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EBS 문화사 시리즈 || ||<:> [[명동백작]] || → ||<:> 100인의 증언-60년대 문화를 말한다. || → ||<:> '''지금도 마로니에는''' || → ||<:> 100인의 증언-7,80년대 문화를 말한다. || ||
<-5><#c0c000> {{{+1 '''[[백상예술대상|[[파일:백상예술대상_로고.png|width=100]]]] TV부문 교양 작품상'''}}} || || 환경의 역습[br](2004) || → ||<#FFFFA1> '''지금도 마로니에는[br](2005)''' || → || 나는 가요, 도쿄 제2의 여름학교[br](2006) || ||||||<#1F50B5>
<:> '''{{{#white EBS 문화사 시리즈 제 3편 : 지금도 마로니에는}}}''' || ||||||<:> || ||||<:> 방송 시간 || [[토요일]], [[일요일]] 오후 9:00~ || ||||<:> 방송 기간 || [[2005년]] [[1월 22일]] ~ [[2005년]] [[5월 8일]] || ||||<:> 방송 횟수 || 32부작 || ||||<:> 채널 || [[한국교육방송공사|EBS]] || ||||<:> 장르 || 현대사 드라마 || ||||<:> 연출 || 박호경, 이창용 || ||||<:> 극본 || [[정하연]] || ||||<:> 출연자 || [[이병욱(배우)|이병욱]], [[최철호]], [[한범희]], [[정보석]], [[최종원]] 外 || ||||<:> 홈페이지 || [[http://home.ebs.co.kr/home2885/main|공식 홈페이지]] || [목차] == 개요 == 2005년 상반기에 방송된 [[EBS]] [[정하연#s-3.3|문화사 시리즈]] 제3탄. [[대한민국 제3공화국|제3공화국]] 시대, 정확히는 [[5.16 군사정변]] 이듬해인 [[1962년]] 초부터 [[오적]] 필화 사건 직전까지를 다룬다. [[서울대학교]] 재학 중에 이른바 '문리대 거지들'로 불렸던 김지하, 김승옥 등의 고학생들과 [[6.3 항쟁]]을 비롯한 학생운동에 투신한 대학생들의 이야기를 중심으로 60년대의 문화와 생활상을 조금씩 곁들인 이야기이다. 순수예술의 비중이 높았던 전작과 달리 대중음악과 영화 등의 대중문화도 적지 않게 다루었다. [[마로니에#s-2|제목에서 짐작 가능하듯이]] 현재 의대, 치의대, 간호대와 [[서울대학교병원]]이 위치한 [[서울대학교/연건캠퍼스]]가 주 무대이다. ~~서울대가 관악구로 옮겨 가기 전에는 이 캠퍼스에 문리대가 있었기 때문. ~~ [* 이 서술은 오류다. 서울대 연건 캠퍼스에는 일제시대부터 의대가 자리잡고 있었고, 옛 서울대 문리대 캠퍼스는 오늘날 기준으로 대학로 마로니에 공원 자리에 있었다. 지금도 마로니에 공원에 가면 그곳에 구 서울대 문리대가 있었다는 기념비가 있다. 드라마를 연건 캠퍼스에서 촬영한 이유는, 서울대가 관악산으로 이전하면서 구 문리대와 여타 다른 단과대학 건물들이 철거되어 버려서 60년대 분위기가 나는 건물이 연건 캠퍼스 밖에 남아 있지 않았기 때문일 것이다.] 2005년 [[백상예술대상]] TV부문 교양작품상을 수상하였다. == 등장인물 == === [[서울대학교]] 문리대 학생들 === * [[김지하|김영일]] ([[이병욱(배우)|이병욱]][* [[명성황후(드라마)|명성황후]]에서 [[김옥균]], [[근초고왕(드라마)|근초고왕]]에서 부여휘 역을 맡았으며 [[정도전(드라마)|정도전]]에서는 [[윤소종(정도전)|윤소종]] 역을 맡았다.]) 이 드라마의 [[진주인공]]. 미학과 61학번. 훗날의 [[김지하]] 시인이며 여기서는 본명인 김영일로 등장한다. 극 초반에는 전 [[빨치산]]의 아들이라는 낙인, 암울한 시대 상황 등의 영향에, 폐병으로 객혈을 하는 등 좋지 못한 건강까지 겹쳐 심적으로 방황하는 모습을 보인다. 스스로의 처지를 비관하여 수 차례 자살기도를 하기도. 