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로스앤젤레스 에인절스/로스터)] ---- ||
'''{{{#FFFFFF 지미 허겟의 역대 등번호}}}'''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5> '''{{{#FFFFFF [[신시내티 레즈|{{{#FFFFFF 신시내티 레즈}}}]] 등번호 49번}}}''' || || [[잭 와이스]][br](2018) || {{{+1 →}}} || '''지미 허겟[br](2019)''' || {{{+1 →}}} || 결번 || ||<-5> '''{{{#FFFFFF [[텍사스 레인저스|{{{#FFFFFF 텍사스 레인저스}}}]] 등번호 64번}}}''' || || [[CD 펠햄]][br](2018) || {{{+1 →}}} || '''지미 허겟[br](2020)''' || {{{+1 →}}} || [[덕 매티스]][br](2020) || ||<-5> '''{{{#FFFFFF [[텍사스 레인저스|{{{#FFFFFF 텍사스 레인저스}}}]] 등번호 49번}}}''' || || 데이비드 카펜터[br](2019) || {{{+1 →}}} || '''지미 허겟[br](2021)''' || {{{+1 →}}} || [[글렌 오토]][br](2021~2023) || ||<-5> '''{{{#FFFFFF [[로스앤젤레스 에인절스|{{{#FFFFFF 로스앤젤레스 에인절스}}}]] 등번호 46번}}}''' || || [[라이언 벅터]][br](2020) || {{{+1 →}}} || '''지미 허겟[br](2021~)''' || {{{+1 →}}} || 현역 || }}} ||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에인절스허겟.jpg|width=100%]]}}} || ||<-2> '''로스앤젤레스 에인절스 No.46''' || ||<-2> '''{{{+2 지미 허겟}}}[br]Jimmy Herget''' || || '''본명''' ||지미 매튜 허겟[br]Jimmy Matthew Herget || ||<|2> '''출생''' ||[[1993년]] [[9월 9일]] ([age(1993-09-09)]세) || ||[[플로리다|플로리다 주]] [[탬파]] || || '''국적''' ||[include(틀:국기, 국명=미국)] || || '''학력''' ||토마스 제퍼슨 고등학교 - [[사우스 플로리다 대학교]] || || '''신체''' ||190cm / 77kg || || '''포지션''' ||[[투수]] || || '''투타''' ||[[우사우타]] || || '''프로입단''' ||--2012년 드래프트 40라운드 (전체 1229번, [[애틀랜타 브레이브스|ATL]])--[br][[2015 MLB 신인드래프트|2015년 드래프트]] 6라운드 (전체 175번, [[신시내티 레즈|CIN]]) || || '''소속팀''' ||[[신시내티 레즈]] (2019)[br][[텍사스 레인저스]] (2020~2021)[br]'''[[로스앤젤레스 에인절스]] (2021~)''' || || '''계약''' ||1yr / $750,000 || || '''연봉''' ||2023 / $750,000 || || '''SNS''' ||[[https://www.instagram.com/hergee20/|[[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width=25]]]] [include(틀:트위터 로고, 링크=hergee20, 크기=25)] || [목차] [clearfix] == 개요 == [[로스앤젤레스 에인절스]] 소속 우완 투수. == 선수 경력 == === [[신시내티 레즈]] === === [[텍사스 레인저스]] === === [[로스앤젤레스 에인절스]] === 2022 시즌 초반 에인절스의 계투요원 중에서 코칭스탭들이 가장 신뢰하는 모습을 보였지만 오른쪽 어깨 부상으로 꽤 오랫동안 못 뛰고 있다. 