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
{{{#373a3c,#dddddd '''{{{+1 지구소녀 아르주나}}}''' (2001)[br]地球少女アルジュナ}}}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지구소녀아르주나.jpg|width=100%]]}}} || ||<-2> {{{#373a3c,#dddddd {{{#!wiki style="margin: 0px -11px" {{{#!folding 작품 정보 ▼ ||
'''{{{#373a3c,#dddddd 장르}}}''' ||[[어반 판타지]] || || '''{{{#373a3c,#dddddd 원작}}}''' ||<|2>[[카와모리 쇼지]] || || '''{{{#373a3c,#dddddd 감독}}}''' || || '''{{{#373a3c,#dddddd 부감독}}}''' ||[[사토 히데카즈]] || || '''{{{#373a3c,#dddddd 시리즈 구성}}}''' ||[[카와모리 쇼지]][br]오오노기 히로시(大野木 寛) || || '''{{{#373a3c,#dddddd 캐릭터 디자인}}}''' ||[[키시다 타카히로]] || || '''{{{#373a3c,#dddddd 디자인 서포트}}}''' ||사야마 요시노리(佐山善則) || || '''{{{#373a3c,#dddddd 디자털 코디네이트}}}''' ||타케우치 야스아키(竹内康晃) || || '''{{{#373a3c,#dddddd 3D 모션 감수}}}''' ||[[이타노 이치로]] || || '''{{{#373a3c,#dddddd 미술 감독}}}''' ||오오타 히로시(太田 大)[br]노무라 마사노부(野村正信) || || '''{{{#373a3c,#dddddd 미술 설정}}}''' ||히라사와 아키히로(平澤晃弘) || || '''{{{#373a3c,#dddddd 색채 설계}}}''' ||카사모리 미요코(笠森美代子) || || '''{{{#373a3c,#dddddd 음향 감독}}}''' ||[[미마 마사후미]] || || '''{{{#373a3c,#dddddd 음악}}}''' ||[[칸노 요코]] || || '''{{{#373a3c,#dddddd 애니메이션 제작}}}''' ||[[SATELIGHT|[[파일:SATELIGHT 로고.png|width=110]]]] || || '''{{{#373a3c,#dddddd 제작}}}''' ||[[TV 도쿄]][br][[소츠|소츠영상]][br][[반다이 비주얼]] || || '''{{{#373a3c,#dddddd 방영 기간}}}''' ||[[애니메이션/2001년 1월|2001. 01. 09.]] ~ 2001. 03. 27. || || '''{{{#373a3c,#dddddd 방송국}}}''' ||[[파일:일본 국기.svg|width=20]] [[TV 도쿄]] / (화) 18:00[br][[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0]] [[애니원]] || || '''{{{#373a3c,#dddddd 편당 러닝타임}}}''' ||24분 || || '''{{{#373a3c,#dddddd 화수}}}''' ||13화[* TV판으로 12화 방송 및 미방영 1화.] || || '''{{{#373a3c,#dddddd 시청 등급}}}'''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0]] [[대한민국의 텔레비전 등급 제도#관련 규정|[[파일:15세 이상 시청가 아이콘.svg|width=20]] {{{#373a3c 15세 이상 시청가}}}]] || || '''{{{#373a3c,#dddddd 관련 사이트}}}''' ||[[https://v-storage.bnarts.jp/sp-site/earth-maiden-arjuna/|[[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width=25]]]] || }}}}}}}}} || [목차] [clearfix] == 개요 == 일본에서 방영한 TV [[오리지널 애니메이션]]. [[애니메이션/2001년 1월|2001년 1월]]에 방영되었다. 감독은 [[카와모리 쇼지]]. 제작사는 [[SATELIGHT]]로 원청 제작 데뷔작이다. 제목은 [[힌두교]]의 영웅 [[아르주나]]에서 따왔다. == PV == ||
