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다른 뜻1, other1=다른 지역의 증산역, rd1=증산역)] ||<-3> {{{+2 '''증산'''}}}'''(명지대앞)'''{{{+2 '''역'''}}} || ||<-3> [[파일:Seoulmetro6_icon.svg|width=30]] || || [[응암역|{{{#!html
응암순환}}}]][[새절역|새 절]][br]← 0.9 ㎞ || [[서울 지하철 6호선|{{{#!html
6호선
(617)
}}}]] || [[신내역|{{{#!html
신내 방면}}}]][[디지털미디어시티역|디지털[br]미디어시티]][br]1.1 ㎞ → || ||<-3>[include(틀:지도, 장소=서울증산역, 너비=100%, 높이=225px)]|| ||<-3> '''다른 문자 표기''' || || [[로마자]] ||<-2> Jeungsan {{{-2 (Myongji Univ.)}}} || || [[한자]] ||<-2> 繒山(明知大앞) || || [[간체자]] ||<-2> 缯山(明知大学) || || [[가나(문자)|가나]] ||<-2> [ruby(繒山, ruby=チュンサン)] || ||<-3> '''주소''' || ||<-3> [[서울특별시]] [[은평구]] [[증산로(서울)|증산로]] 지하306 ([[증산동(서울)|증산동]] 199-8) || ||<-3> '''운영 기관''' || || [[서울 지하철 6호선|{{{#ffffff 6호선}}}]] ||<-2> [[서울교통공사]] || ||<-3> '''개업일''' || || [[서울 지하철 6호선|{{{#ffffff 6호선}}}]] ||<-2> 2000년 12월 15일 || ||<-3> '''역사 구조''' || ||<-3> 지하 2층 || ||<-3> '''승강장 구조''' || ||<-3> [[복선]] [[상대식 승강장]] (횡단 가능) || [목차] [clearfix] == 개요 == [[서울 지하철 6호선]] 617번. [[서울특별시]] [[은평구]] [[증산로(서울)|증산로]] 지하306 ([[증산동(서울)|증산동]] 199-8)에 위치해 있다. == 역 정보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증산역(서울) 안내도.jpg|width=100%]]}}}|| || {{{#ffffff '''역 안내도'''}}} || [[병기역명]]은 '''명지대앞'''인데, 인근 [[명지대학교/인문캠퍼스|명지대 인문캠퍼스]]에서 유래한 것으로 1995년에 확정되어 개통 당시부터 붙은 병기역명이다. 상대식 승강장이며 4개의 출구를 갖추고 있다. == 역 주변 정보 == 역 주변은 한산하며, [[수색증산뉴타운]] 사업이 시행중이다. 고기집, 호프 등이 있긴 하지만 유흥쪽은 그다지 발달하지 않은 편이다. 증산교를 건너서 개천길 쪽에 드문드문 카페가 있다. 병기역명의 유래가 된 [[명지대학교]] 인문캠퍼스가 있는 곳은 불광천 너머에 있는 [[서대문구]] 남가좌2동으로 아예 다른 동네다. 증산역으로부터의 거리는 무려 1.5km나 되는데 '''오르막길'''이기 때문에 체감 거리는 더더욱 멀게 느껴진다. 명지대 인문캠퍼스가 위치한 곳은 지형 자체가 불광천과 홍제천 사이에 언덕이 불뚝 솟아있는 형태이기 때문이다. 명지대 근처의 대림시장 근처의 지형은 예전 경사도 표지판에 나온 대로라면 10%나 되는 가파른 언덕이기도 하다. 지형도에 따르면 고갯길 정상부 높이는 60m쯤 된다. 이거 모르고 내렸다가 대체 명지대학교가 어디냐고 묻는 사람들이 처음에는 정말로 많았다. 명지대학교 인문캠퍼스에 가려면 인근 [[새절역]]에서 [[서울 버스 7017|7017번]]과 [[서울 버스 7021|7021번]] 버스로 환승하거나 신촌에서 명지대 가는 버스를 갈아타야 한다. 아니면 [[가좌역]]이나 새절역에 내리는 방법도 있다. 새절역에 내릴 경우 1번 출구로 나와서 다리를 건너서 직진해서 명지전문대학 방향으로 가면 나온다. 신체 건강을 생각하면 걷는 것도 나쁘진 않다. 그나마 증산역에서 [[서울 버스 7019|7019번]] 혹은 [[서울 버스 서대문15|마을버스 15번]] 으로 환승한다면, 돌아가는 동선을 줄여 명지대학교로 갈 수 있다. 역에서 나오면 불광천이 있는데 이 불광천이 자전거도로 겸 시민들의 산책터이다. 쭉 도로를 타면 월드컵경기장-성산대교로 갈 수 있다. 최근에야 산책로가 생기면서 개천 주변이 정리되었지만 1990년대 초반만 하더라도 응암역(당시엔 지하철이 개통되기 이전이다.)-와산교 구간까지만 산책로가 있었고, 그 아래로는 산책로가 조성되기 이전이었다. 