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바람의 나라(게임)/생산)] [목차] == 개요 == [[바람의 나라(게임)|바람의 나라]]의 [[바람의 나라(게임)/생산|생산]] 분류 중 하나. 필드에서 식물를 채집해 직물을 만드는 1차 생산에 속하며 직조술의 결과물은 [[재봉술]]의 기초 재료가 된다. 그 외에도 각종 반지류나 병풍 등의 가구같은 완성품을 독자적으로 생산할 수도 있다. 채집 도구는 [[낫]], 재료 가공 도구는 [[북(악기)|북]], 작업대는 [[베틀]]이다. == 채집물 == || '''{{{#goldenrod 단계}}}''' || '''{{{#goldenrod 채집물}}}''' || '''{{{#goldenrod 등장 지역}}}''' ||<-2> '''{{{#goldenrod 수확물}}}''' || ||<|3> {{{#goldenrod 왕초보}}} || [[파일:external/s.nx.com/img_produce030101.gif]][br]보리 || 각 성 통로 || 보리볏짚, 보리쌀뭉치, 직조'보물상자(1)[* 상급새끼줄 2개, 돌촉 2개] || || [[파일:external/s.nx.com/img_produce030102.gif]][br]논벼 || 각 성 통로 || 볏짚, 쌀뭉치, 조제'보물상자(1)[* 돌창2개, 주먹밥3개] || || [[파일:external/s.nx.com/img_produce030103.gif]][br]쪽풀 || 쥐굴 || 쪽꽃, 쪽잎 || || {{{#goldenrod 초보}}} || [[파일:external/s.nx.com/img_produce030104.gif]][br]황마풀 || 여우굴5~10, 대방성고양이굴, 대연지봉, 염유굴 || 황마실, 황마꽃, 황마잎 || || {{{#goldenrod 견습}}} || [[파일:external/s.nx.com/img_produce030105.gif]][br]아마풀 || 자호굴8~10, 도삭산 184~200층 || 아마실, 아마잎 || || {{{#goldenrod 도제}}} ||<|2> [[파일:external/s.nx.com/img_produce030106.gif]][br]모시풀 ||<|2> 사마귀굴9~10, 전갈굴9~10, 게장군굴, 대각봉6~10 ||<|2> 모시실, 모시풀잎 || || {{{#goldenrod 숙련}}} || || {{{#goldenrod 전문}}} ||<|3> [[파일:external/s.nx.com/img_produce030107.gif]][br]목화 ||<|3> 살쾡이굴5~10, 광동천리마굴6~10 ||<|3> 무명실, 목화잎 || || {{{#goldenrod 장인}}} || || {{{#goldenrod 명장인}}} || || {{{#goldenrod 대장인}}} || [[파일:external/s.nx.com/img_produce030108.gif]][br]홍화 || 현도성 후굴, 청의태자굴, 도삭산 994/997층 || 홍화잎, 홍화꽃 || || {{{#goldenrod 절대장인}}} || [[파일:external/s.nx.com/img_produce030109.gif]][br]치자나무 || 북방 34/36/38층 || 치자나무잎, 치자열매 || || {{{#goldenrod 전설장인}}} || [br]금화 || 물안개협곡 중앙, 북, 북동 || 금화잎, 금화꽃 || == 제작 물품 == || '''{{{#goldenrod 단계}}}''' || '''{{{#goldenrod 완성품}}}''' || '''{{{#goldenrod 재료}}}''' || ||<|2> {{{#goldenrod 왕초보}}} || 새끼줄 || 볏짚2, 보리볏짚2 || || 삼베천 || 새끼줄1, 삼베실1 || ||<|6> {{{#goldenrod 초보}}} || 황저포 || 삼베천1, 황마실2 || || 경원장갑 || 곰가죽5, 경원의문장1, 황저포1, 연옥가루1 || || 경원팔찌 || 곰가죽5, 경원의문장1, 황저포1, 화살통나무2 || || 경원반지 || 곰가죽5, 경원의문장1, 황저포1, 연옥석2 || || 경원선류 || 곰가죽5, 경원의문장1, 황저포1, 쑥가루1 || || 경원깍지 || 곰가죽5, 경원의문장1, 황저포1, 삼통나무2 || ||<|3> {{{#goldenrod 견습}}} || 아마천 || 황저포1, 아마실3 || || 사군자6폭병풍 || 아교1, 중급소나무판자1, 아마천1 || || 곤지 || 황마잎2, 빛나는돌가루2, 쪽꽃1 || ||<|3> {{{#goldenrod 도제}}} || 신선도6폭병풍 || 아교1, 청동결정1, 중급은행나무판자1, 모시천1 || || 모시천 || 아마천1, 모시실4 || || 반창고 || 쑥가루2, 아마실2, 중급아마천2 || ||<|5> {{{#goldenrod 