 || || '''연출''' ||[[홍성덕]] || || '''극본''' ||윤혁민, 박영숙, [[정성산]] || ||<-2> '''출연''' ||[[염정아]], [[유태웅]], [[윤동환(배우)|윤동환]], [[박근형]] 外 || [목차] [clearfix] == 개요 == || 북한 사회의 예술가들을 중심으로 북한 사회의 권력층의 실상과 일반 서민들의 생활상을 적나라하게 묘사한다. || || {{{-1 이 작품의 시놉시스}}} || '''진달래꽃 필때까지'''는 1998년 1월 5일부터 동월 26일[* 7회와 8회(마지막회)는 연속 방영되었다.]까지 방영되었던 [[KBS 2TV]] [[월화 드라마]]이며, 총 8부작이다. 극본은 윤혁민 외 2명, 연출은 [[홍성덕]] PD, 무술감독은 김백수, 무용총괄은 김향금[* 당시 [[창원대학교]] 무용학과 교수], 음악은 구훈과 이임우, 편곡은 박찬혁 등이 맡았다. 기획 당시의 제목은 《두 개의 조국》이기도 했다.([[https://www.chosun.com/site/data/html_dir/1997/11/17/1997111770343.html|조선일보 기사]]) == 특징 ==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xptZ8XWg5d4)]}}} || ||<-2> {{{#fff '''1회 영상'''}}} || 만수대 무용단원 출신 탈북자 신영희가 1996년에 쓴 동명의 수필을 원작으로 했다. 이 작품은 실제 북한 기쁨조의 일상과 같은 북한 사회 내부를 최대한 사실적으로 그린 드라마이나, 원작자 신영희가 북한에 남겨진 가족들이 위험해질 수 있다 하여 드라마 제작 동의를 번복하고 KBS를 상대로 방영금지 가처분 신청을 냈다가 [[https://newslibrary.naver.com/viewer/index.nhn?articleId=1998010600329123016&editNo=30&printCount=1&publishDate=1998-01-06&officeId=00032&pageNo=23&printNo=16322&publishType=00010|기각됐고]], 북한 측으로부터는 [[https://newslibrary.naver.com/viewer/index.nhn?articleId=1997111800239131003&editNo=1&printCount=1&publishDate=1997-11-18&officeId=00023&pageNo=31&printNo=23886&publishType=00010|폭파 협박을 받는 등]] 우여곡절이 있었다.([[https://www.joongang.co.kr/article/3590943|중앙일보 기사도 참고]]) 메인 타이틀은 [[https://www.youtube.com/watch?v=fmsIEjdPy5w|ALEXANDROS]]. MBC에서 같은 시간대에 방영한 드라마 [[복수혈전(드라마)|복수혈전]]에는 밀렸으나 시청률은 준수한 편이었다. 2021년 5월 18일부터 5월 25일까지 KBS 유튜브 채널 '같이삽시다'에 매일 저녁마다 업로드되었다. 현대 한국어 맞춤법에 의하면 "진달래꽃 필 때까지"로 표기해야 하나, 당시 타이틀에는 "진달래꽃 필때까지"로 표기되었다. == 등장인물 == === 주요 인물 === * [[염정아]]: 주명희 역 원작자 신영희를 모티브로 한 인물. [[피바다가극단]]과 [[만수대예술단]], [[기쁨조]]에서 다시 피바다가극단을 거쳐 결혼 후 [[영국]]에서 [[대한민국]]으로 망명한다. * [[유태웅]]: 강룡남 역 원작자 신영희의 남편인 최세웅을 모티브로 한 인물. 주명희의 남편. [[김일성종합대학]] 출신의 엘리트로, "붉은 자본가"의 칭호를 얻고 영국으로 파견되었다가 일가를 이끌고 대한민국으로 망명한다. * [[윤동환(배우)|윤동환]]: 한지욱 역 인민군 출신의 대남공작부 공작원으로, 이철규의 직속 부하. 평생 주명희를 연모하며, 마지막에는 주명희 일가의 남한행을 돕고 본인은 다른 공작원들과 자폭한다. * [[박근형]]: 이철규 역 인민무력부 부부장. 김경희와 껄끄러운 관계를 형성하며, 김경희의 강력한 신임을 받는 강룡남을 견제하기 위해 한지욱을 통해 갖은 수단을 동원한다. === 주변 인물 === * [[허진]]: [[김경희(1946)|김경희]] 역 김씨 일가의 사적 비자금까지 맡길 정도로 강룡남을 강력히 신임한다. * [[박웅(배우)|박웅]]: 강보현 역 강룡남의 아버지. 재정경리부 부장. * [[정동환]]: [[김정일]] 역 * [[박원숙]]: 백연순 역 오기탁의 처. * [[정욱(1938)|정욱]]: [[황장엽]] 역 * [[전무송]]: 박현택 역 만수대예술단 단장. * [[백윤식]]: 백운수 역 피바다가극단 연출가. * [[허윤정(배우)|허윤정]]: 김수인 역 우인희의 딸. 훗날 이철규 측에서 룡남을 곤경에 빠뜨리기 위해 수인을 일본인 유끼꼬[* 암호명 목란꽃]로 만들어 접근시킨다. 결국 모든 사실을 명희에게 털어놓고 자살한다. * [[김진태(배우)|김진태]]: 오기탁 역 런던 주재 북한 대표부 부대표. * [[신귀식]]: 런던 주재 북한 대표부 대표 역. * [[문회원]]: 장철 역 문예부 부부장. 