眞功 (? ~ 681년) [목차] == 개요 == [[신라]] 중대의 [[장군]], [[정치인]]. [[삼국통일전쟁]]의 주요 전쟁공신이지만 이후 [[신문왕]]에게 찍혀 [[김흠돌의 난]] 때 [[숙청]]되는 비운을 맞는다. [[일길찬]](7품), [[대아찬]](5품) 관직을 지낸 점을 미뤄보면 [[진골]] 귀족일 가능성이 높다. == 생애 == 668년 제3차 [[고구려-당 전쟁]]에서 고구려의 패색이 짙어지자 정세를 살피던 신라군도 본격적으로 북진하기 시작했다. 그 과정에서 지금의 [[황해도]] 지역의 2군 12성이 큰 전투 없이 순순히 항복하자 문무왕은 [[웅진도독부]]에 있던 [[당나라]]의 [[유인원(당나라)|유인원]]에게 [[일길찬]] 진공을 보내 이를 알렸다. 그리고 고구려 멸망 과정에서 공을 세워 [[대아찬]]으로 2관등 승진했다. 670년, [[당나라]]와 [[나당전쟁]]이 벌어지자 신라군은 우선 옛 백제 땅에 남아있던 당나라 휘하 [[웅진도독부]]를 공격해 제압한다. 당나라가 [[황해]] 바다를 건너 지원군을 보낼 것에 대비하기 위해 대아찬 진공을 옹포(甕浦) 포구에 배치해 지키게 했다. 나당전쟁 과정에서 공을 세워 [[파진찬]]으로 승진했다. 이렇게 공을 세웠지만 [[문무왕]] 말년에는 역심을 품고 [[김흠돌]], [[김군관]], [[김흥원]] 등과 [[반란]]을 준비했다. 그러나 문무왕이 붕어한 후 문무왕의 [[장례]] [[상복]]을 벗기도 전에 [[신문왕]]이 반란 세력의 리더급인 [[김군관]]의 관직을 강등하는 선수를 쳤고, 이들은 서둘러 [[김흠돌의 난]]을 일으켰지만 실패해서 처형당했다. [[분류:신라의 귀족]][[분류:681년 사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