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竹]][[書]][[紀]][[年]]}}} [목차] == 개요 == [[중국]]의 [[편년체]] 역사서. 대나무에 기록된 편년체 [[역사]]라는 의미에서 《죽서기년》이라는 이름이 붙었다. 혹은 《급총기년》(汲冡紀年), 《급총서》(汲冡書)로 불리기도 한다. 전설적인 [[삼황오제]]의 시대부터 [[전국시대]] [[삼진(전국시대)|삼진]](三晉) 분립 후의 [[위(전국시대)|위나라]](魏) [[위양왕|양왕]](襄王)까지의 연대기가 기록된 책으로, [[전한]]대 무렵에는 책이 이미 소실되었다. 위•촉•오 삼국 통일후의 [[서진]]대인 [[279년]] 또는 [[281년]], 농부 부준(不准)이 위나라 양왕[* 혹은 안희왕(安僖王).]의 무덤을 '''도굴'''했는데 그 안에서 대나무편이 대량으로 나왔다. 그것들을 서진의 관리 [[속석]]이 종이에 옮겨 적었는데 그중에 《죽서기년》이 있었던 것이다. [[선진시대]]를 알 수 있는 중요한 역사기록으로, 특히 《[[사기(역사책)|사기]]》에 나오지 않는 이야기도 다수 수록된 덕분에 《사기》의 연대 오류를 《죽서기년》에 맞춰서 수정하기도 한다. 안타깝게도 [[북송]]시대에 다시 책이 사라져버렸다. [[명나라]]대에 《죽서기년》이 다시 등장했지만 [[위작]]이었고, [[1917년]] [[왕궈웨이|왕국유]](王國維)[* [[갑골문]]을 대대적으로 연구해 기초를 세운 인물이다. [[신해혁명]] 후에도 혼란스러운 중국의 현실에 비관해 물에 스스로 뛰어들어 사망했다.]가 각종 고대 문헌에 인용된 내용들을 모아서 《죽서기년》을 복원하는 작업을 하여 성과를 거두었다. 참고로 명대 위작본을 '''《금본 죽서기년》'''(今本竹書紀年), 왕국유가 복원한 죽서기년을 '''《고본 죽서기년》'''(古本竹書紀年)이라고 부른다. '''다른 사서에서 보이는 미화를 다 걷어내고 현실적으로 서술한 점이 특징이다.''' 예를 들면 기존의 사서에는 [[요임금|제요 도당씨]]가 자신의 왕위를 [[순임금|제순 유우씨]]에게 물려주었다고 쓰여 있지만, 《죽서기년》에는 대놓고 순이 요의 왕위를 찬탈하고 감금, 유폐했다고 기록되어 있다. 또한 상왕조의 건국공신인 명재상 [[이윤(상)|이윤]]이 황음무도한 [[문명왕|태갑]]을 대신해 섭정했다는 얘기와 달리 《죽서기년》상의 기록에는 아예 이윤이 태갑을 몰아내고 왕이 되었다가 세력을 기른 태갑에 의해 살해당했다는 얘기가 나온다. 하나라 초기의 [[익(하나라)|백익]]과 공화시대 관련 기록도 마찬가지이다. 이런 점으로 비춰보아 후대의 특정 세력이 자기 입맛에 맞게 기록을 의도적으로 윤색하는 행위가 있었을 가능성도 제기된다. 물론 원본이 사라졌을 뿐더러 《죽서기년》 내용이 무조건 다 맞다고 볼 수도 없기 때문에 여러 가설들이 나올 수는 있겠지만. 현대 중국에서는 《금본죽서기년》은 몇몇 학자들을 제외하고는 인정하지 않고 《고본죽서기년》만 인정하는 경향이 있다. 아무래도 《고본죽서기년》의 편집자 [[왕국유]]가 갑골문의 대가였던지라 《고본죽서기년》의 내용이 갑골문과 일치하는 것이 많아서이다. == 고본 죽서기년 == === [[https://zh.wikisource.org/wiki/%E6%B1%B2%E5%86%A2%E7%B4%80%E5%B9%B4%E5%AD%98%E7%9C%9F#%E4%BA%94%E5%B8%9D%E7%B4%80|오제기]](五帝紀) === >《竹書》云:昌意降居若水,產帝乾荒。 >《죽서[* [[죽간]]이라고 함. 대나무로 묶은 책.](竹書)에 이르기를 창의(昌意)[* [[황제(중국 신화)|황제]] 헌원씨의 둘째 아들이다.]