김씨 일가의 환심을 사기 위해 물불 가리지 않는 성격이다. * [[금보라]]: 수경 역 남포시당 세포지도원. * [[김청]]: 림혜옥 역 명희에게 무용[* 김청은 실제로 무용과([[경희대학교]]) 출신이다.]을 가르쳐 준 스승으로, [[최승희]]의 제자로 묘사된다. * [[노현희]][* 실제로 무용과([[한성대학교]]) 출신이다.]: 황건실 역 명희와 함께 피바다가극단에 차출된 후 [[김영일(북한)|김영일]]의 눈에 들어 그의 애첩이 되나 후에 버림받는다. * [[김일우]]: 경남 역 강룡남의 친구. 명희와 룡남을 이어준다. * [[김봉근(배우)|김봉근]]: 주명희의 아버지 역 * [[한영숙]]: [[최은희(배우)|최은희]] 역 * 나오미: 우인희 역 인민배우의 위치에까지 오르나, 재일교포 김홍송과 바람이 났다는 이유로 공개처형[* [[https://www.rfa.org/korean/weekly_program/ae40c528c77cac00c758-c228aca8c9c4-c9c4c2e4/hiddentruth-01032017091619.html|이 기사]]에 의하면, 김정일이 다른 애첩들에 대한 본보기 및 자신의 후계자 승계 작업에 대한 걸림돌 제거 목적으로 고작 바람난 것 하나로 우인희를 처형했다고 한다.]을 당한다. * [[하재영]]: 김홍송 역 재일교포 출신 주정기를 모티브로 한 인물. 우인희의 연인으로, 우인희와 함께 자살을 기도하였으나 자신만 죽고 우인희는 살아남는다. * [[박건식]]: 런던 주재 북한 공작원 역 이철규의 직속 부하. * 최여름: 최희숙 역 [[자강도]] 출신의 피바다가극단원. 건실에 앞서 잠시동안 김영일의 애첩이 되었다가 버림받고, 훗날 중앙당 사진사가 된다. * 홍승희: 성애순 역 피바다가극단 및 만수대예술단, 기쁨조원. 기쁨조 공연 후 "전투적 명령"이라며 [[조선로동당]] 자금을 지원할 흑인에게 선물로 제공되어 겁탈당한 후 자살한다. * [[김지연(1979)|김지연]]: 김승희 역 피바다가극단 및 만수대예술단원. 2호 행사[* 김정일이 관람하는 공연. 김일성이 관람하는 행사는 '1호 행사'로 지칭한다.]에서 실수를 한 것이 오히려 김정일의 눈에 들어 주석궁에 들어가 김씨 일가의 애첩이 된다. * 조승희[* KBS 슈퍼탤런트 출신으로, 이 쪽도 실제로 무용과([[이화여자대학교]]) 출신이다.]: 림숙희 역 피바다가극단 및 만수대예술단, 기쁨조원. * [[박정철]][* 당시에는 본명 박철로 출연했다.]: 주명철 역 명희의 동생. * 이승혁: 강국철 역 룡남과 명희의 아들. * 김지원: 강은별 역 룡남과 명희의 딸. 룡남 일가가 런던에 간 후 사실상 인질로 북한에 남아있다가, 룡남에 대한 김경희의 포상의 일종으로 런던에 합류한다. * 이원희: [[김영일(북한)|김영일]] 역 김정일의 이복동생. * [[이치우(1939)|이치우]]: [[오진우]] 역 인민무력부 부장. * [[김기현(성우)|김기현]]: 런던 주재 대한민국 영사 역 === 기타 === * 김은영 * 김옥만 * 고희준 * 최용욱 * 김대환 * 정휘석 * 김규 * 황석규 * 김진국 * 송경화 * 황민 * [[양재성]] * [[고세원]] * [[이칸희]] * 장세례 * 유민주 * [[강양화]] * 문지현 * 양재원 * [[정의갑]] * 안홍진 * [[기정수]] * 곽정희 * 류복녀 * 최상길 * 이재연 * 손주연 * 구본영 * 김미리 * 오성렬 * 유지연 == 여담 == * 1회 오프닝 영상을 보면 이미 최종회까지 사전에 촬영이 완료된 것으로 보인다.[* 일종의 [[옥의 티]]로, 7회에 등장하는 [[런던 히드로 공항]]의 시계에 1997년 10월 6일이라는 날짜가 나온다. 이 또한 이미 방영 전에 촬영이 완료된 것을 알 수 있는 부분.] * 1978년부터 1996년까지 19년간의 일들을 8회분으로 구성하기 때문에 극의 흐름이 매우 빠른 편이다. * 서울 [[선화예술고등학교]], [[경기상업고등학교]], [[세종연구소]], [[리틀엔젤스]]예술회관, [[한국마사회]] 원당목장 등의 장소협조를 받아 촬영했다. * [[영국]]과 [[오스트리아]] 등에서의 씬은 현지 로케이션으로 촬영하였다. * 달리는 차창 밖의 [[평양]] 시내 풍경이나 [[덩샤오핑]]과 [[김일성]]의 모습 등은 CG로 처리했는데, 아무래도 1990년대 기술이다 보니 CG 티가 많이 난다. * 주인공 [[염정아]]와 [[유태웅]]을 비롯하여 허진, 박근형, 정욱, 백윤식, 허윤정, 박원숙, 김진태, 김일우, 박정철, 이치우 등 [[중앙대학교 연극영화과]] 출신[* 서라벌예술대학 포함] 배우들이 상당수 출연한다. * 김경희 역을 맡은 허진과 오진우 역을 맡은 이치우는 1982년에 방영된 [[지금 평양에선]]에서도 같은 배역으로 출연한 적이 있다. * [[무용]] 씬마다 [[창원대학교]] 무용과 학생들이 나오기도 했다. [[분류:1998년 드라마]][[분류:1998년 종영]][[분류:KBS 월화 드라마]][[분류:북한/창작물]][[분류:8부작 드라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