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세계의 군사경찰)] [include(틀:중국 인민해방군)] ||<-2> {{{#ffff00 {{{+1 '''중국 인민무장경찰부대'''}}}[br]中国人民武装警察部队[br]People's Armed Police Force}}} || ||<-2> [[파일:중국 인민무장경찰부대기.svg|width=300]] || ||<-2> {{{#ffff00 '''중국 인민해방군 인민무장경찰부대기''' }}} || || {{{#ffffff '''창설 연도''' }}} ||[[1982년]] [[6월 19일]] || || {{{#ffffff '''국가''' }}} ||[[파일:중국 국기.svg|width=30]][[중국]] || || {{{#ffffff '''명령체계''' }}} ||[[중국공산당 중앙군사위원회]] || || {{{#ffffff '''주 임무''' }}} ||국가의 정치안전과 사회안정을 수호 || || {{{#ffffff '''내부조직''' }}} ||무장경찰내위부대, 무장경찰기동부대, [[중국 해경|무장경찰해경부대]] || || {{{#ffffff '''군종''' }}} ||[[무장경찰]], [[내무군]] || || {{{#ffffff '''전력''' }}} ||1,650,000명 / 135척(해경) || || {{{#ffffff '''총 본부''' }}} ||[[베이징시]] [[하이뎬구]] 시싼환베이루 1[br]北京市海淀区西三环北路1号[* 인근에 [[쑤저우차오역]]이 있고, 건너편에는 [[베이징이공대학]] 중관춘교구가 있다.] || || {{{#ffffff '''색상''' }}} ||[[올리브색]] || || {{{#ffffff '''행진곡''' }}} ||<人民武警进行曲> | 인민무경진행곡[br][youtube(Up_gCF7OC3I, width=300, height=100)] || || {{{#ffffff '''진압''' }}} ||[[신장 위구르 자치구]][br]┗[[2009년 우루무치 유혈사태| 2009년 우루무치 소요사태]][br][[티베트 자치구]][br]┗[[티베트 독립운동|2008년 티베트 소요사태]] || || {{{#ffffff '''모표''' }}} || [[파일:중국 인민무장경찰부대 모표.svg|width=220]] || ||<-2> {{{#ffff00 '''지휘''' }}} || || {{{#ffffff '''무장경찰사령원''' }}} || [[파일:중국무경상장 견장 눕힌버전.png|width=60]][br]상장 [[왕춘닝]](王春宁) || || {{{#ffffff '''무장경찰부사령원''' }}} || [[파일:중국무경중장 견장 눕힌버전.png|width=60]][br]중장 양광웨(杨光跃)[br][[파일:중국무경중장 견장 눕힌버전.png|width=60]][br]중장 친톈(秦天)[br][[파일:중국무경중장 견장 눕힌버전.png|width=60]][br]중장 위젠화(于建华) || || {{{#ffffff '''정치위원''' }}} || [[파일:중국무경상장 견장 눕힌버전.png|width=60]][br]상장 장훙빙(张红兵) || ||<-2> {{{#ffff00 '''외부링크''' }}} || ||<-2> [[https://web.archive.org/web/20161024002723/http://wj.81.cn/|무장경찰인터넷]]([[중국어|ZH]]) | [[https://web.archive.org/web/20161130022902/http://www.81.cn/wj/index.htm|무장경찰군망]]([[중국어|ZH]]) || [목차] [clearfix] == 개요 == || [[파일:f44d307d91411a235ced0c.png|width=400px]] || [[파일:u_1906582633_1645416884&fm_26&gp_0.jpg|width=400px]] || || [[양회]] 개최 시기 [[테러]]를 대비한 [[검문]] [[https://m.khan.co.kr/world/china/article/202102231607001|업무]] || [[제설작전]]--어디서 본 것 같은데...-- || [[중국공산당 중앙군사위원회]] 휘하의 [[중국 인민해방군]]의 [[군종]] 중 하나이다. 통상적으로 줄여서 무경이라고 부른다. 명칭상 [[경찰]]이라고는 하지만 경찰보다는 [[군대]]에 가깝고 실제로도 인민해방군에 속해있다. 정확히는 [[헌병군]]+[[내무군]]으로 보면 된다. 군사조직으로 분류되기는 하지만 육해공군과 따로 떨어진 독립조직이다. 다른 나라의 [[군사경찰]]처럼 [[총살형|군 사형집행]][* [[현역 군인]]이 [[사형]] 판결을 받은 경우 [[군인]]에 대한 사형 집행]도 맡는 등 유사시 [[군사력]]으로 활동할 수 있다. 다른 나라의 경찰 [[조직]]과는 확실히 다르며 타 [[국가]]의 경찰에 해당하는 중국의 조직은 [[중화인민공화국 인민경찰|인민경찰]]이다. 무경의 병력수는 160만이며, 이는 [[중국]]에 이어 2, 3번째로 병력수가 많은 [[인도군]], [[미군]] 보다 많은 병력이다. 즉 중국은 인민해방군을 제외한 무경 숫자만으로도 병력수가 [[세계]]에서 가장 많다. 중국의 인민무장경찰부대는 [[1984년]]에 [[중화인민공화국 인민경찰]]에서 무장 경찰을 분리하면서 창설되었다. 치안 유지라는 점에서 [[소련]] 내무군의 영향을 받았지만 조직적인 기원은 다르다. [[중일전쟁]] 시기 [[마오쩌둥]]은 홍군을 중앙군-지방군-민병으로 나누는 3결합 군사제도를 고안하였다. 이 시절의 조직이 인민해방군-무장경찰부대-민병 체계로 변화했으며 이 때 14개의 육군 [[사단]]이 무장경찰부대로 편입되어 현재 무경의 형태를 구성하게 된다. 이를 토대로 볼 때 무장경찰부대는 내부 안정을 목적으로 하는 [[러시아 내무군]], [[프랑스 국가 헌병대]]의 특성과 지방에 주둔하는 향토 방위부대의 특성을 동시에 갖고있는 것이다. 이러한 [[성격]]과 무경 [[부대]]는 [[지역]]을 기준으로 하기 때문에 부대 [[단위]] 명칭도 일반적인 [[정규군]]과 다르다. [[해안경비대]]를 포함하는 것도 영향을 받아서 [[중국 해경]]도 무경 산하에 존재한다. 최근 조직 개편으로 변방부대들은 각 무장경찰부대 관구에 흡수되어 더 이상 이 명칭은 사용하지 않는다. 본래는 [[중국공산당 중앙군사위원회]]와 인민해방군이 아닌 [[중국 공산당]] 정법위원회와 [[중화인민공화국 공안부]]의 통제를 받는 [[준군사조직]]이었으나 2018.1.1 부로 인민해방군 지휘체계의 대규모 개편으로 중군위 휘하로 들어왔다. [[2018년]] [[1월 11일]] [[시진핑]] 주석 임석 하에 군기수여식이 열려 정식으로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4&oid=001&aid=0009806255|정규군]]이 되었다. [[대만]]이 독립선언을 할 경우 인민해방군 본대가 아니라 이들이 대만 점령의 선봉이 될 가능성이 높다고 한다. 