가 약수(若水)에 내려와 살다가, 건황(乾荒) 임금[* [[삼황오제|오제]] 중 하나인 [[전욱]] 고양씨. 전욱은 황제 헌원씨의 손자다.]을 낳았다. >---- >《[[산해경]]》 <해내경(海內經)> 주(注) ---- >《汲冢書》云:黃帝仙去,其臣有左徹者,削木作黃帝之像,帥諸侯奉之。 >《급총서》에서 이르기를, 황제가 세상을 떠나자, 그 신하 중 좌철(左徹)이라는 사람이 나무를 깎아 황제의 목상을 만들고, 거느리는 제후들로 하여금 받들어 모시도록 했다. >---- >《의림(意林)》 <포박자(抱朴子)> ---- >《抱朴子》又曰:《汲郡冢中竹書》言:黃帝既仙去,其臣有左徹者,削木為黃帝之像,帥諸侯朝奉之。 >또《포박자》에서 이르기를, 《급군총중죽서》에서 말하기를 '황제가 신선이 되어 떠나자, 그 신하들 중 좌철이라는 사람이 나무를 깎아 황제의 목상을 만들고, 거느리는 제후들로 하여금 조회에서 받들어 모시도록 하였다'고 했다. >---- >《태평어람(太平御覽)》 권79 <황왕부(皇王部)> ---- >《抱朴子》曰:張華《博物誌》曰:黃帝仙去,其臣左徹者削木為黃帝像,帥諸侯奉之。亦見《汲冢書》。 >《포박자》에서 이르기를, 장화(張華)의 《[[박물지]]》에서 말하기를 '황제가 신선이 되어 떠나자, 그 신하들 중 좌철이라는 사람이 나무를 깎아 황제의 목상을 만들고, 거느리는 제후들로 하여금 조회에서 받들어 모시도록 하였다'고 했다. 이 대목은 《급총서》에도 보인다. >---- >《태평어람》 권396 <인사부(人事部)> ---- >《竹書》曰:顓頊產伯鯀,是維若陽,居天穆之陽。 >《죽서》에서 이르기를:전욱이 백곤[* [[하나라|하(夏)나라]] [[우왕|우(禹)왕]]의 아버지.]를 낳아, 이가 곧 약양인데, 천목[* 현 [[텐진시]]에 위치.]의 남쪽에서 살았다. >---- >《산해경》 · <대황서경(大荒西經)> 주(注) ---- >《竹書紀年》曰:堯元年景[* 병(丙)의 기휘이다. 즉, 요 원년은 병자년이다.]子。 >《죽서기년》에서 이르기를:요 원년은 경자년이다. >---- >《수서(隋書)》 · <율력지(律歷志)> ---- >《括地誌》云:……《竹書》云:昔堯德衰,為舜所囚也。 >《괄지지》에서 이르기를, '《죽서》에서 말하기를 옛날 요임금의 덕이 쇠해지자, 순임금이 그를 가두었다'고 한다. >---- >《사기(史記)》<오제본기(五帝本紀)> 정의(正義) ---- >《汲冢竹書》云:舜囚堯於平陽,取之帝位。 >《급총죽서》에서 이르기를, 순임금이 평양에서 요임금을 사로잡고 임금의 자리를 빼앗았다. >---- >《광홍명집(廣弘明集)》권11 법림(法琳)의《대부혁폐불승사(對傅奕廢佛僧事)》. ---- >《汲冢書》云:舜放堯於平陽。 >《급총서》에서 이르기를, 순임금이 평양에서 요임금을 풀어주었다. >---- >《사통》<의고> ---- >《括地誌》云:……《竹書》云:舜囚堯,復偃塞丹朱,使不與父相見也。 >《괄지지》에서 이르기를...(내용 누락) 《죽서》에서 말하기를, 순임금이 요임금을 사로잡고, 요임금의 아들 단주를 가두고서 아비와 아들이 서로 만나볼 수 없도록 하였다. >---- >《[[사기]]》 <오제본기> 정의 ---- >《括地誌》云:……《汲冢紀年》云:后稷放帝子丹朱於丹水。 >《괄지지》에서 이르기를...(내용 누락) 《급총기년》에서 말하기를, 후직(后稷)이 단주를 단수 땅에 방면해주었다. >---- >《[[사기]]》 <[[한고제|고조]]본기(高祖本紀)> 정의(正義) ---- >《竹書》亦曰:后稷放帝朱於丹水。 >《죽서》에서 또 이르기를, 후직이 주임금(단주를 말한다)을 단수 땅에 방면했다. >---- >《[[산해경]](山海經)》<해내남경(海內南經)> ---- >《汲冢紀年》云:后稷放帝子丹朱。 >《급총기년》에서 이르기를, 후직이 요임금의 아들 단주를 풀어주었다. >---- >《사기》<오제본기> 정의 ---- >命咎陶作刑。