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7><:> [[파일:중국 대만 국기.svg|width=20]] '''{{{#000,#ddd 중화권-투르크메니스탄 관계 관련 틀}}}''' [[파일:투르크메니스탄 국기.svg|width=20]] || ||<-7><:><#fff,#2d2f34>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include(틀:중국의 대외관계)] ---- [include(틀:대만의 대외관계)] ---- [include(틀:투르크메니스탄의 대외관계)] ---- }}} || ||
[[파일:중국 국기.svg|width=100%]] || [[파일:투르크메니스탄 국기.svg|width=100%]] || [[파일:대만 국기.svg|width=100%]] || || [[중국|{{{#ffff00 '''중국'''}}}]] || [[투르크메니스탄|{{{#fff '''투르크메니스탄'''}}}]] || [[대만|{{{#fff '''대만'''}}}]] || [목차] == 개요 == [[중국]], [[대만]]과 [[투르크메니스탄]]의 대외관계에 대한 문서. == 역사적 관계 == [[송나라]]의 사료에 의하면 [[호라즘 제국]]의 수도 [[쿠냐우르겐치]]에 대해 언급되고 있다. [[중화민국]] 및 2차 세계대전 때에 일부 투르크멘인들은 [[만주]]에서 일어난 [[항일전쟁]]에 참여하기도 했다. == 중국과의 관계 == === 21세기 === ==== 2000년대 ==== 2000년 6월 장쩌민 주석은 투르크메니스탄을 방문했다.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01/0000010466?sid=104|#]] 2000년 7월 중국과 투르크메니스탄은 공동선언을 채택했다.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01/0000013586?sid=104|#]] 2003년 10월 중국은 투르크메니스탄을 비롯한 여러 나라들과 석유개발 관련 계약들을 체결했다.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08/0000333795?sid=101|#]] 2005년 8월 이후 중국은 우즈베키스탄, 투르크메니스탄 정부 및 정상들을 베이징에 초대하기도 했다.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28/0000123860?sid=103|#]] 2008년 8월 후진타오 주석은 투르크메니스탄과 타지키스탄을 방문했다. [[https://www.hani.co.kr/arti/politics/diplomacy/306655.html|#]] ==== 2010년대 ==== 2013년 9월 4일 시진핑 주석은 베르디무하메도프 투르크메니스탄 대통령을 만났다. [[https://www.newspim.com/news/view/20130904000250|#]], [[http://kr.people.com.cn/203072/203278/8392090.html|#]], [[https://www.ajunews.com/view/20130904000308|#]] 2014년 5월부터 중국은 투르크메니스탄과 에너지 협력을 확대했다.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01/0006904667?sid=104|#]], [[https://www.ajunews.com/view/20140513142405761|#]] 2016년에 러시아가 [[천연가스]] 수출을 중단시키자 중국은 [[투르크메니스탄]]의 [[천연가스]]를 수입하고 있다.[[http://www.asiatoday.co.kr/view.php?key=20180523010010917|#]] ==== 2020년대 ==== 2022년 9월 베르디무하메도프는 대만 문제를 간접적으로 언급하고 하나의 중국 원칙을 지지한다고 언급했다. [[https://view.asiae.co.kr/article/2022091515275439118|#]] 2023년 1월 6일.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과 세르다르 베르디무함메도프 투르크메니스탄 대통령은 이날 베이징 인민대회당에서 정상회담을 갖고 양국 관계를 '전면적 전략 동반자 관계'로 격상한다고 선포했다.[[https://m.yna.co.kr/view/AKR20230106157600083?section=international/all|#]] === 교통 교류 === 두 나라들(중국, 투르크메니스탄)을 잇는 공항이 없어서 두바이나 [[카자흐스탄]], [[우즈베키스탄]]의 [[부하라]]를 통해 지나간다. 비자의 경우 양국 모두 비자가 필요한 상황에 해당된다. === 대사관 === [[아슈하바트]]에 중국 대사관이 있으며, [[베이징]]에는 투르크메니스탄 대사관이 있다. == 대만과의 관계 == === 문화 교류 === 2001년 투르크메니스탄-대만전(축구)이 열렸다.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09/0000174249?sid=103|#]], [[https://sports.news.naver.com/news.nhn?oid=020&aid=0000062797|#]] 2011년 9월 16일 대만 타이베이 대만국립대경기장에서 투르크메니스탄이 아시아여자배구선수권대회에 불참하였다. [[https://news.kmib.co.kr/article/view.asp?arcid=0005360382&code=12140000|#]] 2013년 한국 안산 상록수체육관에서 대만 선수와 투르크메니스탄 선수들이 실내카바디 경기를 했다. [[https://sports.news.naver.com/news.nhn?oid=003&aid=0005238050|#]] === 대표부 === 양국은 공식적인 외교관계가 없다보니 투르크메니스탄에 대표부가 없다보니 투르크메니스탄에 대한 일들은 모스크바의 타이베이 경제 문화 조정 위원회 대표사무소, 앙카라 타이베이 경제 문화 대표단이 공동 관할하고 있다. === 교통 교류 === 두 나라(대만, 투르크메니스탄) 모두 서로 방문하려면 비자가 필요하다. 대만 사람이 투르크메니스탄을 방문하려면 해외의 투르크메니스탄 대사관 및 영사관에서 경유 비자나 관광 비자를 신청해야 한다. 투르크메니스탄 사람의 경우 전자비자로 대만에 30일 동안 머무를 수 있었으나 현재 전자비자 적용이 중단되었다고 한다. 두 나라들을 잇는 직항이 없기에 대만([[타이베이]], [[타이중]], [[가오슝]])에서 [[방콕]]이나 [[쿠알라룸푸르]], [[두바이]], [[델리]], [[이스탄불]], [[프랑크푸르트]]로 환승해서 경유한다. == 관련 문서 == * [[중국/외교]], [[대만/외교]] * [[투르크메니스탄/외교]] * [[중국/경제]], [[대만/경제]] * [[투르크메니스탄#경제|투르크메니스탄/경제]] * [[대국관계일람/아시아 국가/동아시아 국가]] * [[대국관계일람/아시아 국가/중앙아시아 국가]] [각주] [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투르크메니스탄/외교,version=58, paragraph=2.7, title2=중국/외교,version2=1336)] [[분류:중국의 대국관계]][[분류:대만의 대국관계]][[분류:투르크메니스탄의 대국관계]][[분류:나무위키 외교 프로젝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