독립선언을 "자국 내에 있는 불법 무장세력의 [[반란]]"으로 간주하여 경찰부대를 투입함으로서 법적으로 [[미국]]의 개입을 차단한다는 의도이다. 원래 일종의 [[예비군]]이기 때문에 [[전쟁]] 투입에 별 문제도 없다. 중국은 법으로 "중국의 무장력은 중국 인민해방군 [[현역]] 부대와 [[예비역]] 부대, 중국 인민무장경찰부대, 그리고 [[민병대|민병]][* 20세가 넘은 남녀를 전시에 동원하는 일종의 예비군 조직이다. 1주일 병영체험을 수료하는 방식으로 운용된다.] 이 세 부분으로 구성되어 있다." 라고 규정하고 있다. 번외로, 다음은 중국 [[인민망]] 기사의 일부이다. ||...무장경찰부대 깃발의 상반부에는 팔일군기 문양이 새겨져 있다. 이는 무장경찰부대가 인민군대의 요람에서 탄생했고, 홍색 유전자를 전승함을 의미하며, 무장경찰부대는 당이 영도하는 인민무장 역량의 구성부분임을 나타낸다. 하반부에는 다크 올리브 그린색의 선이 세 줄 있다. 이는 무장경찰부대는 국가정치안보와 사회안전, 해상권리 수호 법 집행, 작전방어의 3대 주요 임무를 맡고 있음을 나타낸다.|| == 조직 == [[중국 공산당]]이 대륙을 장악한 이후, [[마오쩌둥]]의 지시에 따라 인민해방군의 작전을 대내적, 대외적으로 구분하여 새롭게 군을 개편하면서 중앙의 인민해방군과 지방군, 민병으로 나누어진 '3결합' 체제로 구분하였다. 이후 [[문화대혁명]] 시기를 거치며 공안군은 사라졌으나, [[1982년]]에 중국 인민무장경찰부대가 창설된다. 이후 무경은 황금부대(자원개발, 광산업 담당), 수전부대(수자원과 수력발전소 담당), 교통부대, 건설부대, 소방대를 흡수한다. 중국의 소방대는 한 때 이 무장경찰 소속이었다. 현재는 [[국가종합성 소방구원대오]] 소속. [[대테러부대]](反恐分队)도 대부분은 무경 소속으로 '내위부대'로 불린다.[* 일부 지역에 한해 경찰 소속 대테러부대가 있는 경우도 있다.] 특히 [[베이징]]의 [[설표돌격대]]는 세계적 수준의 대테러부대로 자랑하고 있다. 대테러부대의 역할은 테러 사건이나 무장강도, 인질 난동 등 기존 경찰이 담당하기 힘든 중범죄 진압이 목적이다. 또한 [[국경]]이나 [[항구]]에도 무경이 배치되는데[* 항구 등 해안에는 무경 산하 [[해안경비대]]가 배치된다.], 중국과 비우호적인 국가[* 예를 들면 [[베트남]]은 [[1991년]] 국교 정상화 이전까지 인민해방군이 국경에 배치되었었고 [[1991년]] [[소련 붕괴]] 이전까지 중소 국경도 마찬가지였으나 둘 다 현재는 무경이 들어간다. [[소련]]/[[러시아]]는 과거부터 지금까지 [[국경수비대]]를 배치해오고 있다. 현재 [[북한]]과의 사이가 험악해지면서 인민해방군 부대도 [[북중국경]]에 배치되었으며 [[기갑]] 전력까지 나오는 등 분위기가 심상치 않다.]의 [[국경선]]인 경우는 인민해방군 부대가 배치되기도 한다. 대표적인 예로 [[티베트]]나 [[위구르]] 지역 등에서는 무경 말고도 인민해방군 소속 부대들이 배치되어 있다. [[러시아]], [[파키스탄]], [[베트남]]([[관계]]가 개선된 이후), 북한과의 국경선 부대도 대부분 무경이 관할하는데, 이는 세 국가가 우호국이기 때문이다. 