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부천시의 법정동)] ||<-2> '''[[부천시|{{{#000000,#dddddd 부천시}}}]]의 [[법정동|{{{#000000,#dddddd 법정동}}}]]'''[br]'''{{{+1 중동}}}'''[br]中洞 | Jung-dong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include(틀:지도, 장소=경기도 부천 jungdong, 너비=100%, 높이=100%)]}}} || || '''광역자치단체''' || 경기도 || || '''기초자치단체''' || 부천시 || || '''행정표준코드''' || 4119010800 || || '''관할 행정동''' || 중동, 신중동 || || '''면적''' || 4.56㎢ || [목차][clearfix] == 개요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부천시청사.jpg|width=100%]]}}}||{{{#!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external/tong.visitkorea.or.kr/1840211_image2_1.jpg|width=100%]]}}}|| || '''[[부천시청|{{{#white 부천시청}}}]]''' || '''[[현대백화점 중동점|{{{#ffffff 현대백화점 중동점}}}]]'''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부천리첸시아.jpg|width=100%]]}}}||{{{#!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external/ggtour.or.kr/IMG_4585.jpg|width=100%]]}}}|| || '''[[리첸시아 중동|{{{#ffffff 리첸시아 중동}}}]]''' || '''[[경기예술고등학교|{{{#ffffff 경기예술고등학교}}}]]'''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부천 중앙공원.jpg|width=100%]]}}}||{{{#!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부천시전경.jpg|width=100%]]}}}|| || '''{{{#ffffff 중앙공원}}}''' || '''[[중동신도시|{{{#ffffff 중동신도시 전경}}}]]'''[* [[리첸시아 중동]]에서 북서쪽을 바라보고 찍은 사진으로 추정된다. 오른쪽 아래 헬기착륙장이 있는 아파트들은 두산위브더스테이트, 사진의 3사분면에 보이는 운동장과 학교들은 좌측부터 순서대로 [[계남고등학교]], [[계남중학교]], [[계남초등학교(경기)|계남초등학교]]이다. 중앙에 멀리 보이는 산은 [[인천광역시]]의 [[계양산]].] || [[경기도]] [[부천시]]의 [[법정동]]. == 지명 유래 == 넓은 농경지 한가운데 있다고 해서 붙여진 이름이다. == 역사 == 조선시대에는 부평군 석천면 중리 지역이었다. 1914년 행정개편 때 부천군 계남면 중리에 속하다가 1973년 7월 1일에 부천군이 [[부천시]]로 승격되면서 중리가 중동으로 바뀌어서 현재까지 이어져오고 있다. == 특징 == 중동(행정동)을 제외하고 모두 [[중동신도시]]에 해당된다. 참고로 중4동을 제외하고 '''[[주민센터]] 입지 선정에 문제가 있었다.''' 중동(행정동)을 제외하고 주민센터 입지가 이렇게 된 이유는, 행정동을 분동할 때 중동신도시 계획 당시 구상했던 행정동 분동 계획대로 하지 않았기 때문이다. 