그러나 문리대 친구들과 다른 여러 사람들을 만나면서 내적 변화를 겪고, [[6.3 항쟁]] 선언문과 풍자시 [[오적]]을 내놓는 등 신랄한 붓끝으로 세상을 뒤집어 놓는 문인으로 거듭난다. * [[김중태(1940)|김중태]] ([[최철호]][* [[불멸의 이순신]]에서 [[선조(조선)|선조]], [[대조영(드라마)|대조영]]에서 걸사비우 역을 맡았으며 [[대왕의 꿈]]에서는 [[상대등]] [[비담]] 역을 맡았다.]) 주인공 3인방 중 1명. 정치학과 61학번. 강직한 성격 때문에 주변과 마찰을 빚기도 하나, 그 점이 그를 [[6.3 항쟁]]을 비롯한 [[대한민국 제3공화국|제3공화국]] 시대 학생운동의 기수로 이끌었다. 그러나 [[박정희]] 정권의 핍박을 견디다 못해 1969년에 반강제적으로 [[미국]] [[유학]]을 떠났다. 나레이션으로만 짧게 언급된 후일담에서는, [[10.26 사건]] 이후인 [[1980년]]에 귀국하여 "박정희의 무덤에 침을 뱉으러 왔다"라는 말을 남겼다고 한다. [[대구시]] 출신으로 아버지는 교회 장로이다. [[서울]]에서는 주로 [[대한민국 표준어|표준어]]로 말하지만 아버지 앞에서는 다소 누그러진 어조의 [[동남 방언|대구 사투리]]를 쓴다. 수더분한 모습이 평소의 김중태와는 극과 극이다. * [[김승옥]] (한범희[* [[명성황후(드라마)|명성황후]]에서 [[흥선대원군|대원군]]의 적장자인 [[흥친왕|이재면]], [[대조영(드라마)|대조영]]에서 [[당고종|이치]]역을 맡았다.]) 주인공 3인방 중 1명. 불문학과 60학번. 이른바 '문리대 거지들' 중 한 명으로, 원래 캠퍼스 내 새세대 편집실에서 숙식을 해결했으나 5.16 탓에 학교가 휴교되어 군인들이 교문을 가로막고 서는 바람에 짐도 못 챙기고 곤욕을 치른다. 정상화 이후에는 김영일이 굴러들어와 자리를 빼앗는 해프닝을 겪는다. 이 때문에 한때 둘의 사이는 좋지 않았으나, 우여곡절 끝에 친해지게 된다. 재학 중인 [[1962년]]에 단편 〈생명연습〉으로 등단한 뒤 문단의 주목을 한몸에 받았으나... 이후의 행보는 [[김승옥|해당 문서]] 참조. 순천 출신으로 고향에 홀어머니와 두 남동생이 있다. 늘 어머니를 생각하는 효자. * 박재일 (전태성)[* [[명동백작]]에서는 신상사 역이었다.] 지리학과 61학번. 김중태의 절친한 친구[* 박재일이 [[1938년]]생, 김중태가 [[1940년]]생으로 나이는 박재일이 2살 많다.]로서 등장한다. 불같은 성미를 주체하지 못하고 여기저기 부딪치는 김중태를 뜯어말리고 달래는 건 주로 그의 몫이다. 졸업한 뒤에는 김영일의 권유로 장일순 목사와 함께 농촌운동을 하는데, 이는 훗날 생활협동조합 [[한살림]]의 설립으로 이어진다. [[2010년]]에 별세하였다. * [[김현(문학가)|김현]] 불문학과 60학번. 김승옥과 같은 과 동기이다. 서로가 서로의 재능에 열등감을 느끼기도 하지만, 함께 〈산문시대〉를 만들어 활동하거나 김현이 김승옥의 작품을 읽고 평을 해 주기도 하는 등 가까운 사이로 나온다. 이후 [[문학과 지성사]]의 원점이 되는 계간지 [[문학과지성]] 창간 멤버로 참가하고, 불문학자 겸 문학평론가로 활동하게 된다. [[1990년]]에 별세하였다. * 조동일 ([[정의갑]][* [[명성황후(드라마)|명성황후]]에서 일본 낭인 사사키, [[불멸의 이순신]]에서 진주 목사 [[김시민]] 역을 맡았으며 [[근초고왕(드라마)|근초고왕]]에서는 말갈 군장 부간태, [[광개토태왕(드라마)|광개토태왕]]에서 백제 장수 진무를 연기했다.]) 원래 불문학과 58학번이었으나 국문학과 62학번으로 재입학했다. 재학 중에 '우리 문화 연구회'라는 동아리를 만들어 전통 문화를 연구하였고, 〈원귀 마당쇠〉라는 마당극을 만들어 공연하기도 했다. 훗날 국문학의 역사를 총망라한 《한국문학통사》를 집필한다. === 주변 인물 === * 장일순 ([[노영국]]) 김영일의 멘토와 같은 존재. 후일 박재일 등과 함께 농촌 운동에 몸담는다. * 한기호 ([[홍일권]][* [[명성황후(드라마)|명성황후]]에서 [[홍계훈]], [[대왕의 꿈]]에서 [[국반 갈문왕]] 역을 맡았으며 [[징비록(드라마)|징비록]]에서는 [[김응남]] 역을 맡았다.]) 김영일과 친한 고향 선배로, 이름보다는 '악어형'이라는 별명으로 더 많이 불린다. 