[youtube(7gmjNJ1CEh8)] || == 특징 == 환경 문제를 전면으로 비판한 작품으로 환경 오염을 이대로 방치해선 안 된다는 내용의 사회 비판물이다. 주인공 소녀가 변신해서 싸운다는 점에서 [[마법소녀물]]에 속하기도 하다. [[카와모리 쇼지]] 감독이 세계 여행을 하면서 세계의 환경 오염 실태가 일본에서 느낀 것보다 훨씬 위험하고 심각하다고 느껴서 만들었다고 한다. 대기오염, 토양 오염, 수질 오염, 방사능, 식품 오염, [[기후 변화]] 등 다방면의 환경 오염 문제를 다루며 환경 오염 때문에 인간의 삶이 근본부터 망가져가는 걸 보여준다. 이 과정에서 시청자에게 경고를 강렬하게 하고자 불편함을 유발하는 연출[* 쓰레기 더미, 썩은 물, 동물이나 사람 시체 같은 걸 막 보여준다.] 을 많이 삽입하고 스토리도 어두워 방영 당시 기분 나쁜 애니라는 소리를 들으며 외면받았다. [[트라우마]] 애니로 유명하며 구글 연관검색어로 트라우마가 뜨는 것을 볼 수 있다. 특히 햄버거 편이 유명한데 이 작품이 트라우마가 되어 고기를 먹지 못하겠다는 사람들이 있기도 하다.[[https://fox.5ch.net/test/read.cgi/poverty/1408198921/|#]][* 햄버거 편 이외에도 수학교사가 등장해 이상주의적인 열변을 토하다가 좌절하는 에피소드도 상당히 유명하다.] 거기다 하필 방영 시간이 저녁 먹을 시간인 6시인데 더러운 연출이 너무 많이 나와 안 좋게 기억하는 시청자가 꽤 있다. 카와모리 감독 말로는 이게 TV에서 방송될 수 있던 건 작품의 뜻을 이해해주는 프로듀서나 관계자 분들이 힘써줬기 때문이며 원래대로라면 방송되지 못하는 수위라고 한다. 카와모리는 '현실을 있는 그대로 보여주는 게 방송 금지인 세상이다. 아이러니 그 자체 아닌가.' 라고 발언하기도 했다. 심의로 방송되지 못한 게 있어서 카와모리가 재편집한 디렉터즈 컷 판이 있으며 DVD는 이걸 수록했다. 2023년부터 [[d아니메스토어]]에서 디렉터즈 컷 판을 서비스한다. 그러나 애니메이션 방영 후 '''10년이 지난 뒤 [[후쿠시마 원자력 발전소 사고]] 문제'''와, 이후 [[2018년 7월 일본 호우]]를 [[현실을 예견한 작품|예언]]했다는 것으로 화제가 되어 예언 애니메이션으로 불리며 재조명을 받았다. 또한 작품에 매우 실력있는 연출가와 애니메이터가 매우 많이 참여해[* [[카와모리 쇼지]], [[이타노 이치로]], [[키시다 타카히로]], [[츠루 토시유키]], [[스즈키 히로후미]], [[쿄다 토모키]], [[오노 마나부]], [[마츠모토 노리오]], [[소토자키 하루오]], [[카타부치 스나오]], [[요시다 토오루]], [[오이자키 후미토시]], [[마스이 소이치]], [[오오모리 타카히로]], [[야마모토 유스케(山本裕介)]], [[오오모리 타카히로]], [[치기라 코이치]], [[사사키 신사쿠]], [[오이자키 후미토시]], [[하마다 쿠니히코]], [[아오키 야스히로]], 오오쿠보 히로시, [[야마다 타츠오]], 스가 시게유키, 토코로 토모카즈, [[사이 후미히데]], [[모리오카 히데유키]], [[오오하타 키요타카]] 등 ] 연출과 작화도 매우 뛰어났고 [[칸노 요코]]의 음악도 훌륭해[* 작품 자체보다 음악이 더 유명하다. 이 작품의 음악은 일본 TV 다큐멘터리나 예능에서 BGM으로 잘 쓰이는 것으로 유명하다.] 훗날 재조명을 받은 저주받은 문제작이다. 카와모리 쇼지의 작품 중 최고 걸작이라는 평도 적지 않다. 애니메이터 겸 평론가 [[쿠츠나 켄이치]]는 작화 매니아라면 교양으로 봐야할 애니메이션으로 선정하기도 했다. [[https://pbs.twimg.com/media/EotiZM3UUAY_MxI?format=png&name=4096x4096|#]] 특히 카와모리 쇼지 연출에 마츠모토 노리오 작화의 4화가 충격적인 영상을 보여준다. 다만 작품의 완성도와 별개로 호불호가 워낙 갈릴 내용이라[* 카와모리 감독작 중에서는 가장 날이 선 애니기도 하다.] 악평도 적지 않다. 제작 후 한참이 지난 뒤로도 환경보호단체에서 상영하거나, 학교에서 교육용으로 트는 경우가 꽤 있다고 한다. 당시로서는 이례적으로 16:9 [[HD]]로 제작되었는데[* 홈페이지 문구에 따르면 일본 최초 HD 마스터로 제작된 애니메이션이라고 한다. 