《紀年》云。 >구도(咎陶)[* 고요로도 읽는다. 요순시대의 신하로 황제의 장남 소호의 후손이다.]에게 명하여 형벌을 만들게 했다. 이는 《기년》에서 이른 말이다. >---- >《북당서초(北堂書鈔)》 권17 <제왕부(帝王部)> ---- >《汲冢紀年》曰:三苗將亡,天雨血,夏有冰,地坼及泉,青龍生於廟,日夜出,晝日不出。 >《급총기년》에서 이르기를, 삼묘(三苗)[* 중국 남부에 살던 이민족.]가 장차 망하려 하자, 하늘에서 피가 비처럼 내리고, 여름에 얼음이 얼었으며, 땅이 갈라져 샘이 솟아났으며, 푸른 용이 사당에 나타나고, 해가 밤에 떴으며, 낮이 되어도 해가 뜨지 않았다. >---- >《통감외기(通鑑外紀)》권1 === [[https://zh.wikisource.org/wiki/%E6%B1%B2%E5%86%A2%E7%B4%80%E5%B9%B4%E5%AD%98%E7%9C%9F#%E5%A4%8F%E7%B4%80|하기]](夏紀) === === [[https://zh.wikisource.org/wiki/%E6%B1%B2%E5%86%A2%E7%B4%80%E5%B9%B4%E5%AD%98%E7%9C%9F#%E6%AE%B7%E7%B4%80|은기]](殷紀) === === [[https://zh.wikisource.org/wiki/%E6%B1%B2%E5%86%A2%E7%B4%80%E5%B9%B4%E5%AD%98%E7%9C%9F#%E5%91%A8%E7%B4%80|주기]](周紀) === === [[https://zh.wikisource.org/wiki/%E6%B1%B2%E5%86%A2%E7%B4%80%E5%B9%B4%E5%AD%98%E7%9C%9F#%E6%99%89%E7%B4%80|진기]](晉紀) === === [[https://zh.wikisource.org/wiki/%E6%B1%B2%E5%86%A2%E7%B4%80%E5%B9%B4%E5%AD%98%E7%9C%9F#%E9%AD%8F%E7%B4%80|위기]](魏紀) === == 금본 죽서기년 == === [[http://zh.wikisource.org/wiki/%E4%BB%8A%E6%9C%AC%E7%AB%B9%E6%9B%B8%E7%B4%80%E5%B9%B4/%E4%BA%94%E5%B8%9D%E7%B4%80|오제기]](五帝紀) === === [[https://zh.wikisource.org/wiki/%E4%BB%8A%E6%9C%AC%E7%AB%B9%E6%9B%B8%E7%B4%80%E5%B9%B4/%E5%A4%8F%E7%B4%80|하기]](夏紀) === === [[https://zh.wikisource.org/wiki/%E4%BB%8A%E6%9C%AC%E7%AB%B9%E6%9B%B8%E7%B4%80%E5%B9%B4/%E6%AE%B7%E7%B4%80|은기]](殷紀) === === [[https://zh.wikisource.org/wiki/%E4%BB%8A%E6%9C%AC%E7%AB%B9%E6%9B%B8%E7%B4%80%E5%B9%B4/%E5%91%A8%E7%B4%80|주기]](周紀) === === [[https://zh.wikisource.org/wiki/%E4%BB%8A%E6%9C%AC%E7%AB%B9%E6%9B%B8%E7%B4%80%E5%B9%B4/%E6%99%89%E7%B4%80|진기]](晉紀) === === [[https://zh.wikisource.org/wiki/%E4%BB%8A%E6%9C%AC%E7%AB%B9%E6%9B%B8%E7%B4%80%E5%B9%B4/%E9%AD%8F%E7%B4%80|위기]](魏紀) === == 같이보기 == * [[간독]] * [[수호지진간]] [각주] [[분류:편년체]][[분류:통사]]