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
{{{#white '''종합선수권 페어 챔피언'''}}} || ||<-3> [[파일:대한빙상경기연맹.png|width=120]] || ||<-3> || || '''지민지 / 테미스토클레스 레프테리스[br](2016[* 한국 종합선수권 페어 부문 초대 챔피언이다. 종합선수권에서 페어 경기는 2016년 대회 때 처음으로 열렸다.], 2017)''' || {{{+1 → }}} || [[김규은 / 감강찬]][br](2018) || ||<-3> || ---- ||<-3>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민테네.jpg|width=100%]]}}} || || '''이름''' ||지민지[br]Ji Minji||테미스토클레스 니콜라스 레프테리스[br]Themistocles Nicholas Leftheris|| ||<|2> '''출생''' ||[[1999년]] [[3월 4일]] ([age(1999-03-04)]세)||[[1982년]] [[12월 20일]] ([age(1982-12-20)]세)|| ||[[경상남도]] [[김해시]] [[어방동]]||[[미국]] [[플로리다|플로리다 주]] 타폰 스프링스|| || '''국적''' ||[include(틀:국기, 국명=대한민국)]||[include(틀:국기, 국명=미국)]|| || '''신체''' ||164cm||183cm|| || '''학력''' ||다운초등학교 {{{-2 (졸업)}}}[br][[학성여자중학교]] {{{-2 (졸업)}}}[br][[창문여자고등학교]] {{{-2 (졸업)}}}[br][[고려대학교/세종캠퍼스|고려대학교 세종캠퍼스]] {{{-2 (국제스포츠학 / 학사)}}}|| - || || '''이전 파트너''' || - ||사라 조 데먼 브라운[br]재클린 지메네스[br]니콜 하르투니아[br]줄리언 번스[br]나오미 나리 남[br]앤젤린 응우옌[br]린지 데이비스|| || '''링크''' ||[[https://instagram.com/minji_ji_yeriel| [[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width=24]]]]||[[https://instagram.com/themistoclesleftheris| [[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width=24]]]]|| || '''종목''' ||<-2>[[피겨 스케이팅]]|| || '''코치''' ||<-2>나오미 나리 남(한국명 남나리)|| || '''은퇴''' ||[[2020년]]||[[2017년]] [[3월 14일]]|| [목차] [clearfix] == 개요 == [[대한민국]]의 前 [[피겨 스케이팅]] 페어 선수이다. === 지민지 === 페어 조를 결성하기 전에는 싱글 선수로 활동했다. [[2014 피겨 스케이팅 종합선수권 대회|2014 종합선수권]] 주니어 부문에서 13위를 했으며 팀 해체 이후에도 싱글 선수 생활을 했다. [[2018 CS 골든 스핀 오브 자그레브]]에 출전했다. === 테미스토클레스 레프테리스 === 12살 때 스케이팅을 시작해 15살부터 페어로 전향했으며, 7명의 파트너와 활동했다. 파트너들과의 경력으로는 아래와 같다. * 사라 조 데먼 브라운(1999-00 시즌 활동): 2000 전미 노비스선수권 백랍메달 * 재클린 지메네스(2000~02 시즌 활동): 2001 JGP 불가리아 은메달, 2002 전미 주니어선수권 6위 * 니콜 하르투니아(2003-04 시즌 활동): 2003 태평양 연안 지역예선 주니어 부문 은메달 * 줄리언 번스(2004-05 시즌 활동): 2005 전미선수권 13위 * 나오미 나리 남: [[2007 피겨 스케이팅 사대륙선수권 대회|2007 사대륙선수권]] 6위, [[2006 스케이트 아메리카]] 동메달, 2007 전미선수권 동메달 * 앤젤린 응우옌(2009-10 시즌 활동): 2009 태평양 연안 지역예선 동메달 * 린지 데이비스(2010-11 시즌 활동): [[2011 피겨 스케이팅 전미선수권 대회|2011 전미선수권]] 8위 == 선수 경력 == 두 선수는 [[2015년]] [[7월]] 팀을 결성하여 [[2017년]] [[2월]]까지 활동하였다. === 2015-16 시즌 === ||
[[파일:2016 종합선수권 페어 포디움.jpg|width=100%]] || || [[2016 피겨 스케이팅 종합선수권 대회|2016 종합선수권]] || 2015 회장배 랭킹대회와 [[2016 피겨 스케이팅 종합선수권 대회|2016 종합선수권]]에 시니어 부문으로 출전해 우승했다. 국제대회에는 참가하지 않았다. === 2016-17 시즌 === 챌린저 시리즈 롬바르디아 트로피와 골든 스핀 오브 자그레브에서 각각 6위와 7위를 하며 선수권 대회 최소 기술점을 얻었다. 2016 회장배 랭킹대회에서도 우승하였다. ||
[[파일:17종합 페어.png|width=100%]] || || [[2017 피겨 스케이팅 종합선수권 대회|2017 종합선수권]] || [[2017 피겨 스케이팅 종합선수권 대회|2017 종합선수권]]에서는 작년에 이어 2연패를 달성했다. [[2017 피겨 스케이팅 사대륙선수권 대회|2017 사대륙선수권]]에서는 14위를 기록했다. 본래 [[2017 피겨 스케이팅 세계선수권 대회|2017 세계선수권]]에도 출전하려고 했으나, 레프테리스가 대회를 포기하고[* 대회를 포기한 원인은 밝혀지지 않았다.] 팀이 [[https://m.dcinside.com/board/figureskating_new/625805|해체]]되어 출전하지 못했다.[* 다른 페어 조인 [[김수연 / 김형태]]가 최소기술점이 있었음에도 불구하고, [[대한빙상경기연맹]]이 대체 선수 명단에 넣지 않아 참가하지 못했다.] == ISU 공인 최고점수 == ||<-2>
'''ISU 공인 최고점수''' || || '''쇼트''' ||48.92([[2016 CS 골든 스핀 오브 자그레브]])|| || '''프리''' ||94.48([[2016 CS 골든 스핀 오브 자그레브]])|| || '''총점''' ||143.40([[2016 CS 골든 스핀 오브 자그레브]])|| [각주] [[분류:대한민국의 피겨 스케이팅 선수]][[분류:그리스계 미국인]][[분류:김해시 출신 인물]][[분류:타폰스프링스 출신 인물]][[분류:1999년 출생]][[분류:1982년 출생]][[분류:고려대학교 세종캠퍼스 출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