시기적으로 보면 같은 방송국이었던 [[NOIR(애니메이션)|NOIR]]나 [[WOWOW]]에서 방영된 [[소울 테이커(애니메이션)|소울 테이커]]와 [[오버맨 킹게이너]] 보다 앞서니 맞을듯. [[NOIR(애니메이션)|NOIR]]도 그렇고 [[TV 도쿄]] 측에서 HD TVA에 적극적이었던 것으로 보인다.] 당시 일본 지상파에 [[디지털 방송]]이 도입되기 전이라 TV에서는 4:3 [[SD]]로 방영되었다. 또한 TV 방영 당시엔 9화가 방영되지 않았다. [[시간을 달리는 소녀/영화#s-1|시간을 달리는 소녀(1983)]]의 오마주가 많다. 원래 카와모리는 이 영화가 처음 나왔을 때부터 팬 활동을 하고 다녔는데 중간에 감독을 못 하던 기간이 길어 이 작품에서 겨우 시달소를 오마주할 수 있었다. == 등장인물 == * '''아리요시 주나'''(有吉樹奈) {{{-1 - 성우: [[파일:일본 국기.svg|width=20]] 히가시야마 마미[* 본업은 배우로 [[전자전대 메가레인저]]의 [[이마무라 미쿠]] 역으로 유명하다.] /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0]] [[최덕희]]}}} 본작의 주인공. * '''오오시마 토키오'''(大島時夫) {{{-1 - 성우: [[파일:일본 국기.svg|width=20]] [[세키 토모카즈]] /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0]] [[홍시호]]}}} * '''시라카와 사유리'''(白河さゆり) {{{-1 - 성우: [[파일:일본 국기.svg|width=20]] [[히사카와 아야]] /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0]] [[최은애(성우)|최은애]]}}} * '''크리스 호켄'''(クリス・ホーケン) {{{-1 - 성우: [[파일:일본 국기.svg|width=20]] [[우에다 유지]] /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0]] [[오인성]]}}} * '''신디 클라인'''(シンディ・クライン) {{{-1 - 성우: [[파일:일본 국기.svg|width=20]] [[신타니 마유미]] /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0]] [[이영란]]}}} * '''테레사 웡'''(テレサ・ウォン) {{{-1 - 성우: [[파일:일본 국기.svg|width=20]] [[소우미 요코]] /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0]] [[김상현(성우)|김상현]]}}} * '''오니즈카'''(鬼塚) {{{-1 - 성우: [[파일:일본 국기.svg|width=20]] [[겐다 텟쇼]] /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0]] [[박조호|박지훈]]}}} == 주제가 == === OP === * 오프닝, 1, 2, 5, 6, 8, 12장 엔딩 테마 '''マメシバ'''[* 마메시바. [[시바견]]의 일종이다.] * 작사, 노래: [[사카모토 마아야]] * 작곡, 편곡: [[칸노 요코]] === 2, 9장 ED === * 2, 9장 엔딩 테마 '''サンクチュアリ''' * 작사, 노래: 사카모토 마아야 * 작곡, 편곡: 칸노 요코 === 4장 ED === * 4장 엔딩 테마 '''空気と星''' * 작사: 이와사토 유호(岩里祐穂) * 작곡, 편곡: 칸노 요코 * 노래: 사카모토 마아야 === 7장 ED === * 7장 엔딩 테마 '''テレサ''' * 작곡, 편곡: 칸노 요코 === 10장 ED === * 제10장 엔딩 테마 '''バイク''' * 작사: 이와사토 유호 * 작곡, 편곡: 칸노 요코 * 노래: 사카모토 마아야 === 12장 ED === * 제12장 엔딩 테마 '''Early Bird''' * 작사: Gabriela Robin[* 칸노 요코의 필명.] * 작곡, 편곡: 칸노 요코 * 노래: 야마모토 치나츠(山本千夏) === 13장 ED === * 제13장 엔딩 테마 '''さいごのマメシバ''' * 작사, 노래: 사카모토 마아야 * 작곡, 편곡: 칸노 요코 == 회차 목록 == ||
