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중랑구의 법정동)] ||<-2> '''[[중랑구|{{{#000000,#dddddd 중랑구}}}]]의 [[법정동|{{{#000000,#dddddd 법정동}}}]]'''[br]'''{{{+1 중화동}}}'''[br]中和洞 | Junghwa-dong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include(틀:지도, 장소=중랑구 중화동, 너비=100%, 높이=100%)]}}} || || '''광역자치단체''' || 서울특별시 || || '''기초자치단체''' || 중랑구 || || '''행정표준코드''' || 1126010300 || || '''관할 행정동''' || 중화1동, 중화2동 || || '''하위 행정구역''' || 70통 528반 || || '''면적''' || 1.65㎢ || || '''인구''' || 43,130명[*A 2023년 6월 주민등록인구] || || '''인구밀도''' || 26,139.39명/㎢ || [목차][clearfix] == 개요 == [[서울특별시]] [[중랑구]]에 있는 [[동(행정구역)|동]]. [[동일로]]를 기준으로 서쪽으로는 태릉시장이 있으며, 남쪽으로는 [[망우로]]와 서울동부시장과 인접해있다. == 역사 == [[봉화산]] 아래 자연마을인 ‘가운데 마을’(중리)과 ‘아랫마을’(하리)의 글자를 따서 '중하리'였다. [[일제강점기]] 초까지 공식 지명으로는 경기도 [[양주군]] 망우리면 중리(中里)와 하리(下里)의 일부지역이었으나 1914년 4월 1일 일제의 행정 구역 통폐합 때 양주군 구리면 중하리로 칭하였으며, 해방 후에도 이 지명은 변함이 없이 이어져 왔다. 1963년에 서울특별시 [[동대문구]]로 편입될 당시 동민들이 아래 하(下) 대신 ‘화목’을 도모하는 화(和)를 넣어 중화동으로 개칭할 것을 서울시에 건의하였기 때문에 지금의 중화동이 되었다. 1977년 9월 1일 행정동 중화1동과 중화2동으로 분동되었고 1988년 1월 1일 동대문구 중화동에서 [[중랑구]] 중화1동으로 분리 신설되었다. 1989년 6월 1일 중화1동에서 중화 1·3동으로 분동되었고 2008년 1월 1일 중화2동과 중화3동에서 중화2동으로 통합되었다. == 관할 행정동 == === 중화1동 === ||<-2> '''[[중랑구|{{{#000000,#dddddd 중랑구}}}]]의 [[행정동|{{{#000000,#dddddd 행정동}}}]]'''[br]'''{{{+1 중화제1동}}}'''[br]中和第一洞 | Junghwa 1(il)-dong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include(틀:지도, 장소=중랑구 중화제1동, 너비=100%, 높이=100%)]}}} || || '''광역자치단체''' || 서울특별시 || || '''기초자치단체''' || 중랑구 || || '''행정표준코드''' || 3060049 || || '''관할 법정동''' || 중화동 || || '''하위 행정구역''' || 26통 195반 || || '''면적''' || 0.64㎢ || || '''인구''' || 18,934명[*A] || || '''인구밀도''' || 29,584.38명/㎢ || || '''정치''' ||<^|1> {{{#!wiki style="margin:-0px -11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top:-5px;margin-bottom:-11px" ||<-2> '''국회의원 | 중랑구 을''' || || [include(틀:더불어민주당/행정구역)] || [[박홍근]] ,,(3선),, || ||<-2> '''서울특별시의원 | 제3선거구''' || || [include(틀:더불어민주당/행정구역)] || [[박승진(정치인)|박승진]] ,,(초선),, || ||<-2> '''중랑구의원 | 마 선거구''' || || [include(틀:국민의힘/행정구역)] || 김영숙 ,,(3선),, || || [include(틀:더불어민주당/행정구역)] || 임익모 ,,(초선),, ||}}}}}}}}} || ||<|2> [[행정복지센터|{{{#ffffff '''행정복지센터'''}}}]] || 동일로134길 17[* 중화동 287-3] || || [[https://dong.jungnang.go.kr/dong/main.do?dong=09|중화1동 주민센터]] || [clearfix] [[동일로]]와 [[중화역]]을 기준으로 동쪽에 있는 행정동이다. 대부분 단독주택 및 빌라와 아파트가 혼재된 주거지역이며 상권은 동일로 중화역을 중심으로 발달해 있다. 중화동 중 중화2동에 학교가 없고 중화1동에만 학교가 있다. 중흥초등학교와 묵동초등학교, 장안중학교, 중랑중학교, 중화고등학교가 있다.[* 중화고는 교명과 실제 위치한 동이 일치한 반면 장안중, 묵동초는 교명과 실제 위치한 동이 위치하지 않으며, 역으로 중화초는 중화동이 아니라 신내동에 있고, 중화중도 중화동이 아닌 면목동에 있다.] === 중화2동 === ||<-2> '''[[중랑구|{{{#000000,#dddddd 중랑구}}}]]의 [[행정동|{{{#000000,#dddddd 행정동}}}]]'''[br]'''{{{+1 중화제2동}}}'''[br]中和第二洞 | Junghwa 2(i)-dong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include(틀:지도, 장소=중랑구 중화제2동, 너비=100%, 높이=100%)]}}} || || '''광역자치단체''' || 서울특별시 || || '''기초자치단체''' || 중랑구 || || '''행정표준코드''' || 3060050 || || '''관할 법정동''' || 중화동 || || '''하위 행정구역''' || 44통 333반 || || '''면적''' || 1.01㎢ || || '''인구''' || 24,196명[*A] || || '''인구밀도''' || 23,956.44명/㎢ || || '''정치''' ||<^|1> {{{#!wiki style="margin:-0px -11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top:-5px;margin-bottom:-11px" ||<-2> '''국회의원 | 중랑구 을''' || || [include(틀:더불어민주당/행정구역)] || [[박홍근]] ,,(3선),, || ||<-2> '''서울특별시의원 | 제3선거구''' || || [include(틀:더불어민주당/행정구역)] || 강대호 ,,(초선),, || ||<-2> '''중랑구의원 | 마 선거구''' || || [include(틀:국민의힘/행정구역)] || 김영숙 ,,(3선),, || || [include(틀:더불어민주당/행정구역)] || 임익모 ,,(초선),, ||}}}}}}}}} || ||<|2> [[행정복지센터|{{{#ffffff '''행정복지센터'''}}}]] || 동일로129길 1[* 중화동 301-1] || || [[https://dong.jungnang.go.kr/dong/main.do?dong=10|중화2동 주민센터]] || [clearfix] [[동일로]]([[중화역]])을 기준으로 서쪽에 있고 [[중랑천]]에 접해있는 행정동이다. [[수도권 전철 경의·중앙선]], [[수도권 전철 경춘선]]의 환승역인 [[중랑역]]이 행정동의 남부에 위치해있다. 중랑천 옆으로 [[동부간선도로]] 의정부방향 상행선이 지나간다. 동쪽 경계에는 [[동일로]], 남쪽 경계에는 [[망우로]]가 있으며 주거 지역 서쪽으로는 중랑천로가 있고 동의 가운데를 중랑역로가 관통한다. 북쪽 [[봉화산로]]에 속하는 [[이화교]]를 통해 [[동대문구]] [[이문동]]으로, 남쪽 경계 [[망우로]]에 속하는 [[중랑교]]를 통해 동대문구 [[휘경동]]으로 갈 수 있다. 