때문에 쓰레기들이 널려있거나 불량학생들이 담배를 피우거나 다리밑에서 무리를 지어 놀곤 하는 무질서한 광경들을 볼 수 있었다. 증산동에 있어서 역명이 붙여졌지만 불광천만 건너면 서대문구로 갈 수 있기 때문에 서대문구 [[북가좌동]] 쪽 이용객도 많다.[* 주로 북가좌2동 주민들이 많이 이용한다. 북가좌1동의 경우 [[서울북가좌초등학교]] 인근 주민은 [[디지털미디어시티역]]을, DMC래미안e편한세상아파트 주민은 [[가좌역]]을 많이 이용한다.] 1번 출구에서 불광천 증산2교를 넘으면 바로 서대문구다. 그리고 걷다 보면 [[서부운수]] 차고지가 나오기 때문에 그곳에서 [[서울 버스 721|721번]], [[서울 버스 7018|7018번]], [[서울 버스 7719|7719번]]과 환승을 할 수 있다.[* 7018번의 경우는 증산역 1번출구로 나오자마자 길을건너 우회전하면 북가좌파출소 근처 '북가좌119안전센터' 정류장에서 보다 편리하게 환승할 수 있다.] 명지대역이 2개나 있는데 인문계열은 이곳을 이용하면 되지만 자연계열은 에버라인 명지대역을 이용하면 편리하다. === 출구 정보 === ||<-2> {{{#000,#fff [[파일:Seoulmetro6_icon.svg|width=20]] 증산(명지대앞)역 출구 정보}}} || ||{{{#ffffff 1}}}||북가좌2동[br]북가좌지구대[br]북가좌119안전센터[br]풍원시장|| ||{{{#ffffff 2}}}||북가좌1동[br]북가좌초등학교[br]불광천산책로[br]명지대 방면[br]해담는다리[br]북가좌2동주민센터|| ||{{{#ffffff 3}}}||증산동주민센터[br]증산치안센터[br]증산종합시장[br]증산초등학교[br]증산중학교[br]구립증산정보도서관|| ||{{{#ffffff 4}}}||연서중학교[br]상신중학교|| == 일평균 이용객 == {{{#!wiki style="word-break: keep-all" || {{{#ffffff '''연도'''}}} || [[서울 지하철 6호선|[[파일:Seoulmetro6_icon.svg|width=25]]]] || {{{#ffffff '''비고'''}}} || ||<^|1><-3> {{{#!wiki style="margin: -0px -11px -5px" {{{#!folding [ 2000년~2009년 ] {{{#!wiki style="margin-top: -5px; margin-bottom: -11px" || 2000년 || 8,405명 || [* 개통일인 12월 15일부터 12월 31일까지 17일간의 집계를 반영한 것이다.] || || 2001년 || 12,757명 || || || 2002년 || 16,142명 || {{{#fff,#1f2023 비고}}} || || 2003년 || 17,750명 || || || 2004년 || 18,502명 || || || 2005년 || 18,558명 || || || 2006년 || 18,395명 || || || 2007년 || 18,464명 || || || 2008년 || 17,956명 || || || 2009년 || 17,921명 || ||}}}}}}}}} || || 2010년 || 18,236명 || || || 2011년 || 18,651명 || || || 2012년 || 19,513명 || || || 2013년 || 20,189명 || || || 2014년 || 20,791명 || || || 2015년 || {{{#cd7c2f 20,920명}}} || || || 2016년 || 20,678명 || || || 2017년 || 20,787명 || || || 2018년 || 20,648명 || || || 2019년 || 20,875명 || || || 2020년 || 16,542명 || || || 2021년 || 16,814명 || || || 2022년 || 18,039명 || || ||<-3> {{{#ffffff '''출처'''}}} || ||<-3> [[http://www.seoulmetro.co.kr/kr/board.do?menuIdx=548|서울교통공사 자료실]] || }}} 증산역은 하루 평균 18,039명(2022년 기준)이 타고 내린다. 2010년대 중반 이후 꾸준히 2만 명이 약간 넘는 승객이 오가는 곳으로, 개통 이후 약 15년 간 꾸준히 이용객이 증가했다. 증산역을 찾는 사람들은 주로 [[은평구]] [[증산동(서울)|증산동]], [[서대문구]] [[북가좌동|북가좌2동]] 주민들과 소수의 [[명지대학교]] 학생들이다. 명지대학교와는 직선거리 1.3km로 꽤 멀리 떨어져 있지만 부역명이 붙어있는데, 여기에서 알 수 있듯이 불광천 너머 동네는 지하철이 다니지 않아서, 마을버스를 타고 6호선 역에서 환승하는 수요가 적지 않게 나온다. 