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연희무쌍 시리즈)] [[파일:attachment/진 연희몽상 소녀대전 삼국지연의/cc.jpg|width=575]] 真・恋姫†夢想 ~乙女対戦★三国志演義~ * [[http://koihi.me/|공식 홈페이지]] [목차] == 개요 == 《[[진 연희무쌍]]》의 아케이드용 [[대전액션게임]]. [[2011년]] [[5월]]에 로케테스트를 진행하며 7월 말에 정식 가동. 본토에선 6월 27에 1.20으로 업그레이드된 상태고, 이수 테마파크도 당연히 최신 버전. 기판은 PC기반의 자체기판을 사용하나, 연희연무 업그레이드에서는 [[RINGEDGE]] 2를 사용한다. 이후 [[ALLS]] UX로 요래래라는 이름을 붙이고 재출시. 해상도는 와이드. 하지만 일부 대회 영상에서는 4:3으로 화면을 줄여버린 영상도 있기 때문에 헷갈리기가 좀 쉽다. 2013년에 PC판으로 발매했으며, 2014년에 PS3으로 이식되었다. 원래는 진 연희무쌍 ARCADE EDITION이란 가제로 공개했지만, [[코에이 테크모]]의 [[무쌍 시리즈]]와의 타이틀 분쟁을 피하기 위해서 최종적으로는 《진 연희몽상 소녀대전 삼국지연의》란 제목으로 결정되었다. 게임은 플레이어가 조작하는 메인 캐릭터와 서포트 캐릭터인 [[군사]]로 2인 1조로 진행하는 방식이다.[* 하지만 [[뱅가드 프린세스]]나 [[AQUAPAZZA]]처럼 대놓고 서포터가 나오는 건 아니고, 236D 커맨드로 화면 밖에서 서포트 캐릭터가 기술을 시전하는 형식.] 연희 시리즈의 인기에 힘입어 나온 격투 게임이지만 사용할 수 있는 캐릭터가 플레이어 캐릭터와 군사를 합치면 총 14명이란게 아쉬운 면. 그런데 신 버전(Ver 1.2)으로 업그레이드 되면서 신캐릭터 3명이 추가되었다. 아마 업그레이드하면서 추가될 예정인 모양. 음악 담당은 S.S.H.(사이타마 최종병기)[* 비디오 게임 락 어레인지로 유명한 동인 밴드.]가 담당하였다. 이후 연희연무 요래래라는 이름으로 아케이드 선출시 후 [[PS4]], PC로 이식되었다. == 줄거리 == ||각각의 무장들이 저마다 지새우던 어느 날, 갑자기 전국 각지에 간판이 세워졌다── ──그곳에 씌어있던 건, 현 황제가 내건 무도회 개최 선언과, 각지에 흩어져있는 강호들을 부르는 소리. ──"상금" "실력시험" "명예" 각각의 바람이 교차하는 가운데, 각지에 설치된 회장에서, 잇달아 싸움의 막이 올라간다.|| == 연희연무 == 恋姫†演武 플레이 캐릭터로 스이, 나기, 민메이가 그리고 군사로 에이가 추가된 일종의 확장 버전. 2016년 스팀판 출시. == 등장인물 == 굵게 표시된 캐릭터가 '''Ver 1.2부터 사용할 수 있게 된 캐릭터''', (★)표시가 된 인물은 '''연희연무에서 새로 들어온 캐릭터'''다. * 플레이어 캐릭터 * [[촉한]] - [[관우(진 연희무쌍)|관우(아이샤)]], [[장비(진 연희무쌍)|장비(링링)]], '''[[조운(진 연희무쌍)|조운(세이)]]''', [[마초(진 연희무쌍)|마초(스이)]](★) * [[위(삼국시대)|위]] - [[하후돈(진 연희무쌍)|하후돈(슌란)]], [[하후연(진 연희무쌍)|하후연(슈란)]], '''[[조조(진 연희무쌍)|조조(카린)]]''', [[악진(진 연희무쌍)|악진(나기)]](★), [[장료(진 연희무쌍)|장료(시아)]](★), [[서황(연희 시리즈)|서황(샨푸)]](★) * [[오(삼국시대)|오]] - [[손권(진 연희무쌍)|손권(렌파)]], [[감녕(진 연희무쌍)|감녕(시슌)]], '''[[손상향(진 연희무쌍)|손상향(샤오렌)]]''', [[주태(진 연희무쌍)|주태(민메이)]](★) * [[동탁]]군 - [[여포(진 연희무쌍)|여포(렌)]] * 군사 * 촉 - [[제갈량(진 연희무쌍)|제갈량(슈리)]], [[방통(진 연희무쌍)|방통(히나리)]], [[가후(진 연희무쌍)|가후(에이)]](★) * 위 - [[순욱(진 연희무쌍)|순욱(케이파)]], [[정욱(진 연희무쌍)|정욱(후우)]], [[곽가(연희 시리즈)|곽가(린)]](★) * 오 - [[주유(진 연희무쌍)|주유(메이린)]], [[여몽(진 연희무쌍)|여몽(아세)]] * 동탁군 - [[진궁(진 연희무쌍)|진궁(네네네)]] == 기타 == * 버튼 배열만 보고 '체인 있나' 생각 할지도 모르지만, 이 게임은 [[체인콤보]]같은거 없다(...). 대신 기본기 히트시 필살기로 캔슬은 가능하다. 그래서인지 꽤 템포가 느린 게임. * 특이하게도 대부분의 격투 게임처럼 도트를 찍어서 사용하지 않고 3D 모델링을 그대로 애니메이션화시켜서 사용한다(!) * 모든 특수기나 특정 기본기를 카운터 히트시키면 '몽상 연격'으로 돌입하여, 쉽게 콤보를 넣어주는게 가능하다. 게이지가 전부 차있으면 전캐릭터 공통 236B+C 입력으로 간단하게 피니시를 낼수도 있다. * 서울 이수의 테마파크 게임랜드에 한글화되어 들어왔다. 하지만 엔딩 대사는 일본어 그대로인 상태. [[web 연희 몽상]]이 정식 서비스가 되고 있으니 자연스럽...나? 테스트 끝내고 빠져나갔다. 국내에서 정식으로 만나볼 수 있을지는 미지수 * 그런데, 이 게임의 데이터를 해독한 결과 [[M.U.G.E.N.]]의 소스코드를 응용해서 제작되었다는 의혹이 해외 무겐 포럼에서 제기되었다.([[http://mugenguild.com/forum/topics/shin-koihime-musou-otome-taisen-151166.0.html|#]]) * 여담으로 모탈 컴뱃 팬게임이 연희연무 스테이지 배경으로 사용되었다. [[분류:연희 시리즈]][[분류:PlayStation 3 게임]][[분류:2011년 아케이드 게임]][[분류:PlayStation 4 게임]][[분류:Windows 게임]][[분류:대전 격투 게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