인민해방군이 감축되면서 현역 부대가 무경으로 편입되는 경우도 있는데, 이는 [[탈북자]]가 급증하면서 기존의 소규모 조직들로는 이를 감당하기 힘들어 감시부대를 더 늘릴 필요가 있었기 때문이다. 북한 역시 중러 양국을 자극하지 않으려 [[조선인민군 준군사조직|조선인민내무군]]을 배치했으나 최근 중국과의 사이가 험악해지면서 중국 국경에 [[조선인민군]]을 배치하고 있다. 그리고 중국도 기갑 및 [[포병]]병력이 포함된 육군 및 [[인민해방군 해군]]을 [[압록강]] 및 [[두만강]], [[황해]] 등의 변경에 배치시키며 맞불을 놓았다. 러시아도 [[FSB]] 국경수비대를 아직도 [[북러국경]]에 배치 중이지만 이에 긴장했는지 육군을 증원한 모습을 보인다. 또한 무경기동부대라는 [[경보병]] 사단도 가지고 있다. 이들은 [[1999년]]의 인민해방군 감축 당시 일반 육군 [[보병사단]]들이 편입된 경우가 대다수이며, 국내의 긴급한 [[계엄령|비상사태]] 발발시 바로 투입되는 부대다. 이들은 [[중화기]]가 대부분 없고 소수의 [[장갑차]]와 일반 차량으로 움직인다. [[견인포]]나 중포는 없고 [[박격포]] 정도만 보유하고 있다. 이들은 항상 긴장을 유지하고 국내의 [[반정부]] 시위나 [[상황]]에 대처해오고 있기 때문에 인민해방군보다 더 엄격한 [[군기]]를 유지하고 있는 편이다. 무장경찰 변방부대는 [[1960년대]] 초 북-중 국경을 확정하기 전 [[백두산]]을 둘러싸고 양측이 국경 분쟁을 벌일 당시 [[두만강]]과 백두산 일대에서 북한군과 총격전도 벌이는 등 교전이 작게나마 있어 엄연한 국지전을 겪기도 했다. == 역할 및 업무 == * 중국 인민해방군에 복무중인 [[현역 군인]] 사형수에 대한 [[총살형]] 집행 - 군인에 대한 사형 집행은 이들 중 연대급 군비규경부대에서 차출된 군인이 맡게 되며, [[민간인]]은 [[약물주사형]][* 약물 주사형으로 사형시, 법관들이 [[최고인민법원]]에 올라가서 해당 약물을 수령해 온다.]으로만 사형을 받기 때문에 총살당할 일은 없으며[* 과거에는 [[민간인]]도 총살형으로 사형했으나 잔혹하다는 이유와 군인도 아닌 자들이 [[명예]]가 어디 있냐면서 반발이 심해서 바뀐거라고 한다.], 인민해방군 소속의 현역 군인이 사형 판결을 받은 경우, [[부사관|사]][[병(군인)|병]]부터 [[장교]]까지 현역 군인을 사형할 때에는 최대한 군인에 대한 예우를 갖춘채로 총살형 방식으로 사형을 집행을 하도록 하고 있다. * 폭력시위, [[폭동]], [[반란]] 등 소요사태 진압 * 대테러 작전 및 무장강도, 인질난동 등 중범죄 제압 * 주요 지도자 경호 * 국가 주요 시설 경비 * 인민해방군 내부 사건 수사. * 인민해방군 내부 부조리 단속 * 인민해방군 내부 치안 담당 * 모내기, 재해복구 등의 대민지원 == [[조직]] 개편 == 무경은 명목상은 '''경찰'''이기 때문에 창설 이후 장기간 [[중국공산당 중앙군사위원회|공산당 중앙군사위]]가 아니라 사법을 담당하는 [[중국공산당|공산당]] 정법위원회 소속으로 되어 있고 군사작전에 대해서만 중앙군사위의 지도를 받도록 되어 있'''었'''다. 이를 '이중영도' 체제라고 칭했다.