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지멘스의 철도차량)] [include(틀:Amtrak의 여객용 차량)] ||<-3> [[암트랙|[[파일:암트랙 로고.svg|height=15]]]][br][[SEPTA|[[파일:SEPTA 로고.svg|height=50]]]] {{{#!wiki style="margin: -10px -10px" || {{{#18567d '''{{{+1 Siemens ACS-64}}}'''}}} ||}}} || ||<-3>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Siemens_ACS-64.jpg|width=100%]]}}} || ||<-3> {{{#18567d 외부(암트랙 소속 차량)}}} || ||<-3>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SEPTA ACS-64 910 inbound departing Hatboro Station.jpg|width=100%]]}}} || ||<-3> {{{#18567d 외부(SEPTA 소속 차량)}}} || ||<-3> {{{#fff '''차량 정보'''}}} || || '''차량형식''' ||<-2> [[전기 기관차]] || || '''도입년도''' ||<-2> 암트랙 : 2012년 ~ 2016년[br]SEPTA : 2015년 ~ 2018년 || || '''제작사''' ||<-2> [[지멘스|[[파일:Siemens_AG_logo.svg|width=110]]]] || || '''소유기관''' ||<-2><|2> [[암트랙|[[파일:암트랙 로고.svg|width=150]]]][br][[SEPTA|[[파일:SEPTA 로고.svg|width=80]]]] || || '''운영기관''' || || '''기관차 번호''' ||<-2> 암트랙 : 600 - 665, 667 - 670[br]SEPTA : 901 - 915 || ||<-3> {{{#fff '''차량 제원'''}}} || ||<-3> {{{#!wiki style="margin: 0 -10px -6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전장''' ||<-2> 20,320㎜ || || '''전폭''' ||<-2> 2,984㎜ || || '''전고''' ||<-2> 3,810㎜ || || '''중량''' ||<-2> 98 ton || || '''궤간''' ||<-2> [[표준궤|1,435㎜]] || || '''급전방식''' ||<-2> 교류 25,000V 60Hz[* 뉴 헤이븐 - 보스턴 간 새로 전철화된 구간], 교류 12,500V 60Hz[* Metro-North 공용 구간], 교류 12,000V 25Hz[* 워싱턴 - 뉴욕 펜 역 구간] [[가공전차선]] || || '''제어방식''' ||<-2> [[지멘스]] [[VVVF]]-[[IGBT]] || || '''동력장치''' ||<-2> 3상 교류 유도전동기 || || '''지속 최대 출력''' ||<-2> 5.0MW(7,000 마력) || || '''순간 최대 출력''' ||<-2> 6.4MW(8,600 마력) || || '''영업 속도''' ||<-2> 200km/h || || '''설계 속도''' ||<-2> 220km/h || || '''차륜배치''' ||<-2> Bo'Bo' ||}}}}}}}}} || == 개요 == [[미국]] [[암트랙]]과 [[SEPTA]]에서 발주하고 [[독일]] [[지멘스]]가 제작한 [[지멘스 오이로슈프린터|오이로슈프린터]]와 [[지멘스 벡트론|벡트론]] 계열의 [[전기 기관차]]. 열악한 미국의 철도환경을 개선하려는 정부의 굳은 의지에 힘입어 Viewliner II 객차에 이어 도입이 성사된 기종이다. 오이로슈프린터와 벡트론의 플랫폼을 사용하고 미국의 철도 안전기준을 충족하도록 개조되었으며, 전 차량이 미국 내에서 생산된다는 점이 특징. 도입 과정도 좀 독특한데 [[캘리포니아]]에서 미국 동부로 올때는 대륙횡단열차[* 정확히는 샌프란시스코와 시카고를 이어주는 [[캘리포니아 제퍼]], 시카고 이후는 캐피톨 리미티드]에 견인돼서 온다. 2013년 2월에 초도물량 3기가 암트랙에 인도되었다. 2기는 테스트 센터로 보내고 1기는 북동간선(NEC)으로 보낸 상태. 문제가 없으면 하반기부터 본격적으로 인도를 시작해 총 70량의 ACS-64로 [[HHP-8]] 등 암트랙 소유의 여객용 전기 기관차를 전부 대체할 예정이다. 주요 운영 루트는 HHP-8과 마찬가지로 동북 간선이 될 듯. 빠른 도입과 좋은 성능으로 [[HHP-8]]과 [[EMD AEM-7|AEM-7]] 기관차는 광속으로 퇴역했다. 2014년 2월 처음으로 여객열차에 운행하던 날, 철도 애호가로 알려진 [[조 바이든]] 당시 미국 부통령이 시승하였다. 2014년 현재는 북동간선, 키스톤 코리더 구간을 잘 달리고 있다. 워싱턴역 이전 구간까지는 디젤전기기관차가 설렁설렁 열차를 몰다가 워싱턴역 구내에서 기관차를 바꾸고 전철선로인 북동간선 구간을 진입하면 장난아닌 가속을 느낄 수 있다. Viewliner 객차 탑승 기준으로 감속도 훌륭하고 속도에 비해 승차감도 나쁘지 않다는 것이 중론. 2015년 5월에 [[SEPTA]]가 계약하여 ACS-64를 13대 도입하여 [[EMD AEM-7]]과 ALP-44 차량들을 대체할 예정이라고 한다. 2018년부터 반입을 시작한다고. 총계약금액은 70대분 (4억 6천 6백만 달러) - 13대분 (1억 1천 8백만 달러 - 1억 5천 4백만 달러) 이다. == 사고이력 == *2015년 5월 16일 [[필라델피아]]에서 [[필라델피아 암트랙 탈선사고|601호기가 탈선사고로 대파]]된적이 있다. [* [[http://www.nrc.nl/nieuws/2015/05/16/verongelukte-trein-mogelijk-geraakt-door-projectiel/]]] == 매체에서 등장 == *[[트레인 시뮬레이터]]와 [[트레인 심 월드]]의 DLC중 하나인 암트랙 북동부간선 노선과 함께 등장한다. [[분류:미국의 철도차량]][[분류:전기 기관차]][[분류:나무위키 철도 프로젝트]][[분류:2012년 출시]][[분류:2018년 단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