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 [[파일:서울특별시 휘장_White.svg|width=30&height=30]] '''[[서울특별시의 유형문화재|{{{#ffffff 서울특별시의 유형문화재}}}]]''' || || 119호 ||<|2> ← || '''120호''' ||<|2> → || 121호 || || [[지장사 현왕도]] || '''지장사 팔상도''' || [[만월암 석불좌상]] || ---- ||<-2> [[파일:서울특별시 휘장_White.svg|width=28]] '''[[서울특별시의 유형문화재|{{{#ffffff 서울특별시 유형문화재 제120호}}}]]''' || ||<-2> {{{#fff {{{+1 '''지장사 팔상도'''}}}[br]{{{-1 地藏寺 現王圖}}}}}} || ||<-2>{{{#!wiki style="margin: -10px"; margin-top: -5px; margin-bottom: 16px" [include(틀:지도, 장소=호국지장사, 너비=100%, 높이=100%)]}}}|| || '''{{{#fff 소재지}}}''' || [[서울특별시]] [[동작구]] [[현충로(서울)|현충로]] 210[br]([[동작동]], 호국지장사) || || '''{{{#fff 분류}}}''' || 유물 / 불교회화 / 탱화 / 기타 || || '''{{{#fff 수량 / 면적}}}''' || 1幅 || || '''{{{#fff 지정연도}}}''' || [[1999년]] [[5월 19일]] || || '''{{{#fff 제작시기}}}''' || [[조선시대|조선 말기]]([[19세기]] 말) || || '''{{{#fff 소유자[br](소유단체)}}}''' || 호국지장사 || || '''{{{#fff 관리자[br](관리단체)}}}''' || 호국지장사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지장사_팔상도.jpg|width=100%]]}}} || || {{{#fff ''' 지장사 팔상도[* [[https://www.heritage.go.kr/heri/cul/imgHeritage.do?ccimId=2588072&ccbaKdcd=21&ccbaAsno=01200000&ccbaCtcd=11|사진 출처 - 문화재청 국가문화유산포털.]]] '''}}} || [목차] [clearfix] == 개요 == [[국립서울현충원]] 내 [[절(불교)|사찰]]인 호국지장사의 대웅전에 있는 팔상도이다. 1999년 5월 19일에 [[서울특별시의 유형문화재|서울특별시 유형문화재]] 제120호로 지정받았다. == 상세 == 팔상도는 [[부처님]]의 인생을 그린 그림이다. [[비단]]에 그렸으며, 가로 길이는 190.5cm이고 세로 길이는 153cm이다. 그림 1폭에다 8면을 그렸으며 위, 아래로 나누어 각각 4면으로 구성했다. 순서는 오른쪽에서 왼쪽으로 진행된다. 도솔래의상 - 비람강생상 - 사문유관상 - 유성출가상이 상단에 있고, 설산수도상 - 수하항마상 - 녹원전법상 - 쌍림열반상이 하단에 있다. 도솔내의상은 하늘 세계 중 네번째인 도솔천에서 호명보살이 내려오는 모습이다. 비람강생상은 [[룸비니]] 동산에서 [[부처님]]이 샤카국의 왕자로서 태어나는 모습이고, 사문유관상은 [[태자]]가 된 부처님이 성문 4곳에서 백성들의 모습을 통해 생로병사에 대해 생각하는 모습이다. 이는 부처님이 출가를 결심하는 계기가 된 일화로서, 불교 역사에서 매우 중요한 순간이다. 유성출가상은 결국 부처님이 궁을 떠나 출가하는 모습이다. 설산수도상은 출가 후 눈덮인 산으로 들어가 비구니 5명과 마주앉아 수행하는 모습이다. 수하항마상은 [[마군]]이 부처님을 방해하려 온갖 술수를 쓰나 실패하고 부처님에게 무릎을 꿇는 모습이다. 녹원전법상은 부처님이 처음으로 깨달음을 가르치는 모습으로, [[화엄경|화엄대법]]을 강하고 있다. 쌍림열반상은 부처님이 [[열반]]에 드는 모습을 그린 것이다. [각주] ---- [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지장사 지장시왕도, version=1)] [[분류:불화]][[분류:서울특별시의 유형문화재]][[분류:조선의 회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