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 [[파일:개콘 지역광고.jpg|width=100%]] || || 코너명 || 지역광고 || || 시작 || [[2007년]] [[4월 29일]] || || 종영 || [[2007년]] [[9월 16일]] || || 출연진 || [[정범균]], [[최효종]], [[김기열]], [[안윤상]] || || 오프닝 || [[익스#s-4|익스]] - 잘 부탁드립니다 || [목차] == 개요 == [[개그콘서트]]의 前 코너. 당시 신인들이었던 정범균, 최효종, 김기열이 출연했다.[* 이 코너가 첫 방송일 때 최효종이 최효정으로 나오는 실수가 있었다.] 7월 22일부터는 [[안윤상]]도 합류했다.[* 출연진들 중 김기열만 유일하게 21기고, 나머지 셋은 전원 22기다.] 당시 코너 자막 및 내레이션 인트로에서는 '[[지금은 지역광고 시간입니다]]'라고 떴다.[* 담당 [[성우]]는 [[김영진(성우)|김영진]].] 동네에 있는 별의별 업체들이 다 나온다. '45년의 역사와 전통을 자랑하는[* 모든 작중 업체들이 공통적으로 45년 역사 전통 운운하다보니 방영년도 2007년 기준 45년 전인 1962년의 시대적 배경으로는 절대 나올 수 없는 고증오류적인 업체들도 있다.]' 가지각색의 것들이 나오고, 상표 이름은 종종 역설 혹은 반어법으로 나온다. 예를 들어서 결혼 전문 회사 '주식회사 '''[[결별]]'''', '최첨단 민속촌', '너나 가져 재활용 센터', '살로 가 다이어트센터', '관자놀이동산' 등. 그 뒤에 '정말이에요.'라고 하면서 하는 말이 시청자를 뒤집어지게 한다. 가령 [[거짓말은 하지 않는다|"저희 치킨집에서는 치킨 본연의 맛을 느끼게 해드립니다." 하면 "정말이에요. 치킨이라고 온 게 __닭 생고기__더라니까요" , "저희 중국집에서는 언제나 가족같은 서비스를 제공합니다."라고 하면, "정말이에요. 어찌나 가족같은지 배달 시간이 늦으니까 __저희 집에서 자고__ 가더라고요.", "저희 서커스단은 최고의 훈련을 거친 공연을 제공합니다."라고 하면 "정말이에요. 어찌나 원숭이들이 훈련이 잘 되어있는지, 돈을 안 주니까 __공연을 시작하지도__ 않더라구요." ]] 이런 식이다. 그리고 마지막에 발연기톤으로 구사하는 '어이쿠, 정말 깜짝 놀랐어요!'로 끝. 광고의 허구성을 비꼬는 코너. 코너는 꽤 떴지만, 정작 이 코너를 한 고정 출연진들은 누구들인지 모른다. 하지만 22기 신인들은 후에 개콘의 주축들로 우뚝 섰다. 그나마 묻히지 않고 존재감을 날렸던 인물은 [[김기열]]이다. 참고로 [[까다로운 변선생]] 방송분에서 [[변기수]](변선생)이 김기열 보고 네가 여태껏 한 것 중 재미있는 코너가 있었냐고 따져서 지역광고가 있었다고 하니까 변선생이 '''"정말이에요. 재미있었는데 [[까다로운 변선생|변선생]]보다 먼저 끝났더라니까요."'''라 드립쳤다. 그래도 이후 [[최효종]]과 [[정범균]]도 [[독한 것들]]을 통해 슬슬 입지를 넓혀가면서 [[봉숭아 학당(개그콘서트)|봉숭아 학당]], [[DJ변]]에 출연하여 이름을 알리게 되었다. 원래는 '[[개그사냥]]'이라는 [[KBS 2TV]]에서 하던 신인 발굴 프로그램(신인 혹은 개그맨을 꿈꾸는 사람들이 출연해서 직접 개그를 하고 심사를 받는 것)에서 나왔었는데 반응이 좋았는지 개콘에도 나왔다. '개그사냥' 버젼에서의 제목은 '쌍문동 동네광고'. 이후 매주마다 '개봉동 동네광고', '미아리 동네광고' 식으로 좀 촌스러워 보이는 동네의 이름을 붙여서 매주 제목이 바뀌는 식이다.[* 당시에는 김기열 자리에 정식 데뷔 전의 [[오기환]]이 출연.] 당연히 개그콘서트에서는 이런 [[지역드립|동네 비하식의 제목]]은 붙일 수 없어서 개콘 버전의 제목은 그냥 '지역광고'가 됐다. == 안윤상의 역대 성대모사 목록 == 2007.8.12 - [[정지혁]], [[김창후]], [[변희봉]] 2007.8.19 - [[이순재]], [[최민용]], [[스타크래프트]] 2007.8.26 - [[주몽(드라마)|주몽]] 등장인물들[* 이계인 역은 최효종이 했다.], 블루클럽 보이스웨어 2007.9.2 - [[이선균]], [[박지성]], [[이승엽]], [[최홍만]] 2007.9.9 - [[대조영(드라마)|대조영]] 등장인물, [[안상태]], [[박성광]], [[옹알스]], [[박지선]] 2007.9.16 - [[백윤식]], [[이재용(배우)|이재용]], [[오광록]], [[테이]], [[박상민]], [[임재범]], [[바비킴]] == 그 외 == * 400회 특집 때는 오프닝 코너로 나왔는데 이때는 개콘을 소재로 썼다. 첫 멘트 역시 '400회의 역사와 전통을 자랑하는 개그콘서트는~'으로 변경. 또한 단역으론 [[이동윤(코미디언)|이동윤]], [[장동혁(코미디언)|장동혁]], [[정명훈(코미디언)|정명훈]]이 등장하였다. * [[2011년]] 말부터는 [[사마귀 유치원]]에서 (사마귀 유치원의) 막방까지 이 포맷을 다시 사용하기도 했다. [각주][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지역광고, version=50)] [[분류:2007년 종영/개그콘서트 코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