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1905년 개업한 철도역]][[분류:1974년 폐지된 철도역]][[분류:옥천군의 폐지된 철도역]][[분류:경부선의 폐지된 철도역]] [include(틀:폐쇄된 교통시설)] ||<-3> {{{+2 '''증약역'''}}}[br]{{{#red '''(폐역)'''}}} || ||<-3> [include(틀:지도, 장소=충청북도 옥천군 군북면 증약리, 너비=100%, 높이=225px)] || ||<-3> '''다른 문자 표기''' || || 한자 ||<-2> 增若 || || 간체자 ||<-2> 増若 || || 가나 ||<-2> チュンヤク || || 로마자 ||<-2> Jeungyak || ||<-3> '''주소''' || ||<-3> [[충청북도]] [[옥천군]] [[군북면]] 증약리 || ||<-4> '''관리역 등급''' || ||<-4> [[폐역]][br]~~([[대한민국 철도청]])~~ || ||<-3> '''개업일''' || ||<-1> [[경부선]](1차) ||<-2> [[1905년]] [[1월 1일]]~[br][[1910년]] [[6월 25일]] || ||<-1> [[경부선]](2차) ||<-2> [[1956년]] [[2월 21일]]~[br][[1974년]] [[8월 15일]] || ||<-3> '''열차거리표''' || || [[서울역|{{{#!html
서울 방면}}}]][[세천역|세 천]][br]← 3.9 ㎞ || '''[[경부선]]'''[br]~~증 약~~[br]{{{#red '''(폐역)'''}}} || [[부산역|{{{#!html
부산 방면}}}]][[옥천역|옥 천]][br] 5.0 ㎞ → || [목차] [clearfix] == 개요 == 1956년부터 1974년까지 존재했던 [[경부선]] 철도역이며 [[충청북도]] [[옥천군]] 군북면 이백리, 증약리에 있었다. 역사는 흔적도 없이 사라졌으며 승강장 일부만이 남아있다. [[충청권 광역철도]]의 [[옥천역]] 지선 건설이 확정된 후에도 증약역이 부활하려는 조짐은 없다. [[제7회 전국동시지방선거]]에서 [[김재종]] 옥천군수 후보가 증약역 부지에 (가칭)군북역[* [[경전선]]에 [[군북역]]이 있기 때문에, 신설할 경우 다른 이름을 쓰는 것이 불가피하다.]을 신설하고, 서민아파트 조성을 약속했으나 임기가 끝난 현재까지도 추진의 기미가 보이지 않는다. == 역사 == 역이 소재한 옥천군 증약리는 조선 시대 '증약찰방역'이라 불리는 [[역참]]이 있었다고 한다. 그래서인지 [[1905년]] [[경부선]] 최초 개통 당시에 증약역이 있었다고 전해지나, [[1910년]] [[6월 25일]] 폐지되었다.[* [[https://dl.ndl.go.jp/pid/2951442/1/3|일본 관보]]에 증약역의 폐지가 고시된 것으로 보아, 적어도 당시 증약역이 있던 것 자체는 확실하다.] 당시 역간거리표에 따르면 증약역의 위치는 옥천역으로부터 약 3.1마일이며, 이는 대략 5km에 해당하므로 이후 재개역한 증약역과 비슷한 위치에 있었음을 추정할 수 있다. 이후 [[일제강점기]]를 지나 [[대한민국]] 시대인 [[1956년]] [[2월 21일]], [[무배치간이역]]으로 개통하였고 [[1965년]] [[11월 1일]] [[배치간이역]]으로 승격되었다. 그러나 [[1969년]] [[8월 1일]] 무배치간이역으로 다시 격하된 데 이어 [[1974년]] [[8월 15일]] 폐지되었다. 이날은 [[서울 지하철 1호선]]이 개통한 날이었다. == 둘러보기 == [include(틀:경부선의 역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