중동신도시 계획 당시 법정동 중동 지역에 7개의 행정동을 설치하기로 하였으나(상동, 상1동까지 포함하면 총 9개), 실제로는 중1~4동의 4개의 행정동만 설치했다. 이렇게 되어 남는 3개의 동사무소 부지(설악마을 중3동우체국 옆, 꿈마을 한진아파트 앞, 보람마을 신도초등학교 옆)는 한동안 방치되었다가, 설악마을 중3동우체국 옆의 부지는 길주공원의 일부로 확장되었고 나머지 둘은 각각 부천시 교통정보센터와 부천시립 어린이집이 들어섰다. 이에 대해서는 아래의 각 행정동 항목에 서술. == 상권 == 이 곳들과 상동의 [[세이브존]] 상동점, [[홈플러스 부천상동점]], [[뉴코아아울렛 부천점]]을 연결하면 [[길주로]]를 따라 약 2km 거리에 6곳의 쇼핑센터가 늘어서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비교적 거리가 먼 [[롯데백화점 중동점]]을 제외하면 1km에 5개. 롯데백화점 맞은편에는 [[홈플러스 중동점]]도 있었으나, 2018년 10월 14일 페점.] [[부천시청]] 이후로는 전자랜드, 하이마트 등과 같은 가전제품 전문점, 삼성, LG 서비스센터, 각종 카페 및 식당이 대로에 위치하여 유동인구가 많은 편이다. * [[롯데백화점 중동점]][* 설립 당시 LG백화점이었으나 LG그룹 계열 분리과정을 통해 GS리테일 산하의 GS스퀘어로 변경되었고 2010년 롯데에서 인수] * [[현대백화점 중동점]] * [[이마트 중동점]][* 개점 당시에는 [[월마트/대한민국|월마트코리아]]의 점포였으나 월마트가 2006년 철수한 이후 신세계가 인수해 이마트 점포로 일원화 되었다.] * [[부천농협 하나로마트]] * [[뉴코아아울렛 부천점]] == 교육 == * 초등학교 [[신도초등학교(부천)|신도초등학교]], 계남초등학교, [[부곡초등학교]], 부광초등학교, [[부명초등학교]], 부천서초등학교, [[부천부흥초등학교]], [[심원초등학교]], 옥산초등학교, 중동초등학교, 중앙초등학교, 중원초등학교, [[중흥초등학교]] * 중학교 [[계남중학교]], 부천부곡중학교, [[부명중학교]], [[부천중학교(경기)|부천중학교]], 부천부흥중학교, [[심원중학교]], [[중원중학교]], [[중흥중학교]] * 고등학교 [[경기국제통상고등학교]], [[경기예술고등학교]], [[계남고등학교]], [[부명고등학교]], [[심원고등학교]], [[원미고등학교]], [[중원고등학교]], [[중흥고등학교]], [[부천고등학교]] == 교통 == * [[수도권제1순환고속도로]] [[중동IC]]는 [[이름과 실제가 다른 것|이름과는 달리]] [[상동(부천)|상동]]에 있다. 개통 당시에는 아직 [[상동지구]]가 없었던데다 중동과 상동의 경계선이 나들목 인근을 지났기에 가까운 중동(신도시)의 이름을 딴 것. ||<-2><:> 지하철역|| ||<#005DAA> [[수도권 전철 1호선|{{{#FFFFFF 수도권 전철 1호선}}}]] || [[중동역(경인선)|중동역]] || ||<#677718> [[서울 지하철 7호선|{{{#FFFFFF 서울 지하철 7호선}}}]] || [[신중동역]]ㆍ[[부천시청역]] || ||<-2><:>운행 버스|| ||<#dc2323> [[광역버스|{{{#FFFFFF 광역버스}}}]] || [[인천 버스 1300|1300]]ㆍ[[인천 버스 1301|1301]]ㆍ[[인천 버스 1302|1302]]ㆍ[[인천 버스 1601|1601]]ㆍ[[인천 버스 9300|9300]] || ||<#FF0000> [[직행좌석버스|{{{#FFFFFF 직행좌석버스}}}]] || [[고양 버스 1001|1001]]ㆍ[[양주 버스 8906|8906]]ㆍ[[김포 버스 9008|9008]] || ||<#0075C8> [[좌석버스|{{{#FFFFFF 좌석버스}}}]] || [[인천 버스 302|302]]ㆍ[[부천 버스 