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clearfix] == 개요 == 땅속에 매설된 [[지뢰]](금속, 비금속)을 찾는 기계를 말한다. 비금속 지뢰라고 해서 금속이 없는것이 아니고, 우리나라에 주로 매설되어 있는 발목지뢰(M14 )와 목함지뢰(북한)에는 화약을 점화하는 장치에 금속성분이 포함되어 있어, 완전 비금속지뢰는 없는실정이다. == 상세 == 지뢰탐지기는 일반 [[금속탐지기]]와 비슷한 점들이 많다. 하지만 목숨을 담보로 하는 작업이며 생명을 구하는 기계라서 최고의 사양들로 이뤄진 게 바로 지뢰 탐지기이다. 대부분이 알고 있는 비금속지뢰는 최근에는 거의 사용하지 않는 것으로 알고 있으며, 단지 피해의 정도에 따라 제작된 지뢰를 금속지뢰와 비금속 지뢰로 불리는 실정으로, 우리나라에 매설된 지뢰 중 M14(아군의 지뢰)와 목함지뢰(북한지뢰)를 비금속 지뢰라고 부르는데, 화약을 점화하기 위해서는 공이 부분이 금속성 물체로 되어있다. 현재 국내에서 개발하여 우리 군에서 운용중인 PRS-17K는 금속지뢰탐지기로 비금속지뢰인 M14와 목함지뢰(북한)를 탐지하는데 문제가 없으며, 가격도 해외 유사장비에 비해 저렴한 상태이다 비금속지뢰를 탐지하는 GPR 탐지방식은 땅속의 지뢰탐지 뿐만 아니라 돌, 나무 등 기타 유사한 물체까지도 탐지가 가능하여 지뢰탐지의 효율성이 오히려 저하될 수도 있을 수 도 있다. 기본적으로 금속탐지기는 [[와전류]]와 [[전자기 유도]]를 사용한다. 여기에서 지뢰탐지기의 능력은 일반 금속탐지기와의 차별을 둔다. 군사용 지뢰탐지기는 제품의 질 부분에서 군사용급을 유지한다. MIL스펙이라 하며 이 등급과 IP 등급도 함께 사용이 가능하다. 제품에 사용되는 기판까지 모두 충격흡수가 가능케 하여야 하며 사용되는 플라스틱 재질도 일반 금속탐지기와는 차별을 둔다. == 종류 == 지뢰탐지기는 일반 플라스틱 탐지기와 비금속 지뢰탐지기 등으로 나눈다. 일반 플라스틱이나 금속 지뢰탐지기에는 깊이와 사이즈로 구분해서 탐색이 가능하며 그 종류는 대략 10개 정도 된다. [[파일:external/www.vallon.de/20120305_151600_5098CA0A0773025030nLFE5A6D04.jpg]] 일반 지뢰탐지기 [[파일:external/mediaelettra.com/VMC1.jpg]] 접이식 지뢰탐지기(특수임무 사용) [[파일:external/www.jmu.edu/BraunsteinImg4Web.jpg]] 깊은 탐사를 위한 지뢰탐지기 또한 비금속지뢰([[목함지뢰]], 플라스틱 지뢰, I.E.D. 등)을 찾는 탐지기도 사용된다. [[파일:external/www.vallon.de/20120305_151600_5098CA0A0773025030nLFE5A6D04.jpg]] 비금속 지뢰탐지기 VMR3 이 탐지기는 특수 레이더를 사용하여 지하에 있는 와이어나 액체 상태의 폭발물도 검색한다. 현재 국내 중소기업에서 PRS-17K를 최신기술을 적용하여 성능개조개발(방사청)을 진행 하고 있으며, 시제가 제작(PRS-17KM) 및 성능시험이 완료되었고, 수출과 군 적용을 위해 추진중에 있다. == 가격대 == 가격대는 수백에서 수천만원까지 형성한다. 금속을 찾는 지뢰탐지기는 1,000만원대를 형성하며 만약 수중용 탐색까지 가능한 기능이 들어가면 2,000만원 정도 한다. 비금속지뢰는 탐지기 내에 두 가지의 탐지기를 포함한다. 금속탐지기와 비금속탐지기 두 대가 들어있다. 이 탐지기는 비금속을 찾는 장점과 유일한 탐지기라는 이유로 약 5,000만원 이상 한다. [[파일:external/blogfiles.naver.net/vmr3g.jpg]] 비금속탐지기 현재 한국에서 표준형으로 사용되는 PRS-17K와 가격을 비교한다면 지뢰탐지성능에 비해 가격차이가 많이 나는 상황이다. [[파일:external/blogfiles.naver.net/2482.jpg]] [[PRS-17K]](약 480만 원) PRS-17K는 탐지능력도 해외 선진국 장비와 비교해도 차이가 없고 가격도 저렴한 장비로 비용대 효과면에서 최고의 장비로 판단된다. [[분류:지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