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음성학]] [include(틀:모음 분류)] [[파일:attachment/mo_eum_pyo_1.png|align=right]] [목차] [clearfix] == 개요 == {{{+2 [[中]][[低]][[母]][[音]] / Open-mid vowel}}}[* 입을 더 벌린 중모음이란 뜻이다.] 혀의 높이를 근저모음보다는 높고 중모음보다는 낮게 해서 발음하는 모음. 한국어에서 여기에 해당하는 모음은 /[[ㅐ]]/[ɛ], /[[ㅓ]]/[ʌ̹][* [ʌ\]~[ɔ\]]가 있다. == 조음 방법 == === 전설 평순 중저모음[anchor(전설평순)] === ||<-2> '''{{{#fff [ruby(전설 평순 중저모음, ruby=open-mid front unrounded vowel)]}}}''' || ||<-2> {{{#!wiki style="margin-top: -10px; margin-bottom: -30px" {{{#!html

ɛ

}}} }}} || || {{{#fff 혀 높이}}} || 중저모음 || || {{{#fff 혀 기울기}}} || 전설모음 || || {{{#fff 입술 모양}}} || 평순모음 || [[https://upload.wikimedia.org/wikipedia/commons/7/71/Open-mid_front_unrounded_vowel.ogg|들어보기]] 혀의 최고점을 앞으로 하고 입술을 평평하게 하면서 혀의 높이를 중모음보다는 낮고 근저모음보다는 높게 하여 발음하는 소리. 한국어에서는 원칙적으로는 [[ㅐ]]가 이 발음이다. 그러나 현대 한국어는 [['ㅐ'와 'ㅔ'의 구별]]이 희미해진 탓에 ㅐ는 중고모음 ㅔ[e]와 합쳐져 중모음 [e̞]로 음가가 변화하고 있고, 기존의 [ɛ] 발음은 일부에서만 실현되어 의미 변별에 영향을 끼치지 않는 변이음이다. 영어의 e발음도 대부분이 /ɛ/로 나온다. 때문에 한국어의 ㅐ와 ㅔ가 전부 같게 들리게 된다. [[독일어]]에서는 단모음 e, ä 및 장모음 ä가 이 발음이다. === 전설 원순 중저모음[anchor(전설원순)] === ||<-2> '''{{{#fff [ruby(전설 원순 중저모음, ruby=open-mid front rounded vowel)]}}}''' || ||<-2> {{{#!wiki style="margin-top: -10px; margin-bottom: -30px" {{{#!html

œ

}}} }}} || || {{{#fff 혀 높이}}} || 중저모음 || || {{{#fff 혀 기울기}}} || 전설모음 || || {{{#fff 입술 모양}}} || 원순모음 || [[https://upload.wikimedia.org/wikipedia/commons/0/00/Open-mid_front_rounded_vowel.ogg|들어보기]] 혀의 최고점을 앞으로 하고 입술을 둥글게 하면서 혀의 높이를 중모음보다는 낮고 근저모음보다는 높게 하여 발음하는 소리. 얼핏 들으면 [[ㅓ]]와 [[ㅚ]]의 중간 발음처럼 들린다. [[프랑스어]]에서는 'fleur', 'ordinateur' 등의 'eu'에서 나타나며, [[중국어]]에서는 月(yuè),疟(nüè),雪(xuě)처럼 운모 üe에서 앞에 있는 ü[* 성모가 없을 때 yu, j,q,x 뒤에서는 u]/ɥ/의 원순성 때문에 /e/의 변이음으로 나타난다. 간혹 영어에서 외래어를 차용할 때 /ʌ/를 이렇게 바꿔 발음하기도 한다. === 중설 평순 중저모음[anchor(중설평순)] === ||<-2> '''{{{#fff [ruby(중설 평순 중저모음, ruby=open-mid central unrounded vowel)]}}}''' || ||<-2> {{{#!wiki style="margin-top: -10px; margin-bottom: -30px" {{{#!html