700|700]] || ||<#3d5bab> [[간선버스|{{{#FFFFFF 간선버스}}}]] || [[인천 버스 37|37]]ㆍ[[인천 버스 80|80]]ㆍ[[인천 버스 87|87]]ㆍ[[서울 버스 606|606]]ㆍ[[서울 버스 661|661]]ㆍ[[서울 버스 673|673]] || ||<#33cc99> [[시내버스|{{{#FFFFFF 일반시내버스}}}]] || [[부천 버스 3|3]]ㆍ[[부천 버스 5|5]]ㆍ[[부천 버스 5-4|5-4]]ㆍ[[부천 버스 6|6]]ㆍ[[부천 버스 6-2|6-2]]ㆍ[[부천 버스 7-1|7-1]]ㆍ[[부천 버스 8|8]]ㆍ[[부천 버스 12-1|12-1]]ㆍ[[부천 버스 19|19]]ㆍ[[부천 버스 23|23]]ㆍ[[부천 버스 23-1|23-1]]ㆍ[[부천 버스 23-2|23-2]]ㆍ[[부천 버스 25|25]][br][[부천 버스 50|50]]ㆍ[[부천 버스 50-1|50-1]]ㆍ[[부천 버스 52|52]]ㆍ[[부천 버스 53|53]]ㆍ[[부천 버스 56|56]]ㆍ[[부천 버스 59|59]]ㆍ[[부천 버스 59-1|59-1]]ㆍ[[부천 버스 60-1|60-1]]ㆍ[[안산 버스 61|61]]ㆍ[[부천 버스 66|66]]ㆍ[[부천 버스 70|70]]ㆍ[[부천 버스 70-3|70-3]]ㆍ[[부천 버스 71|71]]ㆍ[[부천 버스 75|75]]ㆍ[[부천 버스 77-1|77-1]]ㆍ[[부천 버스 83|83]] || ||<#FFBC00> [[마을버스#s-2.2|{{{#FFFFFF 마을버스}}}]] || [[부천 버스 013|013-1]]ㆍ[[부천 버스 013|013-4]] || == 주변 시설 == === 공공기관 === * [[부천시청]] * [[부천원미경찰서]] * 중동지구대 * 계남지구대 * [[경기도부천교육지원청]] * [[부천세무서]] * 부천우체국 * [[부천소방서]] * 서부119안전센터 * 중동119안전센터 * [[중부지방고용노동청 부천지청]] === 의료시설 === * [[순천향대학교 부속 부천병원]] === 문화시설 === * 부천시민회관 * [[부천실내체육관]] * [[부천시립도서관]] 꿈빛도서관 * [[부천시립도서관]] 책마루도서관 * 해밀점자도서관 * [[CGV 부천]] * [[롯데시네마 부천(신중동역)]] === 주거 === ==== 아파트 ==== * (주)효성 부천중동 해링턴플레이스 - 2019년 12월 입주. * (주)건영 복사골마을 건영아파트 - 1992년 12월 입주. * [[GS건설]] 무지개마을 LG아파트 - 1993년 5월 입주. * 계룡건설산업 부천 중동 계룡리슈빌 앤 클래스 - 2006년 12월 입주. * [[금호산업]] 중동 금호 리첸시아 - 2012년 1월 입주. * 남광토건 연화마을 쌍용아파트 - 1994년 2월 입주. * [[대림산업]] 중동 대림아파트 - 2000년 8월 입주. * [[대우건설]] 부천 중동역 1차 푸르지오 - 2005년 9월 입주. * [[대우건설]] 부천 중동역 2차 푸르지오 - 2008년 8월 입주. * [[대우건설]] 중동 센트럴파크 푸르지오 - 2020년 2월 입주. * [[두산건설]] 중동6단지 두산 위브 더 스테이트 - 2006년 9월 입주. * [[두산중공업]] 중동2단지 두산 위브 더 스테이트 - 2006년 9월 입주. * [[롯데건설]] 미리내마을 롯데아파트 - 1993년 8월 입주. * [[삼성물산]] 부천 중동 래미안 - 2015년 10월 입주. * [[삼환기업]]/[[한진중공업]] 꿈마을 삼환/한진아파트 - 1994년 7월 입주. * [[한국토지주택공사]] / 고려개발 은하마을 1단지 주공아파트 - 1995년 7월 입주. * [[한국토지주택공사]] / 금강종합건설 덕유마을 4단지 주공아파트 - 1997년 5월 입주. * [[한국토지주택공사]] / [[삼환기업]] 