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제8대 울산시의원/지역구)] ||<-4> '''[[울산광역시|[[파일:울산광역시 휘장_White.svg|height=20]]]] {{{#fff [[울산광역시|{{{#fff 울산광역시}}}]]의 [[울산광역시의회|{{{#fff 의회}}}]][[선거구|{{{#fff 선거구}}}]]}}}'''[br]{{{#!wiki style="margin: -5px -10px; display: inline-table"' || {{{#!wiki style="margin: -5px 0" [[울산광역시의회|[[파일:지방의회 휘장.svg|height=70]]]]}}}||{{{#!wiki style="margin: -5px 0" '''{{{+2 {{{#fff 중구 제3선거구}}}}}}'''[br]{{{-1 {{{#fff 우정동, 태화동, 다운동[br]中區 第三選擧區[br]Jung District 3}}}}}}}}} ||}}} || ||<-4>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중구_제3선거구(울산)8.png|width=100%]]}}} || ||<-2> '''선거인 수''' ||<-2> 62,602명 ([[제8회 전국동시지방선거|2022년]]) || ||<-2> '''상위 행정구역''' ||<-2> [[울산광역시]] || ||<-2> '''관할 구역''' ||<-2> {{{#!folding [ 펼치기 · 접기 ] '''중구 일부'''[br]우정동, 태화동, 다운동}}} || ||<-2> '''시의원''' || [include(틀:국민의힘)] || [[이성룡]] ,,(3선),, || [목차] [clearfix] == 개요 == [[울산광역시의회]]의 선거구로 [[울산광역시]] [[중구(울산광역시)|중구]] 서부 지역을 관할한다. [[울산우정혁신도시]]가 들어서는 곳임에도 오히려 보수세가 아주 강한 지역에 속한다. 원래 한때 부촌이였던 [[우정동]]의 경우 우정혁신도시에서 주요 지역을 담당해 지가가 크게 오르며 아직까지는 혁신도시의 성장을 어느정도 상쇄하고 있기 때문인 것으로 보인다. 아파트 단지와 택지지구가 있는 [[태화동(울산)|태화동]]에서 그나마 보수세를 상쇄시켜주긴 한다. [[다운동]]의 경우는 지금은 중구 평균보다도 보수세가 높으나 향후 택지지구 개발이 더 많이 진행될 시 보수세가 희석될 가능성이 있다. 그래도 여전히 [[국민의힘]]에게 많이 유리한 선거구로 [[제7회 전국동시지방선거|7회 지선]] 때를 제외하면 모두 보수 후보들의 독식이였다. == 역대 선거 결과[* [[울산광역시]]가 출범한 것은 [[1997년]] [[7월 15일]]로, 1대 시의회의 경우 임기가 1년도 채 남지 않은 관계로 경상남도의원 중 울산 지역구 의원들과 경상남도 울산시의원들이 그대로 계승하여 울산광역시의원을 역임했으므로 기술하지 않음.] == || 대수 || 당선자 || 당적 || 임기 || 비고 || ||<-5> '''중구 제3선거구''' || || 제2대 || 김무열 ||<|2> [include(틀:한나라당(1997~2004))] || [[1998년]] [[7월 1일]] ~ [[2002년]][* [[제3회 전국동시지방선거|3회 지선]] 중구청장 선거 출마를 위해 사직.] ||<|7> [* '''우정동''', '''태화동''', '''다운동'''] || || 제3대 ||<|2> [[김재열(1961)|김재열]] || [[2002년]] [[7월 1일]] ~ [[2006년]] [[6월 30일]] || || 제4대 ||<|2> [include(틀:한나라당)] || [[2006년]] [[7월 1일]] ~ [[2010년]] [[6월 30일]] || || 제5대 ||<|2> [[이성룡]] || [[2010년]] [[7월 1일]] ~ [[2014년]] [[6월 30일]] || || 제6대 || [include(틀:새누리당(2012년))] || [[2014년]] [[7월 1일]] ~ [[2018년]] [[6월 30일]] || || 제7대 || 이상옥 || [include(틀:더불어민주당)] || [[2018년]] [[7월 1일]] ~ [[2022년]] [[6월 30일]] || || 제8대 || [[이성룡]] || [include(틀:국민의힘)] || [[2022년]] [[7월 1일]] ~ 현재 || === [[제2회 전국동시지방선거]] === ||<-4> {{{#ffffff {{{+1 '''중구 제3선거구'''}}}}}}[br]{{{#ffffff 우정동, 태화동, 다운동}}} || ||<|2> 기호 || 이름 || 득표수 || 순위 || || 정당 || 득표율 || 