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할리우드 명예의 거리 입성자,한글명=줄리 런던,영어명=Julie London,분야=음악,입성날짜=1960년 2월 8일,위치=7000)] ||<-2> '''{{{+1 줄리 런던}}}[br]Julie London''' || ||<-2> {{{#!wiki style="margin:-5px -10px" [[파일:JulieLondon2.jpg|width=100%]]}}} || || '''출생명''' ||줄리 펙[br]Julie Peck || ||<|2> '''출생''' ||[[1926년]] [[9월 26일]] || ||[[캘리포니아]] 주 샌터 로저 || ||<|2> '''사망''' ||[[2000년]] [[10월 18일]] (향년 74세)|| ||[[캘리포니아]] 주 [[로스앤젤레스]]|| || '''국적''' ||[include(틀:국기, 국명=미국)] || || '''직업''' ||가수, 배우 || || '''장르''' ||[[대중음악|스탠더드 팝]], [[재즈]], [[블루스]]|| || '''활동''' ||1944년 ~ 1981년 || || '''배우자''' ||잭 웹^^(1947년~1954년 이혼)^^[br]바비 트룹^^(1959년~1999년 사별)^^|| || '''자녀''' ||딸 스테이시 웹^^(1950년생)^^[br]딸 리서 웹^^(1952년생)^^[br]딸 켈리 트룹^^(1962년생)^^[br]아들 조디 트룹^^(1963년생)^^[br]아들 리즈 트룹^^(1963년생)^^ || [목차] [clearfix] == 개요 == [[미국]]의 스탠더드 팝 가수이자 [[배우]]. [[캘리포니아]]주 샌터 로저 출신. 아메리칸 스탠더드 가수로서의 이미지가 강하지만, 동시에 배우로서도 활발하게 활동하였다. == 생애 == [[파일:JulieLondon_Pinup.jpg]] [[1926년]] 출생으로, [[희극]] 배우였던 양친의 영향을 받아 연극 무대와 [[라디오]] 방송에서 노래를 불러왔으며, [[엘리베이터]] 안내원으로 근무하기도 하였다. 본격적으로 예술 활동을 시작한 것은 1944년 영화 "Nabonga"의 주연을 맡은 때부터이며, 이후로도 [[서부극]] "Man Of The West"를 비롯한 여러 영화에 출연하며 배우로서 활동한다. 할리우드 배우 잭 웹과 결혼하며부터 뜸해진 줄리의 필모그래피는 1951년부터 잠시 비게 되는데, 가수로서 은퇴한 이후로 줄리는 브라운관과 필름에 다시금 모습을 비추며 연기 생활을 이어나가게 된다. 배우 줄리 런던은 뇌쇄적이고 섹시한 이미지가 짙다. 데뷔 전후 [[2차 세계대전]] 시대에 핀업 걸 화보를 촬영하며 섹스 심벌로 유명세를 끌었으며, 가장 유명한 활동인 "서부의 사나이(Man Of The West)"에서는 무법자에게 희롱당하는 여주인공 배역을 연기하며 이러한 이미지의 절정을 찍는다. === 가수활동 === [[파일:JulieLondononstudio.jpg]] 하지만 무엇보다 줄리가 유명할 수 있었던 것은 바로 가수 활동 때문이었다. 첫 남편이었던 잭 웹과의 이혼 이후로, 줄리는 피아니스트이자 배우로 활동하던 바비 트룹의 권유를 받아 첫 앨범인 "Julie Is Her Name"을 녹음하게 되는데, 이 데뷔 앨범이 당시 유행하던 토치 송[* 1950년대 ~ 1960년대에 걸쳐 유행했던 음악기조로, 남녀간의 사랑을 주제로 하는 경우가 많았다. 