설악마을 주공아파트 - 1993년 8월 입주. * [[한국토지주택공사]] / [[삼환기업]] 덕유마을 3단지 주공아파트 - 1996년 5월 입주. * [[한국토지주택공사]] / 신동아건설 금강마을 주공아파트 - 1994년 5월 입주. * [[한국토지주택공사]] / 신동아건설 한라마을 2단지 주공아파트 - 1995년 9월 입주. * [[한국토지주택공사]] / 효자종합건설 한라마을 3단지 주공아파트 - 1996년 4월 입주. * [[현대엔지니어링]] [[힐스테이트 중동]] - 2022년 2월 입주. ==== 오피스텔 ==== * [[대우산업개발]] 중동 대우마이빌 센트럴파크 - 2004년 6월 입주. * [[대우산업개발]] 중동 대우마이빌 스위티 - 2004년 10월 입주. * [[두산건설]] 중동 두산 위브 더 스테이트 - 2007년 8월 입주. * [[대우건설]] [[신중동역 랜드마크 푸르지오 시티]] - 2022년 11월 입주. == 관할 행정동 == === 중동 === ||<-2> '''[[부천시|{{{#000000,#dddddd 부천시}}}]]의 [[행정동|{{{#000000,#dddddd 행정동}}}]]'''[br]'''{{{+1 중동}}}'''[br]中洞 | Jung-dong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include(틀:지도, 장소=부천시 중동, 너비=100%, 높이=100%)]}}} || || '''광역자치단체''' || 경기도 || || '''기초자치단체''' || 부천시 || || '''행정표준코드''' || 3860399 || || '''관할 법정동''' || 중동, 상동 || || '''하위 행정구역''' || 36통 273반 || || '''면적''' || 1.85㎢ || || '''인구''' || 40,029명[*A 2023년 11월 주민등록인구] || || '''인구밀도''' || 21,637.30명/㎢ || || '''정치''' ||<^|1> {{{#!wiki style="margin:-0px -11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top:-5px;margin-bottom:-11px" ||<-2> '''국회의원 | 부천시 을''' || || [include(틀:더불어민주당/행정구역)] || [[설훈]] ,,(5선),, || ||<-2> '''경기도의원 | 제3선거구''' || || [include(틀:더불어민주당/행정구역)] || 이재영 ,,(초선),, || ||<-2> '''부천시의원 | 다 선거구''' || || [include(틀:국민의힘/행정구역)] || 김미자 ,,(초선),, || || [include(틀:더불어민주당/행정구역)] || 임은분 ,,(재선),, ||}}}}}}}}} || ||<|2> [[행정복지센터|{{{#ffffff '''행정복지센터'''}}}]] || 부일로 342 (중동 801) || || [[http://www.bucheon.go.kr/site/main/index124|중동 행정복지센터]] || [clearfix] === 신중동 === ||<-2> '''[[부천시|{{{#000000,#dddddd 부천시}}}]]의 [[행정동|{{{#000000,#dddddd 행정동}}}]]'''[br]'''{{{+1 신중동}}}'''[br]新中洞 | Sinjung-dong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include(틀:지도, 장소=부천시 신중동, 너비=100%, 높이=100%)]}}} || || '''광역자치단체''' || 경기도 || || '''기초자치단체''' || 부천시 || || '''행정표준코드''' || 