후반기에는 복귀해서 16이닝 1실점을 기록하는 등 [[오타니 쇼헤이]]와 함께 팀에서 둘 뿐인 ERA 2점대 투수로서 에인절스의 빈약한 불펜에서 가장 믿을만한 활약을 보였고 결국 시즌 후반 들어 클로저로 기용되고 있다. 사실상 에인절스 불펜의 숨겨진 에이스같은 존재. 그러나 2023 시즌에는 심각한 부진을 면치 못하고 있으며 2022 시즌의 활약 때문에 허겟을 필승조로 중용하려던 에인절스의 불펜 운용에 차질을 빚고 말았다. 에인절스가 대폭 보강한 타선에 힘입어 와일드카드를 노려볼 만한 준수한 성적을 거두는 와중에도 불펜진이 고질적인 불안요소로 꼽히고 있는 것을 생각하면 무척 아쉬운 부분. == 피칭 스타일 == 구위는 뛰어나지 않지만 사이드암의 특성을 최대로 살려서 '''똑바로 오는 공이 하나도 없다'''고 할 만큼 휘어져 들어오는 공으로 타자를 괴롭히는 투구 스타일을 구사한다. 겉보기엔 폼도 엉성하고 공도 영 약해 보여서 별 것 없어 보이지만 무브먼트와 구질의 더러움 만큼은 현재 메이저리그에서 비교할 대상을 찾기가 힘들 정도로 좋다. == 연도별 성적 == ||<-18> [[메이저 리그 베이스볼|[[파일:MLB 로고.svg|width=35]]]] {{{#FFFFFF '''지미 허겟의 역대 MLB 기록'''}}} || || 연도 || 팀 || G || W || L || S || HLD || IP || ERA || H || HR || BB || HBP || SO || WHIP || ERA+ || fWAR || bWAR || || 2019 || [[신시내티 레즈|CIN]] || 5 || 0 || 0 || 0 || 0 || 6⅓ || 4.25 || 8 || 2 || 3 || 0 || 0 || 1.737 || 115 || -0.1 || 0.1 || || 연도 || 팀 || G || W || L || S || HLD || IP || ERA || H || HR || BB || HBP || SO || WHIP || ERA+ || fWAR || bWAR || || 2020 || [[텍사스 레인저스|TEX]] || 20 || 1 || 0 || 0 || 0 || 19⅔ || 3.20 || 13 || 2 || 14 || 2 || 17 || 1.373 || 142 || 0.0 || 0.4 || || 연도 || 팀 || G || W || L || S || HLD || IP || ERA || H || HR || BB || HBP || SO || WHIP || ERA+ || fWAR || bWAR || || 2021 || [[텍사스 레인저스|TEX]]/[[로스앤젤레스 에인절스|LAA]] || 18 || 2 || 3 || 0 || 1 || 18⅔ || 5.30 || 20 || 1 || 4 || 3 || 20 || 1.286 || 87 || 0.3 || -0.1 || || 2022 ||<|2> [[로스앤젤레스 에인절스|LAA]] || 49 || 2 || 1 || 9 || 6 || 69 || 2.48 || 48 || 4 || 15 || 3 || 63 || 0.913 || 162 || 1.6 || 2.3 || || 2023 || 29 || 2 || 4 || 0 || 6 || 29 || 4.66 || 33 || 7 || 8 || 2 || 26 || 1.414 || 97 || -0.2 || 0.3 || ||<-2> '''[[메이저 리그 베이스볼|MLB]] 통산'''[br](5시즌) || 121 || 7 || 8 || 9 || 14 || 142⅔ || 3.47 || 122 || 16 || 44 || 10 || 126 || 1.164 || 124 || 1.5 || 2.8 || [각주] [[분류:미국의 야구 선수]][[분류:1993년 출생]][[분류:2019년 데뷔]][[분류:탬파베이 출신 인물]][[분류:사우스 플로리다 대학교 출신]][[분류:우완 투수]][[분류:우사우타]][[분류:사이드암 투수]][[분류:신시내티 레즈/은퇴, 이적]][[분류:텍사스 레인저스/은퇴, 이적]][[분류:로스앤젤레스 에인절스/현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