스탠더드 팝에서 영향을 받아 가곡적인 요소가 많이 남아있으며, 요즈음의 [[발라드]]와 비슷하다고 볼 수 있다.]의 기류를 타고 크게 성공하면서 줄리는 본격적으로 가수로서의 커리어를 펼쳐나가게 된다. 마냥 흥겨운 그루브보다는 서정적인 스탠더드 팝이나 [[쿨 재즈]]의 차분한 분위기에 맞는 침착하면서도 가라앉은 듯한 목소리를 가졌다고 평가되는데, 그러한 면모는 데뷔곡이자 줄리 런던을 대표하는 발라드 "Cry Me A River"에서 가장 두드러진다. [youtube(MkD_kYkRk3c)] 드물게도 줄리는 1950년대에 활동하면서도 [[빅 밴드]] 시대에 영향을 받지 않은 가수였다. 그러한 성향을 잘 나타내는 이 곡에서는 오케스트라의 화려한 연주가 기본시되던 기존의 발라드 음악과는 다르게 오로지 업라이트 베이스와 기타의 건조한 연주만으로 반주를 꾸미고 있는데, 그 가운데 줄리의 차분하면서도 가라앉은듯한 보컬이 곡을 이끌어나가며 차갑고 관조적인 가사와 맞물려 떨어진다. 이런 시도가 대흥행하며 블루스계의 스탠다드로 자리잡게 되는데, 지금까지도 이 "Cry Me A River"는 50년대를 대표하는 곡으로써 널리 알려져있다. 이 곡의 성공으로 줄리 런던은 가수로서의 입지를 튼튼하게 다지게 되며, 이후로도 락 발라드, 라틴 재즈, 스탠다드 팝 등 여러 장르를 시도하며 성공적인 가수로 자리를 잡았지만, 건강상의 이유[* 생전에는 하루에 담배를 세 갑씩이나 핀 전형적인 [[골초]]였으며 무려 16살 때부터 흡연을 해왔다고 한다.]로 1969년을 기해 마이크를 내려놓게 된다. === 가수 은퇴 이후 === [[파일:JulieLondon_onTVshow.jpg]] 가수 활동을 멈춘 뒤, 70년대에는 전 남편 잭 웹과의 인연으로 말미암아 본격적으로 TV 시리즈에 출연했는데, 장편 드라마 "응급상황!(Emergancy!)"에서는 수간호사 딕시 맥콜로 분해 총편 128편에 모두 출연하며 훌륭한 연기를 선보이기도 하였다. [youtube(q4UJZnIQpQo)] 이후 1981년, 영화 삽입곡으로 취입한 My Funny Valentine을 마지막으로 연예계에서 완전히 은퇴하였으며, 19년 뒤인 [[2000년]]에 지병으로 생을 마감하게 된다. 항년 74세. == 출연작 == * 1958 A Question of Adultery == 여담 == * 섹시함을 내세우던 배우 시절 이미지와는 달리 사석에서는 진중하고 수줍음을 많이 타는 성격이었다고 하는데, 이 때문인지 남긴 인터뷰가 거의 없다. * 대표곡 “Cry Me A River”는 원래 [[엘라 피츠제럴드]]에게 갈 곡이었다고 전해진다. 한 영화의 삽입곡으로 들어가기로 되어있었으나, 이런저런 이유로 삽입이 무산되자 우여곡절 끝에 작곡자의 동창이었던 줄리에게까지 가게 된 것. 발매 5년 여 후 엘라 피츠제럴드 또한 이 곡을 불렀는데, 두 버전 사이의 분위기 차이가 상당하다. [youtube(wSw8KaZIzYg)] [[분류:1926년 출생]][[분류:1944년 데뷔]][[분류:1981년 은퇴]][[분류:2000년 사망]][[분류:미국 여가수]][[분류:미국 여배우]][[분류:트레디셔널 팝]][[분류:할리우드 명예의 거리 입성자]][[분류:샌타로자 출신 인물]][[분류:폐암으로 죽은 인물]][[분류:심혈관질환으로 죽은 인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