3860584 || || '''관할 법정동''' || 도당동, 약대동, 중동 || || '''하위 행정구역''' || 107통 686반 || || '''면적''' || 4.36㎢ || || '''인구''' || 127,887명[*A] || || '''인구밀도''' || 29,331.88명/㎢ || || '''정치''' ||<^|1> {{{#!wiki style="margin:-0px -11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top:-5px;margin-bottom:-11px" ||<-2> '''국회의원 | 부천시 을''' || || [include(틀:더불어민주당/행정구역)] || [[설훈]] ,,(5선),, || ||<-2> '''경기도의원 | 제4선거구''' || || [include(틀:더불어민주당/행정구역)] || [[황진희(정치인)|황진희]] ,,(재선),, || ||<-2> '''부천시의원 | 마 선거구''' || || [include(틀:더불어민주당/행정구역)] || 양정숙 ,,(재선),, || || [include(틀:국민의힘/행정구역)] || 장성철 ,,(초선),, ||}}}}}}}}} || ||<|2> [[행정복지센터|{{{#ffffff '''행정복지센터'''}}}]] || 석천로209번길 15 (중동 1032) || || [[http://www.bucheon.go.kr/site/main/index123|신중동 행정복지센터]] || [clearfix] == 통합 전 행정동 == === 중동 === 이름과는 달리 '''[[중동신도시]]에 포함되지 않는다!'''[* 중동신도시는 중1~4동 및 상동, 상1동만 해당되며, 중동 자체는 [[중동신도시]] 개발 이전부터 형성된 구시가지이다. '[[일산신도시]]'와 '구일산'의 관계와 비슷.] [[중동역(경인선)|중동역]][* 다만 주소지는 중동이 아닌 송내동으로 되어 있다.(...) 중동역 자체가 중동, 상동, 송내동의 경계선에 있긴 하다.]과 부천시민회관이 있으며, 동 한가운데에 중동주공아파트가 있었다가 2000년대 후반에 재개발이 이루어져 '팰리스카운티'라는 이름의 고급 아파트촌으로 변신했다. 동의 관할구역이 특이한데, 상동과 중2동이 중동의 한가운데를 잘록하게 옥죄고 있는(...) 모습이다. 펠리스카운티를 중심으로 한 지역과, 넘말·장말이라 불리는 다세대 주택가 지역의 두 덩어리로 이루어진 동네이다. 심곡3동과의 경계선을 이루고 있는 도로(심중로)는 과거 [[김포선]]의 흔적이다. 주민센터는 남쪽 끄트머리인 중동역 인근(팰리스카운티 맞은편)에 있어서, 북쪽(넘말 일대) 주민들에게는 좀 불편하다. === 중1동 === 중동신도시의 중심부에 해당되며, 부천시청과 중앙공원이 있다. [[서울 지하철 7호선]] [[부천시청역]]과 [[신중동역]]이 있다. 중동신도시의 중심 상권을 형성하고 있다. 중앙공원을 사이에 두고 서쪽에는 포도마을과 보람마을, 남쪽에는 무지개마을, 동쪽에는 미리내마을이 있다. [[안중근]] 의사를 기념하기 위해 조성된 [[안중근공원]]이 있다. 원래 '중동공원'이었으나 2010년 안중근 의사 동상 및 유묵, 어록 등의 비석을 세우고 조경도 리모델링하여 공원 이름도 개칭한 것. 주민센터는 동쪽 끄트머리에, 그것도 '''중2동''' 관할인 '''그린타운 블럭 내'''에 있다! 미리내마을의 경우 바로 앞이라 편리하긴 하지만, 포도ㆍ보람마을 주민들에게는 좀 불편한 입지.[* 원래 중동신도시 계획 당시에는 미리내마을과 그린타운을 하나의 행정동으로 묶을 계획이었기 때문에, 현 위치에 동사무소 부지가 계획된 것이다. 포도마을, 보람마을, 무지개마을 역시 하나의 행정동으로 묶기로 하고, 신도초등학교 옆에 동사무소 부지가 계획되었다. 