증산역 서쪽으로 수색산에 가로막혀 역세권이 좁고 낙후된 지역임에도 하루 2만 명이 넘는 승객이 타고 내리는 데에는 이러한 이유가 반영되어 있다. == 승강장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attachment/zungsan.jpg|width=100%]]}}}|| || '''{{{#fff 6호선 승강장 }}}''' || 2면 2선의 [[상대식 승강장]]이며, [[스크린도어]]가 설치되어 있다. 스크린도어가 닫힐 때 경고음이 추가되었다. ||<-4> [[새절역|새절]] ↑ || || {{{#ffffff 하}}} || ㅣ || ㅣ || {{{#ffffff 상}}} || ||<-4> ↓ [[디지털미디어시티역|디지털미디어시티]] || || {{{#ffffff 상}}} ||<|2> [[파일:Seoulmetro6_icon.svg|width=17]] [[서울 지하철 6호선]] ||[[새절역|새절]]·[[응암역|응암]]·[[역촌역|역촌]]·[[불광역|불광]] 방면|| || {{{#ffffff 하}}} ||[[디지털미디어시티역|디지털미디어시티]]·[[합정역|합정]]·[[삼각지역|삼각지]]·[[신내역|신내]] 방면|| == 사건.사고 == [include(틀:사건사고)] * 2008년에 인신사고가 발생하였다. * 2015년 11월, 증산역 4번 출구 쪽으로 크레인이 돌진하여 출구가 다 부서지고 곳곳이 아수라장이 되었다.[* [[http://junior.heraldcorp.com/enie/view.php?ud=201511051121022126084_3|「분당선 고장 시민들 불편...증산역 25톤 크레인 사고」, 2015-11-05, 주니어헤럴드]]] 이 사고로 70대 노인 외 1명이 부상을 당했다. == 연계 교통 == === 2번 출구 === {{{#!wiki style="word-break: keep-all" ||<-2> {{{+1 {{{#373a3c,#c3c6c8 '''증산역.증산동주민센터(12174/12747)'''}}}}}} || || [[간선버스(서울)|{{{#ffffff 간선}}}]] ||{{{+1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3d5bab; font-size: .95em" [[서울 버스 571|{{{#ffffff 571(진관차고지)}}}]]}}} {{{+1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3d5bab; font-size: .95em" [[서울 버스 753|{{{#ffffff 753(구산동)}}}]]}}} || || [[지선버스(서울)|{{{#ffffff 지선}}}]] ||{{{+1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5bb025; font-size: .95em" [[서울 버스 7019|{{{#ffffff 7019(서소문)}}}]]}}} {{{+1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5bb025; font-size: .95em" [[서울 버스 7021|{{{#ffffff 7021(을지로입구)}}}]]}}} {{{+1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5bb025; font-size: .95em" [[서울 버스 7611|{{{#ffffff 7611(여의도)}}}]]}}} {{{+1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5bb025; font-size: .95em" [[서울 버스 7728|{{{#ffffff 7728(대화동)}}}]]}}} {{{+1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5bb025; font-size: .95em" [[서울 버스 7730|{{{#ffffff 7730(이북오도청)}}}]]}}}|| || [[심야버스(서울)|{{{#ffc600 심야}}}]] ||{{{+1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3d5bab; font-size: .95em" [[서울 버스 N73|{{{#ffc600 N73(구산동)}}}]]}}} || || [[공항버스(서울)|{{{#ffffff 공항}}}]] ||{{{+1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8b4513; font-size: .95em" [[공항버스 6012|{{{#ffffff 6012(구파발역)}}}]]}}} ||}}} === 3번 출구 === {{{#!wiki style="word-break: keep-all" ||<-2> {{{+1 {{{#373a3c,#c3c6c8 '''증산역.