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상위 문서, top1=중앙대학교/학부)] [include(틀:중앙대학교)] [include(틀:중앙대학교의 단과대학)] [include(틀:인공지능대학원협의회)] [include(틀:ABEEK 인증대학)] [목차] == 개요 == ||<-4>
[[https://cse.cau.ac.kr/|{{{+1 {{{#ffffff '''중앙대학교 소프트웨어대학'''}}}}}} [br] ^^{{{#ffffff College of Software}}}^^]]|| ||<-4>{{{#!wiki style="margin: -5px -10px" [[중앙대학교/서울캠퍼스#310 중앙대학교 100주년기념관|[[파일:external/news.cau.ac.kr/yMpFwYA2pTS8ty1JVS25NqlJKnXAnWzP.jpg|width=100%]]]]}}} || ||<-4>{{{#FFFFFF '''의혈중앙 애국소대 '''}}}|| ||소프트웨어학부||AI학과|| 중앙대학교의 [[정보대학]]. 소프트웨어대학 역시 [[중앙대학교/학부/공과대학|공과대학]]과 [[중앙대학교/학부/창의ICT공과대학|창의ICT공과대학]]처럼 신입생 전원이 Placement Test를 본다. 일정 수준에 미달하면 기초미분적분학, 기초물리학 수강 대상이 된다. == 역사 == ||<|2> 1972||중앙대학교 이공대학 전자계산학과|| ||중앙대학교 공과대학 전자계산학과|| ||1992||중앙대학교 공과대학 컴퓨터공학과|| ||2003||중앙대학교 공과대학 컴퓨터공학부|| ||2014||중앙대학교 창의ICT공과대학 컴퓨터공학부 컴퓨터공학전공 · 소프트웨어전공|| ||2018||중앙대학교 창의ICT공과대학 소프트웨어학부|| ||2019||중앙대학교 소프트웨어대학 소프트웨어학부|| ||2021||중앙대학교 소프트웨어대학 소프트웨어학부 · AI학과|| 중앙대학교는 1972년 설립된 전자계산학과를 통해 '''국내에서 두 번째'''로 [[컴퓨터과학]] 학부 교육을 시작하였고, 1977년과 1983년 '''국내 최초'''로 석사 및 박사과정을 개설하는 등 [[컴퓨터과학]] 교육에 있어 오랜 역사를 가지고 있다. 2018년도 입학생부터 컴퓨터공학부의 컴퓨터공학전공, 소프트웨어전공, 융합공학부의 디지털이미징전공을 인공지능, 스마트IoT, 엔터프라이즈SW, 디지털이미지 4개 트랙으로 이루어진 정원 150명 규모[* 정원 외 포함시 170명 수준]의 소프트웨어학부로 개편하였다. 아울러 같은 해 '''소프트웨어 중심대학''' 사업에 선정되어 많은 지원을 받고 있다. 물론 컴퓨터공학부와 융합공학부 재학생의 반발이 있었으나, 총장단이 해당 학부의 개강총회에 참석하여 해당 개편의 필요성과 취지에 대하여 이야기하였고, 앞으로 중요한 학칙 변경 사항이 있는 경우에는 토론회 등을 통해 학우들의 의견을 수렴하겠다고 발표하면서 반발을 최소화시켰다. SW중심대학에 선정된 이후, 소프트웨어학부가 창의ICT공과대학에서 분리되어 새로운 단과대학인 소프트웨어대학이 출범하였다. 2019년 5월 29일 교내 R&D센터에서 출범식을 가졌다. 아울러 2021년부터 40명 규모의 AI학과가 신설되었고, 대학 차원에서 소프트웨어대학의 규모를 키우고자 지속적으로 노력하고 있다. 2021년 3월, [[과학기술정보통신부]]가 주관하는 [[인공지능대학원협의회|인공지능대학원 지원사업]]에 중앙대학교가 [[서울대학교]]와 함께 선정되었다. 이로써 앞으로 AI학과와 AI대학원의 시너지를 기대해 볼 수 있게 되었다. == 학부 == === 소프트웨어학부 === '''School of Computer Science and Engineering'''[* 학부의 이름이 소프트웨어학부로 변경된 후에도 영문명은 컴퓨터공학부에 해당하는 이름으로 유지되었다.] >애국소프트 === AI학과 === '''Department of Artificial Intelligence''' >미래AI == 졸업 == 2011학년도 이후 소프트웨어대학 입학자는 이수학점 외에 반드시 영어 능력과 한자 능력을 공인 어학 성적을 통해 인증해야만 졸업할 수 있다. 2014년도 이후 순수 외국인 전형 입학자는 한국어 능력을 추가적으로 인증해야 한다. * 영어 능력의 경우, [[G-TELP]] 68점(Level 2), 91점(Level 3), [[TEPS]] 355점, [[TOEFL]] 520점(PBT), 190점(CBT), 68점(IBT), [[TOEIC]] 750점 이상을 획득하거나 [[G-TELP Speaking]] Level 5, [[OPIc]] IM, [[TOEIC Speaking]] Level 6 등을 통해 통과할 수 있으며 +영어a강의를 3개 이상 수강하면 영어능력 제출이 면제가 된다. * 한자 능력의 경우, [[한국어문회]], [[대한상공회의소]], [[YBM]], 한국평생교육평가원, 대한민국한자교육연구회, 한국외국어평가원, 한자교육진흥회, 한국한자한문능력개발원, 한국정보관리협회 등 9개 단체가 시행하는 한자 공인 시험의 3급 이상을 획득하여 통과할 수 있다. * 한국어 능력의 경우, [[TOPIK]] 4급 이상을 획득하여 통과할 수 있다. 단, 정부초청 외국인 장학생과 기관 간의 별도 협정 또는 글로벌 트랙 입학자는 대상에서 제외된다. [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중앙대학교/학부, version=410, paragraph=9)] [[분류:중앙대학교]] [[분류:정보대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