신도초등학교 옆 동사무소 부지는 현재 부천시립 어린이집이 들어섰다.] 지적도를 보면 그린타운 블럭 중 중1동 주민센터 부지만 뚝 떼어서 중2동이 아닌 중1동에 편입시켜 놓았다(...).[* 그리고 바로 옆에는 계남지구대와 '''중2동''' 우체국이 있다(...).] === 중2동 === 중동신도시의 시범단지였던 그린타운을 비롯해 꿈마을, 연화마을, 복사골마을이 있다. 신흥로를 따라 두산 위브 [[주상복합]] [[아파트]]가 늘어서 있으며, 부천에서 가장 높은 건물(66층)인 금호 [[리첸시아 중동]] 역시 이 곳에 있다. 주민센터는 남서쪽 끄트머리인 복사골마을 단독주택단지 내에 있어, 북동쪽 끄트머리인 꿈마을 주민들에게는 상당히 멀어서 불편하다. 꿈마을은 오히려 '''중1, 중3''' 주민지원센터가 '''훨씬''' 더 가깝다(...).[* 꿈마을 일대에서 최단거리로 중2주민지원센터로 가려면 '''중1동 미리내마을''' 일대를 통과하는 것이 가장 빠르다. 게다가 '''가는 도중에 중1주민지원센터가 등장'''한다(...).] 또한 그린타운의 경우 '''단지 블럭 내에''' 위에서도 언급한 중1주민지원센터가 있음에도, 중1동이 아닌 중2동에 편제되어 있다. === 중3동 === 부천교육지원청, 부천세무서, 꿈빛도서관이 있다. 아파트 단지로는 덕유마을, 설악마을, 중흥마을, 대림아파트, 삼성래미안아파트[* 대림아파트와 삼성래미안아파트는 중동신도시 구역은 아니다. 또한 삼성래미안아파트 일대는 원래 약대동 관할이었다가, 2015년 10월 중3동에 편입되었다.]가 있다. 신흥로를 기준으로 서쪽은 아파트단지, 동쪽은 단독주택단지다. 원래 초등학교는 중흥초등학교 1개만 있었으나, 심원고등학교 앞 빈 공터에 2003년 미니 초등학교인 옥산초등학교(계획 당시 명칭은 샛별초등학교)가 들어섰다. [[경인고속도로]] [[부천IC]]나 [[길주로]] [[서울특별시]] 방면에서 중동신도시로 들어오는 관문 역할을 한다. 주민지원센터가 남동쪽 끄트머리(단독주택단지)에 위치해 있어, 북서쪽 끄트머리인 덕유마을 주민들이 멀어서 불편하다며 주민지원센터를 중심부인 길주공원 앞(중3동우체국 옆)으로 이전해 달라고 [[http://www.tving.com/vod/player/E000768491|민원을 제기하고 있다.]][* 중3동우체국 옆은 현재 길주공원과 이이진 녹지로 조성되어 있는데, 원래 공공청사(동사무소+파출소) 부지였기 때문에 예산만 확보되면 이전은 어렵지 않을 것으로 보인다.] 덕유마을은 오히려 '''신중동'''행정복지센터가 '''훨씬''' 더 가깝다(...).[* 중3주민지원센터는 [[신중동역]]에 있지만 덕유마을은 [[부천시청역]] 역세권이다. 여담으로 현재의 중4동 면적에 덕유마을과 중흥고의 면적을 합치면 [[바티칸|바티칸 시국]]의 면적과 같아진다.] === 중4동 === 부천체육관이 있다. 한라마을, 금강마을, 은하마을이 있다. 주민센터는 세 마을의 중심인 금강마을에 있어, 중동의 여러 행정동들 중 유일하게 개념차고 편리한 입지선정을 보여주고 있다. [[상동지구]]가 아직 개발되지 않았을 때는 현 상2동의 일부, 상3동의 거의 전부가 중동(중4동) 관할이었다. [[인구밀도]]는 2019년 1월 기준 '''64,726명/km²'''으로 '''전국 모든 유형의 [[행정구역]] 중에서 가장 높다.''' == 기타 == 출신인물로는 박건하, 정훈기가 있다. 구글 지도에서 부천시에 있는 중동을 클릭하면 [[중동|다른 중동]]으로 이동된다. [각주] [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원미구, version=286)] [[분류:부천시의 법정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