'''회차''' || '''제목''' || '''각본''' || '''콘티''' || '''연출''' || '''작화감독''' || '''방영일''' || || 제1장 || 時のしずく[br]시간의 물방울 ||<-2> [[카와모리 쇼지]] || [[사토 히데카즈]] || [[소토자키 하루오]][br][[모리오카 히데유키]] || 日: 2001.01.09.[br]韓: 2002.07.19. || || 제2장 || 青い光[br]푸른 빛 || 카와모리 쇼지 || 카와모리 쇼지[br]와타나베 스미오[br](渡辺純央)[br]사토 히데카즈 || 야마하타 유타카[br](山畑祐隆) || 야츠 미야코[br](谷津美弥子) || 日: 2001.01.16.[br]韓: || || 제3장 || 森の涙[br]숲의 눈물 || 오오노기 히로시[br](大野木 寛) || 사토 히데카즈 || [[야마모토 유스케(山本裕介)|야마모토 유스케[br](山本裕介)]] || 오오쿠보 히로시[br](大久保 宏) || 日: 2001.01.23.[br]韓: || || 제4장 || 転生輪廻[br]전생 윤회 ||<-2> 카와모리 쇼지 || [[마츠모토 노리오]][br][[카와모리 쇼지|쿠로카와 에이지]][br](黒河影次) || 마츠모토 노리오 || 日: 2001.01.30.[br]韓: || || 제5장 || 小さきものの声[br]작은 것의 목소리 || 사토 히데카즈[br]오오노기 히로시 || 사토 히데카즈 || 사토 히데카즈[br]츠치야 히로유키[br](土屋浩幸) || 세오 야스히로[br](瀬尾康博)[br]나가타 켄이치[br](永田建一) || 日: 2001.02.06.[br]韓: || || 제6장 || はじめの一人[br]처음겪는 혼자 ||<|3> 오오노기 히로시 || 시미즈 야스유키[br](清水保行)[br][[카타부치 스나오]] || 시미즈 야스유키 || 쿠마가이 테츠야[br](熊谷哲矢) || 日: 2001.02.13.[br]韓: || || 제7장 || 見えない言葉[br]보이지 않는 말 || [[오오하타 키요타카]] || 야노 아츠시[br](矢野 篤)[br]타키가와 카즈오[br](滝川和男) || 후카자와 마나부[br](深澤 学)[br][[칸베 히로유키|친 바이카]][br](陳 梅花) || 日: 2001.02.20.[br]韓: || || 제8장 || とおい雨[br]먼 비 || [[마스이 소이치|미즈쿠사 카즈마]][br](水草一馬)[br]사토 히데카즈[br]카와모리 쇼지 || 토코로 토모카즈[br](ところともかず) || 모리나카 마사하루[br](森中正春) || 日: 2001.02.27.[br]韓: || || 제9장 || 生まれる前から[br]태어나기 전부터 || 카와모리 쇼지 ||<-2> [[오오모리 타카히로]] || 미즈하타 켄지[br](水畑健二)[br]마츠야마 코지[br](松山光治) || 日: 미방영[br]韓: || || 제10장 || ゆらぐ遺伝子[br]요동치는 유전자 || 사토 카즈하루[br](佐藤和治) || [[치기라 코이치]][br]카와모리 쇼지 || 키타가와 마사토[br](北川正人) || 히나타 마사키[br](日向正樹) || 日: 2001.03.06.[br]韓: || || 제11장 || かえらざる日[br]돌아오지 않는 날 || 오오노기 히로시[br]카와모리 쇼지[br]사토 히데카즈 ||<-2> 타케시타 켄이치[br](竹下健一) || [[오이자키 후미토시]] || 日: 2001.03.13.[br]韓: || || 제12장 || 国ほろびて[br]나라의 쇠퇴 || 오오노기 히로시[br]카와모리 쇼지 || [[사사키 신사쿠]] || 후지모토 요시타카[br](藤本義孝) || 나카야마 다이스케[br](中山大輔) || 日: 2001.03.20.[br]韓: || || 제13장 || 今[br]현재 ||<-2> 카와모리 쇼지 || 토코로 토모카즈[br]야마모토 유스케[br](山本裕介)[br][[이타노 이치로]] || - || 日: 2001.03.27.[br]韓: || == 해외 공개 == === 대한민국 === 한국내에서는 [[애니원]]에서 여름 방학 특집으로 [[스크라이드]], [[환상마전 최유기]], [[아야시노 세레스]] 등과 함께 2002년 7월 경 방영되었다. 더빙판은 [[비디오]]나 [[비디오 CD]]로 발매되었다. [[분류:일본 애니메이션/목록]][[분류:2001년 1분기 일본 애니메이션]][[분류:일본의 오리지널 애니메이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