증산동주민센터(12364/12748)'''}}}}}} || || [[간선버스(서울)|{{{#ffffff 간선}}}]] ||{{{+1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3d5bab; font-size: .95em" [[서울 버스 571|{{{#ffffff 571(가산동)}}}]]}}} {{{+1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3d5bab; font-size: .95em" [[서울 버스 753|{{{#ffffff 753(상도동)}}}]]}}} || || [[지선버스(서울)|{{{#ffffff 지선}}}]] ||{{{+1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5bb025; font-size: .95em" [[서울 버스 7019|{{{#ffffff 7019(은평차고지)}}}]]}}} {{{+1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5bb025; font-size: .95em" [[서울 버스 7021|{{{#ffffff 7021(은평차고지)}}}]]}}} {{{+1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5bb025; font-size: .95em" [[서울 버스 7611|{{{#ffffff 7611(은평차고지)}}}]]}}} {{{+1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5bb025; font-size: .95em" [[서울 버스 7728|{{{#ffffff 7728(신촌)}}}]]}}} {{{+1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5bb025; font-size: .95em" [[서울 버스 7730|{{{#ffffff 7730(은평차고지)}}}]]}}}|| || [[심야버스(서울)|{{{#ffc600 심야}}}]] ||{{{+1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3d5bab; font-size: .95em" [[서울 버스 N73|{{{#ffc600 N73(복정역)}}}]]}}} || || [[공항버스(서울)|{{{#ffffff 공항}}}]] ||{{{+1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8b4513; font-size: .95em" [[공항버스 6012|{{{#ffffff 6012(인천공항)}}}]]}}} ||}}} {{{#!wiki style="word-break: keep-all" ||<-2> {{{+1 {{{#373a3c,#c3c6c8 '''증산역(증산2교)(13956)'''}}}}}} || || [[마을버스(서울)|{{{#ffffff 마을}}}]] ||{{{+1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5bb025; font-size: .95em" [[서울 버스 서대문15|{{{#ffffff 서대문15(명지대후문)}}}]]}}} ||}}} {{{#!wiki style="word-break: keep-all" ||<-2> {{{+1 {{{#373a3c,#c3c6c8 '''증산2교(13977)'''}}}}}} || || [[마을버스(서울)|{{{#ffffff 마을}}}]] ||{{{+1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5bb025; font-size: .95em" [[서울 버스 서대문15|{{{#ffffff 서대문15(종점)}}}]]}}} ||}}} == 둘러보기 == [include(틀:서울 지하철 6호선의 역 목록)] [include(틀:은평구 관내 철도역)] [[분류:2000년 개업한 철도역]][[분류:대한민국의 도시철도 정거장]][[분류:서울 지하철 6호선]][[분류:나무위키 철도 프로젝트]][[분류:서울특별시의 지하철역]][[분류:은평구의 도시철도역]][[분류:대학 명칭 철도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