[[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4&oid=025&aid=0002249072|#]] 그러나 [[보시라이]] 사건 처리 과정에서 보시라이와 친했던 정법위 서기 [[저우융캉]]이 무경 부대를 움직이려 하는 등 불온한 움직임을 보이자 [[시진핑]] 주석은 저우융캉과 권력투쟁을 벌여 제18차 당대회에서 저우융캉을 실각시키고, 무경의 지휘권을 온전히 중앙군사위 밑으로 가져오는 개편을 단행할 예정이다.[[http://www.yonhapnews.co.kr/bulletin/2014/01/06/0200000000AKR20140106026200073.HTML?from=search|#]] 내위부대는 중앙군사위 직속으로, 그 외 설표돌격대 등의 대테러부대, 황금부대[* 자원개발, 광산을 담당하는 부서이다.], 교통부대, 소방부대 등 일반 경찰이나 [[소방]] 업무가 주축인 부대는 [[중화인민공화국 공안부]]로 넘겨 경찰조직으로 일원화하겠다는 것. 그렇게 되면 중군위 직속 부대는 명칭에서도 '경찰'을 빼고 인민해방군 무장경비부대 또는 인민해방군 공안부대 즉 인민해방군 군사경찰대로 변경될 것이라 하였다. [[2018년]] [[1월 1일]] 중국군 지휘구조 개편으로 중앙군사위 휘하로 관할이 일원화되는 것이 확정되었다. 또, [[천안문 광장]] 국기게양대 부대도 조직개편 일환으로 인민해방군에 넘긴다.[[http://m.news.naver.com/newspaper/read.nhn?date=20180101&aid=0002841428&oid=032|#]] 1월 11일에는 인민해방군에 포함되는 것을 확정하는 군기수여식이 열렸다. [[사진]]의 현판을 보면 알겠지만 인민무장경찰부대라는 명칭은 유지되었다. 아무래도 원래 치안유지 목적으로 창설한 부대이지 정규군은 아닌 만큼 굳이 변경할 필요는 느끼지 못한 것으로 보인다.[[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4&oid=001&aid=0009806255|#]] 인민해방군과 같은 중군위 예하로 넘어왔으나 기능은 정규군이 아니라 일종의 [[예비군]] + [[국가 헌병대]]이기 때문에 사실상 [[내무군]]처럼 유지 중이다. 폭동/테러진압 [[훈련]] 등을 각 성 공안청의 지휘 하에 경찰과 합동으로 매년 실시하고 있다. 조금 무겁게 무장하고, 유사시 예비전력으로 활용가능한 경찰 정도로 보면 되며 딱 유럽식 헌병군에 부합한다. 애초 무장경찰부대의 창설 목적이 [[중화인민공화국 인민경찰|인민경찰]]이 담당하기 힘든 [[테러]] 공격, 폭동이나 반란 등 소요사태, 대규모 무장강도 등에 대비하고자 한 것이었기 때문이다. 또한 무경 산하이던 소방대는 [[2018년]] [[11월]] [[중국소방구원대]]가 창설되며 민간 영역에 이관하는 형태로 분리되었다. == 역대 사령원 == ||[[리강]]||李刚|| - ||(1983年1月-1984年10月)|| ||[[리렌슈]]||李连秀|| 중장 ||(1984年10月-1990年1月)|| ||저우유슈||周玉书|| 중장 ||(1990年1月-1992年12月)|| ||[[바중탄]]||巴忠倓|| 중장 ||(1992年12月-1996年2月)|| ||[[양궈핑]]||杨国屏|| 상장 ||(1996年2月-1999年12月)|| ||[[우솽잔]]||吴双战|| 상장 ||(1999年12月-2009年12月)|| ||[[왕젠핑]]||王建平|| 상장 ||(2009年12月-2014年12月)|| ||[[왕닝]]||王宁|| 상장 ||(2014年12月-2020年12月)|| ||[[왕춘닝]]||王春宁|| 상장 ||(2020年12月-)|| == [[홍콩 범죄인 인도법 반대 시위]] 진압 의혹 == [[2019년]]에 [[홍콩 범죄인 인도법 반대 시위]]가 발생하자, 시위대 측은 중국에 충성하는 [[홍콩 경찰]]의 [[경찰청장]] [[스티븐 로]]가 중국 인민무장경찰부대로 의심되는 [[병력]]을 지원받아 대대적인 시위대 탄압에 나서고 있다고 주장하고 있다. 