비고 || ||<|2> {{{#FFFFFF {{{+5 '''1'''}}}}}} || '''김무열(金武烈)''' || '''15,845''' || '''1위''' || || [include(틀:한나라당(1997~2004))] || '''55.37%''' || '''당선''' || ||<|2> {{{#FFFFFF {{{+5 '''2'''}}}}}} || 장지만(張志萬) || 3,877 || 3위 || || [include(틀:새정치국민회의)] || 13.54% || 낙선 || ||<|2> {{{#FFFFFF {{{+5 '''4'''}}}}}} || 최현태(崔鉉泰) || 8,893 || 2위 || || [include(틀:무소속)] || 31.07% || 낙선 || ||<|3> '''계''' || '''선거인 수''' || 54,876 ||<|3> '''투표율'''[br]53.73% || || '''투표 수''' || 29,487 || || '''무효표 수''' || 872 || === [[제3회 전국동시지방선거]] === ||<-4> {{{#ffffff {{{+1 '''중구 제3선거구'''}}}}}}[br]{{{#ffffff 우정동, 태화동, 다운동}}} || ||<|2> 기호 || 이름 || 득표수 || 순위 || || 정당 || 득표율 || 비고 || ||<|2> {{{#FFFFFF {{{+5 '''1'''}}}}}} || '''[[김재열(1961)|김재열]](金在烈)''' || '''19,596''' || '''1위''' || || [include(틀:한나라당(1997~2004))] || '''68.95%''' || '''당선''' || ||<|2> {{{#FFFFFF {{{+5 '''3'''}}}}}} || [[신성봉]](辛聖鳳) || 8,821 || 2위 || || [include(틀:민주노동당)] || 31.04% || 낙선 || ||<|3> '''계''' || '''선거인 수''' || 58,524 ||<|3> '''투표율'''[br]50.01% || || '''투표 수''' || 29,273 || || '''무효표 수''' || 856 || === [[제4회 전국동시지방선거]] === ||<-4> {{{#ffffff {{{+1 '''중구 제3선거구'''}}}}}}[br]{{{#ffffff 우정동, 태화동, 다운동}}} || ||<|2> 기호 || 이름 || 득표수 || 순위 || || 정당 || 득표율 || 비고 || ||<|2> {{{#FFFFFF {{{+5 '''-'''}}}}}} || '''[[김재열(1961)|김재열]](金在烈)''' || '''-''' || '''1위''' || || [include(틀:한나라당)] || '''-''' || '''[[무투표 당선|{{{#373a3c,#dddddd 무투표 당선}}}]]''' || ||<|3> '''계''' || '''선거인 수''' || - ||<|3> '''투표율'''[br]- || || '''투표 수''' || - || || '''무효표 수''' || - || === [[제5회 전국동시지방선거]] === ||<-4> {{{#ffffff {{{+1 '''중구 제3선거구'''}}}}}}[br]{{{#ffffff 우정동, 태화동, 다운동}}} || ||<|2> 기호 || 이름 || 득표수 || 순위 || || 정당 || 득표율 || 비고 || ||<|2> {{{#FFFFFF {{{+5 '''1'''}}}}}} || '''[[이성룡]](李成龍)''' || '''12,806''' || '''1위''' || || [include(틀:한나라당)] || '''38.90%''' || '''당선''' || ||<|2> {{{#FFFFFF {{{+5 '''5'''}}}}}} || 홍인수(洪仁洙) || 10,187 || 2위 || || [include(틀:민주노동당)] || 30.95% || 낙선 || ||<|2> {{{#FFFFFF {{{+5 '''7'''}}}}}} || [[김재열(1961)|김재열]](金在烈) || 9,921 || 3위 || || [include(틀:무소속)] || 30.14% || 낙선 || ||<|3> '''계''' || '''선거인 수''' || 59,630 ||<|3> '''투표율'''[br]56.28% || || '''투표 수''' || 33,564 || || '''무효표 수''' || 650 || === [[제6회 전국동시지방선거]] === ||<-4> {{{#ffffff {{{+1 '''중구 제3선거구'''}}}}}}[br]{{{#ffffff 우정동, 태화동, 다운동}}} || ||<|2> 기호 || 이름 || 득표수 || 순위 || || 정당 || 득표율 || 비고 || ||<|2> {{{#FFFFFF {{{+5 '''1'''}}}}}} || '''[[이성룡]](李成龍)''' || '''24,889''' || '''1위''' || || [include(틀:새누리당(2012년))] || '''66.87%''' || '''당선''' || ||<|2> {{{#FFFFFF {{{+5 '''3'''}}}}}} || 홍인수(洪仁洙) || 12,331 || 2위 || || [include(틀:통합진보당)] || 33.12% || 낙선 || ||<|3> '''계''' || '''선거인 수''' || 66,423 ||<|3> '''투표율'''[br]57.79% || || '''투표 수''' || 38,390 || || '''무효표 수''' || 1,160 || === [[제7회 전국동시지방선거]] === ||<-4> {{{#ffffff {{{+1 '''중구 제3선거구'''}}}}}}[br]{{{#ffffff 우정동, 태화동, 다운동}}} || ||<|2> '''기호''' || '''이름''' || '''득표수''' || '''순위''' || || '''정당''' || '''득표율''' || '''비고''' || ||<|2> {{{#FFFFFF {{{+5 '''1'''}}}}}} || '''이상옥(李相玉)''' || '''23,590''' || '''1위''' || || [include(틀:더불어민주당)] || '''53.20%''' || '''당선''' || ||<|2> {{{#FFFFFF {{{+5 '''2'''}}}}}} || [[김영길(1962)|김영길]](金永吉) || 20,749 || 2위 || || [include(틀:자유한국당)] || 46.79% || 낙선 || ||<|3> '''계''' || '''선거인 수''' || 68,388 ||<|3> '''투표율'''[br]67.37% || || '''투표 수''' || 46,074 || || '''무효표 수''' || 1,735 || === [[제8회 전국동시지방선거]] === ||<-4> {{{#ffffff {{{+1 '''중구 제3선거구'''}}}}}}[br]{{{#ffffff 우정동, 태화동, 다운동}}} || ||<|2> '''기호''' || '''이름''' || '''득표수''' || '''순위''' || || '''정당''' || '''득표율''' || '''비고''' || ||<|2> {{{#FFFFFF {{{+5 '''1'''}}}}}} || [[신성봉]](辛聖鳳) || 12,917 || 2위 || || [include(틀:더불어민주당)] || 37.19% || 낙선 || ||<|2> {{{#FFFFFF {{{+5 '''2'''}}}}}} || '''[[이성룡]](李成龍)''' || '''21,813''' || '''1위''' || || [include(틀:국민의힘)] || '''62.80%''' || '''당선''' || ||<|3> '''계''' || '''선거인 수''' || 62,602 ||<|3> '''투표율'''[br]56.43% || || '''투표 수''' || 35,329 || || '''무효표 수''' || 599 || [[더불어민주당]]에서는 현역이였던 이상옥 시의원이 지방선거 공천 관련해 강한 불만을 갖고 당을 비판함과 동시에 탈당과 불출마 선언을 하게 되면서 새 후보를 찾아야 한다. 12년 전에 이곳에 출마했다 낙선한 바 있고 현재는 이 지역에서 재선 구의원을 지내는 중인 신성봉 전 구의회 의장이 단수공천을 받았다. [[국민의힘]]에서도 [[제7회 전국동시지방선거|지난 선거]]에 출마했던 [[김영길]] 전 구의회 의장이 중구청장 선거에 도전하므로 다른 후보를 찾아야 한다.[* 당내 경선에서 승리하여 공천장을 받았고, 본선에서도 한때 동료 구의원이였던 [[박태완]] 구청장을 꺾고 당선되었다.] 지난 선거에서 김영길 후보에게 경선에서 패했던 [[이성룡]] 전 시의원이 이번에는 단수공천을 받으며 징검다리 3선을 노린다. 다른 정당이나 [[무소속]] 후보는 출마하지 않아 양당 1:1구도가 형성되었다. 개표 결과 국민의힘 이성룡 후보가 25%p차로 시의회에 복귀했다. 동별로 보면 이성룡 후보는 [[태화동(울산)|태화동]]에서 60.1%로 그나마 낮은 득표율을 올렸고, [[우정동]]에서 64.4%, [[다운동]]에서 66.4%를 얻으며 압승을 거뒀다. 그나마 평상시에도 더불어민주당에 비교적 웃어주던 관외사전투표에서는 58.4% : 41.6%로 비교적 격차가 적었으나, 이것조차 격차가 15%p 이상으로 적은 격차가 아니었다. [[분류:선거구/울산광역시]][[분류:중구(울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