서울대 심리학과 출신이나 [[1961년]]에 졸업하여 극중 시점에서는 신문기자로 활동하고 있다. * 김맹오 ([[김병기(배우)|김병기]][* [[명성황후(드라마)|명성황후]]에서 오카모토 류노스케 역을 맡았다.]) 김영일의 아버지. 과거에 빨치산이었으나 전향하였고, 극중 시점에서는 원주에서 영사 기술자로 일하고 있다. * 정금성 ([[이덕희(배우)|이덕희]][* [[명성황후(드라마)|명성황후]]에서 [[흥선대원군|대원군]]의 아내인 [[여흥부대부인]], [[야인시대]]에서 [[김두한(야인시대)|김두한]]의 큰어머니인 [[오숙근]], [[정도전(드라마)|정도전]]에서는 [[명덕태후]] 역을 맡았다.]) 김영일의 어머니. * [[대위]] 서울대가 휴교했을 때 교문 앞을 지키고 섰던 장교. 이름은 나오지 않았다. 교문 앞에서 뻗대듯 5.16 선언문을 외던 김중태를 눈여겨본 이래, 김중태를 때로는 회유하고 때로는 윽박지르며 미묘한 관계를 유지한다. * 손혜영 회화과 60학번. 김중태가 과외를 가르치던 학생의 누나이다. 학생운동 중에 쫓기던 김중태를 아버지와 함께 돕기도 했다. * 김장로 김중태의 아버지. 보수적인 [[장로#s-1.3|장로]] 교회 장로이다. * 김승옥의 어머니 (장희진) * [[김성환(만화가)|김성환]] (김정훈) 만화가. 김승옥이 아르바이트하던 신문사에서 시사만평 [[고바우 영감]]을 연재했다. * 백혜욱 ([[김진이#s-1|김진이]]) 극 중반부터 등장한다. [[1964년]]부터 김승옥과 교제하였고 후에 결혼하여 그의 부인이 되었다. === 기타 등장인물 === * [[천상병]] ([[최종원]]) 시인. 명동 골목길 어귀에 서 있다가 아는 사람을 만나면 손가락을 펴 보이며 술값을 달라고 하고, 상대방이 거절하지 않고 돈을 주면 그 돈으로 술집에서 혼자 술을 마시곤 한다. 하지만 이렇게 돈 받아 술값 하던 습관은 엉뚱하게도 그가 [[동백림 사건]]에 연루되는 계기가 되었다. 천상병은 그 때문에 심한 고문을 받고 몸과 마음이 상하여 행려병자로 전락하고 만다. 극중에서는 잘 드러나지 않지만 그 역시 서울대에 재학했었다. 상과대학 수료. * [[전혜린]] ([[이재은(1980)|이재은]][* [[명성황후(드라마)|명성황후]]에서 [[의친왕]]의 생모인 귀인 장씨 역을 맡았다.]) [[명동백작|전작]]과 이 드라마를 잇는 인물 중 하나. 시간강사 겸 수필가 겸 번역가로 활동 중인 서울대 OB[* 법학과로 입학했으나 독문과로 전과한 뒤 독일 유학을 떠났다.]이다. 김영일, 김승옥과 술자리에서 합석하는 모습이 몇 번 나왔다. 1965년에 31세의 나이로 음독자살하였다. * 이봉구 (박철호[* [[명성황후(드라마)|명성황후]]에서 [[김병국]], [[근초고왕(드라마)|근초고왕]]에서 고치수 역을 맡았으며 [[대왕의 꿈]]에서는 [[백제]] [[무왕(백제)|무왕]] 역을 맡았다.]) 전혜린과 마찬가지로 전작과 이 작품을 잇는 인물. 주요 인물과 직접적으로 엮이는 장면은 없다시피하고, 전작에서 그랬듯이 문인들 사이의 마당발로서 등장한다. * [[임권택]] * [[신중현]] 록밴드 Add4의 기타리스트. [[미8군]] 무대에서 출발하여 뮤지션으로서 기틀을 다져 나가지만, 미국 로큰롤을 기반으로 한 그의 음악은 기성세대에겐 저속한 것으로 받아들여졌다.[* 애드포를 대표하는 노래인 〈[[빗속의 여인]]〉이 미풍양속에 반한다는 비판을 받는 장면이 나온다.] 드라마가 1970년대에 접어들기 전에 막을 내리기 때문에 신중현과 엽전들 시대의 행적은 다뤄지지 않았다. * [[정보석]][* [[대조영(드라마)|대조영]]에서 [[이해고]] 역을 맡았다.] [[명동백작]]에서와 같이 해설을 맡았다. == 주 무대 == * [[서울대학교#s-4.2|서울대학교 연건 캠퍼스]] * [[학림다방]] * 은성 == 기타 == * [[명동백작]]과 마찬가지로 홈페이지와 유튜브에서 다시보기를 제공하고 있다. * [[1960년대|60년대]]의 대학생들이 주축이기 때문에 생존 인물의 비율이 꽤 높다. 주요 대학생 등장인물 중 고인은 [[김현(문학가)|김현]]과 박재일 정도이다. [[분류:EBS 드라마]][[분류:주말 드라마]][[분류:2005년 드라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