ɜ

}}} }}} || || {{{#fff 혀 높이}}} || 중저모음 || || {{{#fff 혀 기울기}}} || 중설모음 || || {{{#fff 입술 모양}}} || 평순모음 || || {{{#fff r화 모음}}} || ɝ || [[https://upload.wikimedia.org/wikipedia/commons/0/01/Open-mid_central_unrounded_vowel.ogg|들어보기]] --3-- 혀의 최고점을 후설모음이 되지 않을 만큼 뒤로 빼고 입술을 평평하게 하면서 혀의 높이를 중모음보다는 낮고 근저모음보다는 높게 하여 발음하는 소리. 현대 미국식 영어의 /ʌ/가 이 발음이다. 전통적인 영어에서는 girl의 ir같이 /ɜːr/에서 나타났지만 현대 [[https://en.wikipedia.org/wiki/General_American_English#Vowels|미국식 영어]]에서는 /ɚ/과 같은 음성이라고 하며, 현대 [[용인발음]]에서는 /ə/와 장단으로만 구별한다. === 중설 원순 중저모음[anchor(중설원순)] === ||<-2> '''{{{#fff [ruby(중설 원순 중저모음, ruby=open-mid central rounded vowel)]}}}''' || ||<-2> {{{#!wiki style="margin-top: -10px; margin-bottom: -30px" {{{#!html

ɞ

}}} }}} || || {{{#fff 혀 높이}}} || 중저모음 || || {{{#fff 혀 기울기}}} || 중설모음 || || {{{#fff 입술 모양}}} || 원순모음 || [[https://upload.wikimedia.org/wikipedia/commons/d/d9/Open-mid_central_rounded_vowel.ogg|들어보기]] 혀의 최고점을 후설모음이 되지 않을 만큼 뒤로 빼고 입술을 둥글게 하면서 혀의 높이를 중모음보다는 낮고 근저모음보다는 높게 하여 발음하는 소리. 한국어의 [[ㅓ]]와 비슷한데 [[몽골어]]의 o에서 이소리가 난다. [[양순음#전동|양순 전동음]] [ʙ]와 모양이 비슷하기 때문에 혼동할 수 있다. 평순 후설 중저모음 [ʌ]하고는 이음 관계이다. 기호가 없을 때는 ɔ̈로 표기하기도 했다. === 후설 평순 중저모음[anchor(후설평순)] === ||<-2> '''{{{#fff [ruby(후설 평순 중저모음, ruby=open-mid back unrounded vowel)]}}}''' || ||<-2> {{{#!wiki style="margin-top: -10px; margin-bottom: -30px" {{{#!html