숙련}}} || 파천장갑 || 게등껍질5,파천의문장1, 구리조각1, 모시천2 || || 파천팔찌 || 문어의심장1,파천의문장1, 중급대나무판자1, 모시천2 || || 파천반지 || 게등껍질5,파천의문장1, 구리조각1, 연옥1, 중급아마천2 || || 파천선류 || 문어의심장1, 파천의문장1, 중급대나무판자1, 연옥1, 중급아마천2 || || 파천깍지 || 게등껍질5,파천의문장1, 구리조각1, 연옥1, 대나무판자2 || ||<|2> {{{#goldenrod 전문}}} || 무명천 || 모시천1, 무명실5 || || 꽃무늬복면 || 적옥가루2, 적옥1, 상급모시천2, 황마꽃1, 쪽꽃1 || ||<|3> {{{#goldenrod 장인}}} || 양모천 || 무명천1, 양모실5 || || 복면 || 도삭산묘피1, 떡갈나무잎2, 강철쇠조각1, 양모천2 || || 연꽃화관 || 연꽃1, 영지버섯2, 중급무명천2, 상급대나무판자2 || ||<|6> {{{#goldenrod 명장인}}} || 금강장갑 || 금강의문장1, 백현목1, 반송잎1, 은괴2, 중급양모천2 || || 금강팔찌 || 금강의문장1, 백현목1, 산인삼잎1, 강철쇠조각2, 비단2 || || 금강반지 || 금강의문장1, 자현목1, 산인삼잎1, 은괴2, 중급양모천2 || || 금강선류 || 금강의문장1, 자현목1, 반송잎1, 중급반송판자2, 비단2 || || 금강깍지 || 금강의문장1, 백현목1, 연옥2, 금강송판자2, 상급무명천2 || || 비단 || 양모천1, 명주실5 || ||<|2> {{{#goldenrod 대장인}}} || 사각복면 || 산양삼잎2, 은광결정2, 백옥2, 중급비단2 || || 오봉산도6폭병풍 || 적옥가루2, 청옥가루2, 주급은괴2, 아교1, 비단2 || ||<|5> {{{#goldenrod 절대장인}}} || 바람제일식장갑 || 바람의문장1, 황금호박10, 황금조각1, 금괴2, 상급비단3 || || 바람제일식팔찌 || 바람의문장1, 황금호박10, 황금실1, 중급백송판자2, 상급비단3 || || 바람제일식반지 || 바람의문장1, 황금호박10, 천금조각1, 상급떡갈나무판자3, 상급비단3 || || 바람제일식선류 || 바람의문장1, 황금호박10, 황금실1, 은조각2, 상급비단3 || || 바람제일식깍지 || 바람의문장1, 황금호박10, 상급은괴2, 상급비단3 || ||<|5> {{{#goldenrod 전설장인}}} || || || == 단계 상승 제물 == || '''{{{#goldenrod 단계 이동}}}''' || '''{{{#goldenrod 제물}}}''' || || {{{#goldenrod 왕초보→초보}}} || 새끼줄 3개, 노란비서 50개, 박쥐고기 10개, 금전 1천전 || || {{{#goldenrod 초보→견습}}} || 황저포 3개, 백세주 5개, 뱀고기 20개, 금전 5천전 || || {{{#goldenrod 견습→도제}}} || 아마천 3개, 뇌진도, 철도, 금전 1만전 || || {{{#goldenrod 도제→숙련}}} || 모시천 3개, 영양통구이, 초록시약, 금전 3만전 || || {{{#goldenrod 숙련→전문}}} || 횃불, 진명삼지창, 금전 16만전 || || {{{#goldenrod 전문→장인}}} || 무명천 3개, 진호박단추 2개, 상어의심장 5개, 금전 15만전 || || {{{#goldenrod 장인→명장인}}} || 양모천 5개, 일광방패, 이가닌자의독 5개, 금전 50만전 || || {{{#goldenrod 명장인→대장인}}} || 비단 3개, 이가닌자의검, 녹산소괴의뿔 10개, 금전 200만전 || || {{{#goldenrod 대장인→절대장인}}} || 주작혈안진, 금의가면 10개, 금전 1천만전 || || {{{#goldenrod 절대장인→전설장인}}} || 상급비단 50개, 마고의혈석, 금전 1억5천만전 || == 공략 == 주로 직물을 만든다. 왕초보 단계에서부터 벌목 생산 물품인 삼베실이 들어가지만 다행히도 저 삼베실은 벌목의 왕초보 단계에서 만든다. 채집물이 1차 생산 4종류중 가장 적다. 숙련 단계와 장인 단계, 명장인 단계에서 새로 추가되는 채집물이 없기 때문이다. . 이 생산 기술에서 잘 팔리는 아이템은 아이템 제작을 상급으로 맞춰 놓고 뽑으면 나오는 상급모시천과 상급무명천 등 상급 천 아이템이다. 단, 모시천 이하 수준의 상급 천은 별 쓸모 없다. 모시천 이하는 그냥 재료로 쓰게 하급으로 뽑자. 재봉술 대장인 이상 찍을 계획 있든지 없든지 양모천은 상급으로 뽑도록 하자.[* 상급양모천 나오면 판매해도 되며 중급양모천은 조각으로 만들어 방패방어강화부적의 중요재료이므로 강화술 수련하는데 쓰도록 하자.] [[분류:바람의 나라(게임)/생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