시위대측은 3만 명 정도 중국 인민무장경찰부대 병력이 [[중국 본토]] [[광둥성]]에서 [[홍콩]]으로 몰래 입국, 2만 명 정도가 연수를 핑계로 경찰훈련학교에서 훈련받아 홍콩 경찰로 가짜 [[신분]]을 부여받아 세탁하고, 나머지는 [[시위대]]로 위장시켜 폭력시위나 말도 안 되는 극단적 행동을 하게 하거나 [[백색테러]]에 동원했다고 주장한다. 하지만, 현재 중국 당국은 이를 공식적으로 부인하고 있다.[[https://www.straitstimes.com/asia/east-asia/more-hardline-measures-to-come-from-hk-govt-not-beijing-deployment-of-chinese-forces|#]] [[2020년]] 3월 18일에, [[2019년 홍콩 민주화 운동]] 시위가 격화되었던 2019년 당시에 중국 공산당 중앙정부의 중국 인민무장경찰부대 인력들이 홍콩에 [[파견]]을 가서 시위 진압 업무에 투입되었다는 주장이 제기되었다. [[일국양제]] 위반 논란이 벌어지기도 했다. 다음은 해당 내용과 관련한 기사이다.[[https://news.naver.com/main/read.nhn?mode=LS2D&mid=shm&sid1=104&sid2=231&oid=003&aid=0009764866|기사]] 물론 이 문제는 [[코로나19]] 판데믹과 [[홍콩 국가보안법]]에 가려서 묻혀 별 이슈화가 안 되었고 국가보안법 이후 홍콩에서는 '''무경이 파견나올 정도의 대규모 시위가 불가능 해졌으므로''' 앞으로 이런 논란들은 사라질 것으로 보인다. == 편제 == [[2017년]] 이후에 개편을 했는데 인민해방군의 군구급에 속하는 것이 아니라 [[중국/행정구역|중국의 행정구역]]단위로 4개의 직할시급과 22개의 성급([[타이완성]]제외), 5개의 [[자치구]] + 신장생산건설병단(新疆生产建设兵团)로 내위부대(内卫部队)가 32개의 총대(본대)가 있으며, 총대 예하에는 집근부대(당직부대)와 기동부대, 그 외에 중국군 부대에 필수적으로 들어가는 참모부, 정치공작부, 기율검사위원회가 있다. 기동부대(机动部队)는 북쪽을 담당하는 제1 기동부대, 남쪽을 담당하는 제2 기동부대가 있고 1개의 해경부대(海警部队)가 존재한다. 총대 휘하로 O지대(支队)로 예속되어 있다.(해경의 경우는 좀 다르다.) === 본부 === * 참모부 * 전투국 * 훈련국 * 정보국 * 기획편집국 * 작업국 직속 * 장비국 * 정치공작부 * 조직국 * 간부국 * 군민인사국 * 홍보국 * 후근부 * 재무국 * 보건국 * 교통국 * 군사시설건설국 * 기율검사위원회 * 장비부 === 무장경찰내위부대 === ▶고정목표 근무와 도시무장 순찰임무 ▶국가 중요목표 안전 보장 ▶각종 돌발사태 대처 및 테러와의 싸움, 국가안보와 사회안정 유지 ▶국가경제건설 지원과 재난구조 임무 수행 ▶전시 후방방위작전 * 중국인민무장경찰 [[베이징]] 총대 ( 정군급 ) * 집근제1지대([[천안문 광장]] 담당) * 집근제2지대 * 집근제3지대 * 집근제4지대 * 집근제5지대 * 집근제6지대 * 집근제7지대 * 집근제8지대 * 집근제9지대 * 집근제10지대 * 집근제11지대 * 집근제12지대 * 집근제13지대 * 집근제14지대 * 기동제1지대 * 기동제2지대 * 기동제3지대 * 기동제4지대 * 중국인민무장경찰 [[상하이]] 총대 * 중국인민무장경찰 [[톈진]] 총대 * 집근제1지대 * 집근제2지대 * 집근제3지대 * 집근제4지대 * 기동지대 * 훈련기지 * 중국인민무장경찰 [[충칭시]] 총대 * 중국인민무장경찰 [[허베이성]] 총대 * 중국인민무장찰 [[산서성]] 총대 * 중국인민무장경찰 [[길림성]] 총대 * 중국인민무장경찰 [[랴오닝성]] 총대 * 중국인민무장경찰 [[헤이룽장성]] 총대 * 중국인민무장경찰 [[섬서성]] 총대 * 중국인민무장경찰 [[간쑤성]] 총대 * 중국인민무장경찰 [[칭하이성]] 총대 * 중국인민무장경찰 [[산둥성]] 총대 * 중국인민무장경찰 [[푸젠성]] 총대 * 중국인민무장경찰 [[저장성]] 총대 * 중국인민무장경찰 [[허난성]] 총대 * 중국인민무장경찰 [[후베이성]] 총대 * 중국인민무장경찰 [[후난성]] 총대 * 중국인민무장경찰 [[장시성]] 총대 * 중국인민무장경찰 [[장쑤성]] 총대 * 중국인민무장경찰 [[안후이성]] 총대 * 중국인민무장경찰 [[광둥성]] 총대 * 중국인민무장경찰 [[하이난성]] 총대 * 중국인민무장경찰 [[쓰촨성]] 총대 * 중국인민무장경찰 [[구이저우성]] 총대 * 중국인민무장경찰 [[윈난성]] 총대 * 중국인민무장경찰 [[내몽골자치구]] 총대 * 중국인민무장경찰 [[신장 위구르 자치구]] 총대 (정군급) * 남강지휘부(南疆指挥部)(정사급) * 집근제1지대 * 집근제2지대 * 집근제3지대 * 집근제4지대 * 집근제5지대 * 집근제6지대 * 집근제7지대 * 산악대테러특수지대(샨잉돌격대) * 기동지대 * [[우루무치]] 지대 * [[창지]] 지대 * [[투루판]] 지대 * [[하미]] 지대 * [[아리]] 지대 * [[타청]] 지대 * [[알타이]] 지대 * [[보르타라]] 지대 * [[카라마이]] 지대 * [[바이잉골렝]] 지대 * [[악수]] 지대 * [[키질수 키르기스 자치주|키질수]] 지대 * [[카슈가르]] 지대 * [[호탄]] 지대 * 훈련 기지 * 중국인민무장경찰 [[닝샤후이족자치구]] 총대 * 중국인민무장경찰 [[광시좡족자치구]] 총대 * 중국인민무장경찰 [[티베트 자치구]] 총대 * 중국인민무장경찰 신장생산건설단 === 무장경찰기동부대 === 폭동·난동·무장폭동·대규모 무기투사 사건 등 대규모 돌발사태를 수습하고, 전시(戰時)에 해방군을 도와 방위작전을 수행한다. * 무경 제1기동단: [[스자좡시]] 정딩현 베이자오 난강촌. 구 무경 63, 81,114, 117, 120, 128, 187사단 * 무경 제1기동단 기동 제1지대: 랴오닝성 주둔 * 무경 제1기동단 기동 제2지대: 랴오닝성 주둔 * 무경 제1기동단 기동 제3지대: 네이멍구 자치구 주둔 * 무경 제1기동단 기동 제4지대: 천진시 주둔 * 무경 제1기동단 기동 제5지대: 허베이성 주둔 * 무경 제1기동단 기동 제6지대: 허베이성 [[바오딩시]] 주둔 * 무경 제1기동단 기동 제7지대: 산시성([[산서성]]) 주둔 * 무경 제1기동단 기동 제8지대: 