ʌ

}}} }}} || || {{{#fff 혀 높이}}} || 중저모음 || || {{{#fff 혀 기울기}}} || 후설모음 || || {{{#fff 입술 모양}}} || 평순모음 || [[https://upload.wikimedia.org/wikipedia/commons/9/92/Open-mid_back_unrounded_vowel.ogg|들어보기]] 혀의 최고점을 뒤로 하고 입술을 평평하게 하면서 혀의 높이를 중모음보다는 낮고 근저모음보다는 높게 하여 발음하는 소리. 기호는 대문자 [[A]]에서 왔는데, 흔히 "Turned [[V]]"라 부르고 [[유니코드]]에도 그렇게 등록되어 있다. 한국어의 [[ㅓ]]가 이 소리를 다소 원순화한 발음([ʌ̹])이다. 이 때문에 외국인이 한국어의 ㅓ를 ㅗ[o]와 비슷하게 듣는 경우가 있다. 또 [[피카르디]] 지방의 프랑스어 폐음절의 o도 이 소리. 현대 영어의 /ʌ/는 북미 영어에서는 중설화된 [ɜ]로, 남부 [[잉글랜드]] 방언에서는 'ㅏ'에 가까운 [[근저모음#중설|[ɐ\]]]로 소리가 난다.[* 전통적인 북부 잉글랜드 방언에선 음소 /ʌ/가 존재하지 않았다. 현대에는 미디어의 영향으로 /ʌ/발음 자체는 가능하지만 대다수의 북부 화자들은 여전히 [ʊ\]로 발음한다. 그래서 북부 잉글랜드 억양의 영국인들이 말하는 것을 들어보면 love는 '로브', one은 '우온', strut은 '스트롯'으로 들린다. 여기서 왜 'ㅜ'가 아니라 'ㅗ'인지 의문이 들 수도 있는데 음성 [ʊ\]는 중고모음인 한국어의 ㅗ([o\])와 상당히 가까운 위치에 있기 때문이다.] 또한 일부 [[힌디어]] 화자들이 a를 ʌ로 발음하기도 한다. 그렇다고 이 발음이 현대 영어에 아예 존재하지 않는 것은 아닌데, 미국식 영어의 이중모음 /oʊ/([ʌʊ])에서 o가 ʌ로 발음되고, 캐나다 영어의 이중모음 /aʊ/([ʌʊ])에서 a가 ʌ로 발음된다. 그래서 미국인들이 캐나다인들은 'about'을 'aboat'[* 과장된 밈에서는 주로 aboot로 표기된다. 물론 실제로 aboot로 발음되지는 않고 그냥 밈이다.]로 발음한다면서 놀리기도 한다. === 후설 원순 중저모음[anchor(후설원순)] === ||<-2> '''{{{#fff [ruby(후설 원순 중저모음, ruby=open-mid back rounded vowel)]}}}''' || ||<-2> {{{#!wiki style="margin-top: -10px; margin-bottom: -30px" {{{#!html

ɔ

}}} }}} || || {{{#fff 혀 높이}}} || 중저모음 || || {{{#fff 혀 기울기}}} || 후설모음 || || {{{#fff 입술 모양}}} || 원순모음 || [[https://upload.wikimedia.org/wikipedia/commons/0/02/Open-mid_back_rounded_vowel.ogg|들어보기]] 혀의 최고점을 뒤로 하고 입술을 둥글게 하면서 혀의 높이를 중모음보다는 낮고 근저모음보다는 높게 하여 발음하는 소리. 위의 Turned [[V]]와는 달리 이 기호는 Turned [[C]]가 아닌 Open [[O]]라고 불린다. 표준 한국어에는 이 발음이 없으나, [[제주어]]에는 본래 [[저모음#후설원순|후설 원순 저모음]]이었던 아래아의 흔적이 이 발음으로 변화하고 있다. [[외래어 표기법]]에서는 이 발음을 [[ㅗ]]로 적도록 규정하고 있지만, [[ㅓ]]로 적히는 경우도 종종 있고 [[ㅏ]]로 적히는 경우도 드물게 있다. 이를 테면, 커피[kɒfi]가 있다.[* [[태국어]] , [[몽골어]]의 [ɔ\]는 '어'로 표기한다.] 북한 방언 화자가 ㅗ를 이 음가로 발음한다. 통념과는 달리 ㅓ를 ㅗ처럼 발음하는 경우는 드물고, ㅗ가 ㅓ와 비슷하며 사투리에 따라서는 구별을 두지 않는 경우도 있다. 그래서 [[김문철]] 문서의 북한군의 말을 듣다 보면 '뼈다귀도 추리지 못하게'가 '뼈다귀도 추리지 머다게', '모조리 불살라'가 '머저리 불살라'로 들리기도 한다. [[문화어]]는 모음에 대한 구체적인 기준이 없으나 음향음성학적 연구에서는 혀의 위치가 더 낮아 표준어에 좀 더 가깝게 발음한다. 북미 영어(North American English)에서는 이 음소로 발음되던 단어들이 점차 후설 저모음인 /ɑ/(비원순)혹은 /ɒ/(원순)로 수렴하는 음운변화를 보이고 있다. 전자는 미국 서부와 중서부, 후자는 미국 동북부나 북부([[오대호]] 주변), 캐나다 등에서 자주 발견된다. [[독일어]]의 단모음 [[O|o]], [[영어]]의 wall의 a, [[태국어]]의 เ-าะ(단음), -อ(장음)에서 이 소리가 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