중앙선의 [[중랑철교]]와 경춘선의 [[이문철교]]도 중랑천 너머 동대문구와 연결된다. 빌라와 단독주택, 아파트 등 주거 지역과 역세권 상권과 태릉시장 등 상업 지역이 혼재되어 있다. 중랑천을 따라 산책로와 자전거길, 체육공원이 있다. 버스, 철도 등 교통이 편리해 다른 지역으로의 이동이 쉬우나 두 개의 철교를 따라 지상 위로 철로가 있고 중랑역 승강장도 지상 위에 있기 때문에 소음으로 불편한 점이 있다. 2020년에 개관한 [[충북학사]] 동서울관이 있다. == 주요 시설 == === 기관 === * 중랑수협 * 중랑 MG새마을금고 === 주거 === * [[우성건설]] 중화 우성타운 - 1986년 12월 입주. * [[극동건설]] 중화 극동아파트 - 1991년 4월 입주. * [[삼익|삼익건설]] 중화 삼익아파트 - 1995년 2월 입주. * [[한신공영]] [[중화 한신아파트]] - 1996년 9월 입주. * [[건영]] 중화 건영아파트 - 1998년 3월 입주. * 동구종합건설 중화 동구햇살 - 2001년 12월 입주. * 청원종합건설 중화 청원다미소 - 2004년 10월 입주. * CNC종합건설 태능에셈빌 - 2005년 3월 입주. * 청광종합건설 중화역 청광플러스원 - 2007년 7월 입주. * 미영종합건설 미영리치타운 - 2007년 11월 입주. * 동양/건설부문 중화 1차 동양엔파트 - 2010년 5월 입주. * 동양/건설부문 중화 2차 동양엔파트 - 2013년 3월 입주. * [[범양건영]] 중화 범양프레체 - 2012년 9월 입주. * [[SK에코플랜트]], [[롯데건설]] 중화동 [[리버센 SK VIEW 롯데캐슬]] - 2025년 11월 입주예정. === 학교 === ==== 초등학교 ==== * 서울묵동초등학교 * 서울중흥초등학교 ==== 중학교 ==== * 장안중학교 * 중랑중학교 ==== 고등학교 ==== * 중화고등학교 == 교통 == === 도로 === ==== 고속화도로 ==== * [[동부간선도로]] ==== 대로 ==== * [[동일로]] * [[망우로]] ==== 로 ==== * [[봉화산로]] * 중랑역로 * 중랑천로 === 대중교통 === ==== 도시철도 ==== * [[서울 지하철 7호선]]: [[중화역]] * [[수도권 전철 경의·중앙선]], [[수도권 전철 경춘선]]: [[중랑역]] ==== 좌석버스 ==== * [[남양주 버스 330-1]] ==== 간선버스 ==== * [[서울 버스 105]] * [[서울 버스 146]] * [[서울 버스 201]] * [[서울 버스 202]] * [[서울 버스 241]] * [[서울 버스 260]] * [[서울 버스 270]] * [[서울 버스 272]] * [[서울 버스 273]] * [[서울 버스 N26]] * [[서울 버스 N61]] ==== 지선버스 ==== * [[서울 버스 1122]] * [[서울 버스 1224]] * [[서울 버스 1227]] * [[서울 버스 2114]] * [[서울 버스 2115]] * [[서울 버스 2212]] * [[서울 버스 2236]] ==== 일반버스 ==== * [[경기광주 버스 30]] * [[구리 버스 51]] * [[경기광주 버스 65]] * [[남양주 버스 88]] * [[남양주 버스 165]] * [[남양주 버스 166]] * [[남양주 버스 166-1]] * [[남양주 버스 170]] * [[남양주 버스 202]] * [[남양주 버스 707]] ==== 급행버스 ==== * [[가평 버스 8005]] ==== 직행버스 ==== * [[가평 버스 1330-2]] * [[가평 버스 1330-3]] * [[가평 버스 1330-4, -44]] ==== 공항버스 ==== * [[공항버스 6100]] ==== 마을버스 ==== * [[서울 버스 중랑01]] [[분류:중랑구의 법정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