허난성 공의시 주둔 * 무경 제1기동단 기동 제9지대: 간쑤성 주둔 * 무경 제1기동단 특전 제1지대(엽매돌격대[* 1982년 7월 22일 창설된 공안부 경찰 제722특수부대를 모체로 하는 무장경찰 최초의 특수부대.])): 베이징 주둔 * 무경 제1기동단 특전 제2지대(해외경호특공대)전지대): 텐진시 주둔 * 무경 제1기동단 특전 제3지대: 허베이성 주둔 * 무경 제1기동단 교통 제1지대: 베이징 주둔 * 무경 제1기동단 교통 제2지대: 산시성([[섬서성]]) 주둔 * 무경 제1기동단 공병방화지대: 랴오닝성 주둔 * 무경 제1기동단 헬기지대 : 1대대 ([[산서성]] 태곡현 주둔), 2대대 ( 닝샤 후이족 자치구 [[인촨시]] 금봉구 양가장자 주둔), 3대대(신장 위구르 자치구[[우루무치시]]수마도랑구 수마구촌) * 무경 제2기동단: [[푸저우시]] 창러구 잉첸가 동터우 198호. 구 무경 2, 38, 41, 93, 126, 181사단 * 무경 제2기동단 기동 제1지대: 장쑤성 [[우시시]] 주둔 * 무경 제2기동단 기동 제2지대: 장쑤성 우시시 주둔 * 무경 제2기동단 기동 제3지대: 장쑤성 이싱시 주둔 * 무경 제2기동단 기동 제4지대: 푸젠성 [[푸톈시]] 주둔 * 무경 제2기동단 기동 제5지대: 푸젠성 푸톈시 주둔 * 무경 제2기동단 기동 제6지대: 광둥성 [[광저우시]] 주둔 * 무경 제2기동단 기동 제7지대: 광둥성 [[포산시]] 주둔 * 무경 제2기동단 기동 제8지대: 윈난성 훙허하니 주둔이족자치주몽자시 * 무경 제2기동단 기동 제9지대: 쓰촨성 성남충시 주둔 * [[설표돌격대|무경 제2기동단 특전 제1지대(설표돌격대)]]: 광둥성 광저우시 * 무경 제2기동단 특전 제2지대(부대명칭 불명): 저장성 후저우 주둔 * 무경 제2기동단 교통 제1지대: 안후이성 [[허페이시]] 주둔 * 무경 제2기동단 교통 제2지대: 쓰촨성 면양시 주둔 * 무경 제2기동단 교통 제3지대: 티베트 자치구 린즈시 보밀현 * 무경 제2기동단 공병방화지대: 푸젠성 푸저우시 장악구 * 무경 제2기동단 헬기지대:1대대(쓰촨성 더양)시중장현 타이핑향), 2대대(호남성악양현상음현장수진), 3대대(산둥성 [[지난시]] 핑인현 효직진) * 무경 신장 위구르 자치구 특수작전부대 (산매돌격대) === [[중국 해경|무장경찰해경부대]]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중국 해경)] === 교육 및 연구기관 === * 중국 인민무장경찰부대 지휘학원 * 중국 인민무장경찰부대 공정대학 * 중국 인민무장경찰부대 경관학원 * 중국 인민무장경찰부대 특종경찰학원 * 중국 인민무장경찰부대 후근학원 * 중국 인민무장경찰부대 사관학원 * 중국 인민무장경찰부대 해경학원 * 중국 인민무장경찰부대 연구원 * 중국 인민무장경찰부대 광저우 경견기지 * 중국 인민무장경찰부대 후허하오터 경견기지 == [[2017년]] 이전 [[편제]]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중국 인민해방군/개편 이전 편제)] == 둘러보기 == [include(틀:중국 관련 문서)] == 관련 [[문서]] == * [[내무군]] * [[국가 헌병대]] * [[군사경찰]] [[분류:군사경찰]][[분류:중국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